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18시간 전


동아 캄보디아서 납치 한국 대학생, 고문당해 사망
동아 가족들, '5000만 원 달라' 협박 받아 신고하자 연락 끊기고 숨진 채 발견
A 씨, 방학 기간 캄보디아 박람회 참석차 출국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오늘 첫 번째 강력사건 단서부터 보겠습니다.
00:06캄보디아와 한 청년의 모습 실루엣인데
00:10요즘 캄보디아 정말 조심하셔야 됩니다.
00:19캄보디아 간 대학생 납치 후 고문 삼아
00:22이게 무슨 일입니까?
00:2420대 대학생 A씨
00:26여름방학기간 박람회 다녀오겠다라며 캄보디아로 출국을 했습니다.
00:32그러다 납치가 된 거예요.
00:33협박범의 전화가 가족에게 걸려왔습니다.
00:37당신 아들이 사고를 쳐서 감금도 했다.
00:395천만 원을 보내주면 풀어주겠다.
00:42가족들은 대사관과 경찰에 신고를 했습니다.
00:44그러나 경찰은 대학생의 소재 파악에 실패했습니다.
00:51나흘 후 협박범도 연락이 두절됐습니다.
00:55안타깝게요.
00:59지난 8월 숨진 채 발견이 됐고요.
01:022주가 넘게 감금된 걸로 보고 있습니다.
01:06사망 원인 현지 경찰에 따르면 고문과 극심한 통증을 인한 심장마비로 사망한 것으로
01:12현지 경찰은 보고 있습니다.
01:14최근 캄보디아에서 특히나 한국인을 노린 이런 강력범죄들이 많습니다.
01:22어떻게 보십니까?
01:22반장님.
01:23캄보디아가 치안이 불안하고요.
01:25한국인에 대한 어떤 표적.
01:28왜냐하면 한국인이 돈이 좀 있고 이런 어떤 소문이 돌고 있었는데
01:32여행이 자유로 되면서 거기로 가는 사람들이 납치가 수백 명 수준으로 되는 것 같고요.
01:37거기에 범죄 도시라고 해야 될까요?
01:39범죄 단지가 또 있는 것 같습니다.
01:41그래요?
01:41보이스피싱이라든가 아니면 원격 사기를 하는 어떤 그런 공간에서 여러 조폭들.
01:49그러니까 이 조폭이라는 건 그쪽 관련된 부분도 있었고
01:51여러 가지 다국적인 형태의 범죄 조직이 한국인만 노리는 그런 어떤 범죄의 희생자가 된 것 같습니다.
01:59얼마 전 한국인 40대 남성이 또 캄보디아에서 납치 실종이 된 바도 있었는데
02:04그때도 중국인들 범죄 조직이 수행이었는데
02:08이번도 중국인이 연루가 됐단 말이에요.
02:12다국적 주로 중국을 베이스하는 건 캄보디아에 좀 가깝고
02:17거기는 근거해서 중국에 대한 좀 가까운 부분이 있기 때문에
02:21중국 조직에 대한 캄보디아의 어떤 일종의 치안적 접근이 좀 부족한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02:27원래 그러면 반장님 캄보디아에 중국 범죄 조직들이 많이 활동을 했었어요?
02:32활동을 했었죠.
02:33그래요?
02:33원래는 거기 마약을 주로 다루다.
02:37이제는 마약이 국제적인 단속이 많이 들어오니까
02:41그 범죄 영역을 넓히는 형태.
02:43그리고 또 이것이 하청에 재하청을 주는 구조.
02:47하청에 재하청이요?
02:47말하자면 우리가 보통 범죄 조직이라고 하면 하나의 조직을 생각하는데요.
02:53여러 조직이 서로 일종의 뭐라고 하나요?
02:55같이 병립돼 있어서 서로 분업하는 시스템으로 굉장히 조직적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03:00그게 범죄 단지라는 표현을 쓰고 그러는데요.
03:03여기서는 보이스피싱 조직이 있고 여기서는 마약 조직이 있고 이렇게 또 여기서 어떤 조직은 납치 조직이 있습니다.
03:09그런데 이것을 서로 하청을 주면서 넌 납치만 해줘.
03:14우리가 협박을 할게.
03:16네가 수거를 해줘.
03:16수거를 해줘.
03:17이렇게 변화.
03:19그러니까 급격한 범죄 조직의 진화가 이루어진 거죠.
03:23기가 막힌 일이네요.
03:24캄보디아 각별히 조심해야겠습니다.
03:27안타깝게 사마 확인해도 두 달 넘게 시신조차 가족의 품으로 인도되지 않고 있습니다.
03:352개월간 시신 한국송은 안 되고 있다는 거예요.
03:37부검, 화장 일정들 고려.
03:39이달 중에 국내에 들어올 예정이라는데 유가족들은 애타죠.
03:42죽어서도 집에 돌아오지 못하고 캄보디아 냉동고에 방치됐다.
03:46사람을 두 번 죽이는 거다.
03:47부모님 입장에서 얼마나 이게 가슴이 타들어갈 일입니까?
03:51멀쩡했던 아들이 캄보디아 가서 고문을 받다가 사망을 했다.
03:56이것도 사실은 기가 찬데.
03:58그런데 이 같은 납치 조직이 고문은 또 왜 한 겁니까?
04:01아무래도 여러 가지, 자기가 가지고 있는 어떤 개인정보라든지 이런 걸 뺏으려고 하거든요.
04:09이 사람이 얼마나 돈을 가진지 모르니까 범죄 조직들은 개인정보를 다 털어갖고
04:14그걸 통해서 또 제2의 범죄를 하려고 고문을 하게 됩니다.
04:18그리고 주변에, 이 사람이 가지고 있는 주변 친척들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도 얻으려고 하는 방식으로 고문을 하는데.
04:25고문을 한다?
04:26상당히 심각한 고문이고 사실은 기본적으로 아주 적은 양만 먹이고 매달 며칠 고문하기 때문에
04:33저 정도 상태가 이루어서면 안타까운 부분이 있는데요.
04:37문제는 우리나라의 어떤 사법당국이 직접 접근을 해서 해야 되는데
04:43그냥 저쪽 캄보디아 당국한테 요청만 하는 상태가 좀 안타깝습니다.
04:47파견해서 일망타진시켜야죠.
04:49그러니까 필리핀같이 코리안 디스크를 보내서 할 수 있는데
04:54그게 좀 많이도 좀 부족한 부분이 있는 것 같아요.
04:57이런 건 법무부가 좀 나서줘서.
04:59법무부랑 경찰청 같이.
05:01경찰청이 같이 해서 캄보디아 정부랑 경찰 당국과 함께 애모여라도 맺어서
05:07마동석 같은 영화에 보면 그런 분들 파견해서 일망타진해야죠.
05:11그냥 둡니까? 우리 국민이 죽어가는데.
05:13충분히 가능한데 외교부가 너무 소극적인 것 같아요.
05:17외교부가 주관이거든요.
05:19외교부는 너무 외교부가 주관이기 때문에 다른 데가 접근하기 좀 어려운 부분이 있어가지고
05:23서로 간에 부처 간에 벽이 높은 이런 것이 좀 문제가 될 수 있어요.
05:27정부가 좀 이런 거 신경 써야 됩니다.
05:29당연하죠.
05:30최근에 캄보디아에서 40대 남성도 실종이 됐는데 결국 혼수상태로 발견됐습니다.
05:35이것도 같은 범죄 조직 소행일 가능성이 높은데.
05:39캄보디아 내 한국인 납치 감금 피해 건수가 올해까지 330건이요?
05:45자료 외교부.
05:47외교부가 있고 지금 자료만 만들 때입니까?
05:49저거를 아 또 화가 날아가네.
05:51그러니까 2023년에 17건이었던 것이 작년에 220건입니다.
05:57올해 기준으로 300건자면 10배, 15배, 20배 이상씩 늘고 있단 말이에요.
06:02네네.
06:03이 정도라고 하면 굉장히 시급한 문제거든요.
06:07그런데 자료 내고 있을 정도밖에 안 한다고 하면
06:10글쎄요. 외교부라든가 우리나라 정부에서 뭐 하고 있는지 좀 안타깝습니다.
06:16안타깝다?
06:17네.
06:18안타깝습니다.
06:20첫 번째 강력 사건이었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