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2일 전


최근 캄보디아 방문한 한국인 겨냥 범죄
'캄보디아 고문·살해' 국내 모집책 송치
캄보디아 고문 사망 대학생…내국인 연루자 검거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다음 소식은요. 연일 시끄러운 캄보디아에서 숨진 우리나라 대학생 관련한 이야기입니다.
00:06캄보디아로 떠난 지 2주 만에 고문당하고 숨졌다. 이런 소식이 들려왔어요.
00:11정말 안타까운 사건, 사고 소식이 계속 이어나고 있습니다.
00:17부모님에게는 캄보디아에 박람회에 간다고 이야기를 하고 7월 17일 출국을 했는데요.
00:24일주일 뒤 협박범으로부터 5천만 원을 보내야지 살려준다라는 협박 전화를 받게 됩니다.
00:30정말 안타깝게도 8월 8일 이 학생들 숨진 채 발견이 되었습니다.
00:36캄보디아의 유인책들이 고수익 알바다 이런 것을 믿기로 해서 캄보디아 현지로 유인을 하고요.
00:44물론 의심을 할 수 있겠지만 항공권을 제공해준다는 말에 한번 가보고 이상하면 돌아오면 되지 이렇게 좀 안일하게 생각하는 경우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00:54막상 출국을 하고 나면 이 사람들은 거대 범죄 조직이기 때문에 곧바로 고문, 휴대폰도 뺐고 여권도 뺐고 이런 과정을 거치고 난 다음에
01:04범죄 조직으로 들어가서 보이스피싱이라든가 다른 범죄에 본인 역시도 가담해야 하는, 가담하지 않으면 고문을 하는 이런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어서 정말 충격적이고 안타까운 상황입니다.
01:17네, 이 사건과 관련해서 국내 유인책 일부가 경찰에 붙잡혔고 캄보디아 현지 경찰이 살인 혐의로 중국인 3명을 검거했다고 하는데요, 변호사님.
01:26그런데 캄보디아 경찰이 중국인 3명을 검거했으면 이 사람들의 재판이나 이런 건 어디서 이루어지게 되는 겁니까?
01:33지금 현재 캄보디아에서 일어난 사건이고요, 캄보디아 경찰이 지금 구속 기소한 상황이기 때문에 1차적으로 캄보디아에서 재판이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01:43그러니까 중국인 국적의 3명은 일단 붙잡아서 구속 기소가 되었고요, 도주 중인 2명은 쫓고 있는 상황입니다.
01:50그런데 국내법 체계와 캄보디아 체계가 또 차이가 있고 이 기간 자체도 캄보디아 쪽이 훨씬 더 오래 걸리고 그 과정도 좀 불투명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02:02지금 사망 원인이 고문에 의한 심장마비다라고 전해지고 있어서 더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는데 일단 철저한 조사가 필요해 보이고요.
02:111차적으로는 캄보디아에서 이제 나머지 지금 도주 중인 범인들까지도 반드시 수색을 통해서 확보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02:20고수익, 해외 취업이라는 단어에 현혹되지 말아야 할 텐데요.
02:25현지에서 한국인 피해자 구조 활동을 하는 선교사의 이야기 듣고 오겠습니다.
02:29매주 구하고 있죠, 매주.
02:32어떨 때는 한 주에 세탕도 뛰고 두 건도 뛰고 오늘 새벽에도 지금 살려달라고 지금 고조받은 요청도 받았고.
02:39매주 구하고 있다.
02:43이게 이런 충격적인 사고가 한두 건이 아니라 계속 늘고 있다면서요.
02:48그렇죠.
02:492023년도에는 이제 17건 정도가 있었던 이 캄보디아 납치 신고 건수가요.
02:54엄청 늘어납니다.
02:55그렇죠. 220건에서 올해는요.
02:57아직 8월까지만 집계된 수치인데 330건입니다.
03:02이미 작년 건수를 넘어섰고요.
03:05말 그대로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03:08이게 지금 신고가 된 건수만 어느 정도 집계의 통계 안에 들어온 건수만 이 정도이지 사실상 제대로 집계되지 않은 부분까지 더해지고 미수에 그친 건수같이 더해진다면 그 수치는 훨씬 더 커질 수 있어 보입니다.
03:22사실 캄보디아 하면 앙코르 같은 생각나잖아요.
03:26우리에게는 세계적인 관광지로 더 유명했는데 왜 이 캄보디아에서 한국인들을 노리는 범죄가 계속 발생하는 건가요?
03:32중국이나 라오스, 베트남, 태국 이제 인근 국가들에서 좀 더 치안이 좀 더 강력해지고 범죄 조직들이 해당 국가에서 활동하는 게 좀 어려워지자 인근 지역인 캄보디아로 이 범죄 조직의 근거지가 넘어오고 있는 부분도 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03:49그리고 이제 상대적으로 캄보디아의 치안이 좀 열악한 부분 그리고 경찰 인력의 부재 때문에 신고를 하더라도 어떤 처리가 이루어지기까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는 점 이런 구조적인 요건들이 지금 함께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04:06그런 부분들 때문에 범죄 조직들이 캄보디아에 새롭게 그 근거지를 마련하고 있고 또 한국인 대상으로 한 범죄가 늘어나고 있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지금 한국 컬처의 위상이 상당합니다.
04:21이제 그런 부분들이 더해지면서 이런 매체를 통해 한국인의 이미지가 굉장히 부유하고 세련되고 뭔가 좀 많은 문화를 향유하고 있는 사람들로 그려지면서 한국인 하면 부유하다 돈이 많다 현찰을 갖고 있다라는 인식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이거든요.
04:39이제 이런 부분은 국가 간의 공조를 통해서 한국인들의 안전을 답보할 수 있는 그런 창구를 반드시 마련해야 될 것 같습니다.
04:46정부도 총력 대응을 한다고 한 만큼 특단의 조치가 나오기를 기다려보겠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