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앵커]
아는기자, 정치부 손인해 기자와 얘기 더 나눠보겠습니다.

Q. 첫 실명이 나왔어요. 왜 4명이에요?

A. 그제 열린 윤상현 의원 세미나가 결정적이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을 옹호하는 윤어게인 운동세력이 주축이 된 '리셋코리아' 출범식을 열었는데, 그 자리에 전한길씨가 왔습니다.

계엄을 옹호하고, 부정선거 의혹을 부각했는데요. 

그런데 이 자리에, 송언석 비대위원장이 참석했습니다. 

혁신위가 과거를 사과하고 윤석열 부부와 단절하라고 했는데 무시하고 거꾸로 갔다는 게 윤희숙 위원장 생각입니다.

Q. 장동혁, 나경원 의원은 왜 포함된 거에요?

어제 전한길 씨가 또 국회에 왔는데요.

장동혁 의원이 주최한 신우파의 길 세미나에 토론자로 참석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전 씨는 계엄을 구국의 결단이라고 이야기하며, 윤 전 대통령과의 단절은 잘못된 혁신안이라고 했습니다. 

윤희숙 위원장도 그래서 폭탄을 던진 겁니다.

나경원 의원의 경우는 "탄핵에 반대한 게 왜 잘못이냐"며 탄핵을 사과한 혁신위 쇄신안에 가장 먼저 반대의 뜻을 밝혔다는 겁니다.

Q. 당사자들은 물러난데요?

A. 아직 거취를 밝힌 사람은 없습니다.

송언석 비대위원장의 첫 반응은 "충정으로 생각하겠다"입니다. 

거취 대신 그냥 알겠다 수준인 거죠. 

윤상현 의원도 "나를 쳐라, 기꺼이 희생하겠다"고는 했지만, 구체적인 거취 언급은 없습니다. 

장동혁 의원은 "윤희숙의 오발탄"이라며 깎아 내렸습니다. 

윤희숙 위원장이 총은 쐈지만, 아직 마땅한 반응은 없는 거죠.

Q. 윤 위원장은 나름 배수의진은 쳤어요.

A. 네 윤희숙 위원장, 오늘이 인적쇄신 1차 분이라고 했습니다. 더 있다는 거죠. 

언더찐윤과 언더73을 콕 짚어 윤석열 전 대통령과 한동훈 전 대표를 언급하며 양쪽을 다 건드렸습니다. 

나름 더 큰 싸움을 예고하고 있는 겁니다. 

거취 결정 안 할 경우에는 당원소환제 이야기도 꺼냈습니다.

해당 행위를 하면 출당을 권고하고, 다음 공천 배제까지도 가능할 수 있는 제도라고요. 

게다가 본인은 혁신위원장에서 물러나지 않을 거라며 배수의 진까지 쳤습니다.

Q. 결국 되느냐인데, 될 걸로 보는 당내 의원들 많지 않은 거 아닌가요?

A. 네 그게 또 현실이죠.

소리없는 메아리가 될 가능성이 큰데요.

결국 최종 결정권은 혁신위가 아니라 비대위가 갖고 있습니다. 

송언석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이죠. 

벌써부터 당내에선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몸값 키우려고 자기장사 한다며 깎아내리는 말들이 나옵니다.

이번주 일요일 의원총회가 열리는데요.

그 때가 1차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네, 지금까지 아는기자였습니다.


손인해 기자 son@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아는 기자 정치부 손인혜 기자 나왔습니다.
00:04인적 쇄신, 인적 쇄신 했는데 처음으로 실명이 나왔습니다.
00:084명. 그런데 왜 이 4명이에요?
00:10그제 열린 윤상현 의원 세미나가 결정적이었습니다.
00:14윤석열 전 대통령을 응호하는 유너게인 운동 세력이 주축이 된 리세코리아.
00:20출범식을 열었는데 그 자리에 전한길 씨가 왔습니다.
00:24계엄을 응호하고 부정선거 의혹을 부각했는데요.
00:27그런데 이 자리에 송원석 비대위원장이 참석했습니다.
00:31혁신이가 과거를 사과하고 윤석열 부부와 단절하라고 했는데
00:35무시하고 거꾸로 갔다는 게 윤희숙 위원장 생각입니다.
00:39송 비대위원장은 지도부라 간 거다 이렇게 얘기를 하던데
00:43어쨌건 나머지 두 사람 더 있어요.
00:44장동혁, 나경원 의원은 왜 포함이 된 겁니까?
00:47어제 전한길 씨가 또 국회에 왔는데요.
00:50장동현 의원이 주최한 신우파의 길 세미나에 토론자로 참석했습니다.
00:55이 자리에서 점 씨는 계엄을 구국의 결단이라고 얘기하면서
01:00윤 전 대통령과의 단절은 잘못된 혁신안이라고 했습니다.
01:04윤희숙 위원장도 그래서 폭탄을 던진 겁니다.
01:08나경원 의원 같은 경우에는 탄핵에 반대한 게 왜 잘못이냐며
01:12탄핵을 사과한 혁신이 세신안에 사실상 가장 먼저 반대의 뜻을 밝혔다는 겁니다.
01:17그러면 4명 콕 집었는데 이들이 거치라고만 하긴 했지만 물러나거나 불출마 이런 얘기를 해요?
01:25아직 거치를 표명한 사람은 없습니다.
01:28송엄석 비대위원장의 첫 반응은 충정으로 생각하겠답니다.
01:33거치 대신 그냥 알겠다 수준인 거죠.
01:36윤상현 의원도 나를 쳐라 기꺼이 희생하겠다고는 했지만 구체적인 거치 언급은 없었습니다.
01:42장동혁 의원은 윤희숙의 오발탄이라며 깎아내렸습니다.
01:47윤희숙 위원장이 총은 쐈지만 아직 마땅한 반응은 없는 겁니다.
01:51네 하여튼 윤희숙 위원장이 뭔가 하겠다 강력하게 의지를 표명하면서 배수의 진을 쳤어요.
01:57네 윤희숙 위원장 오늘이 인적 쇄신 1차분이라고 했습니다.
02:01더 있다는 거죠.
02:03언덕진윤과 언덕치삼을 콕 집어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한동훈 전 대표 언급하면서 양쪽 다 건드렸습니다.
02:11나름 더 큰 싸움 예고하고 있는 겁니다.
02:15거치 결정 안 할 경우에는 당원 소환제 얘기도 꺼냈습니다.
02:20해당 행위를 하면 출당을 권고하고 다음 공천 배제까지도 가능할 수 있는 제도라는 겁니다.
02:28게다가 본인은 혁신위원장에서 물러나지 않을 거라면서 배수의 진까지 쳤습니다.
02:33결국 윤희숙 위원장이 뭔가 하려고 하는 게 되느냐가 관심일 텐데 될 걸로 보는 당내 의원들이 그렇게 많은 것 같지는 않다고요.
02:40그게 또 현실이죠.
02:42소리 없는 메아리가 될 가능성이 큰데요.
02:45결국 최종 결정권은 혁신위가 아니라 비대위가 갖고 있습니다.
02:50송원석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이죠.
02:53벌써부터 당내에서는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몸값 키우려고 자기 장사한다며 깎아내리는 말들이 나옵니다.
03:00이번 주 일요일에 의원총회가 열리는데요.
03:03그때가 1차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03:05네, 안희 기자, 손희네 기자와 살펴봤습니다.
03:08감사합니다.
03:09감사합니다.
03:10감사합니다.
03:11감사합니다.
03:12감사합니다.
03:13감사합니다.
03:14감사합니다.
03:15감사합니다.
03:16감사합니다.
03:17감사합니다.
03:18감사합니다.
03:19감사합니다.
03:20감사합니다.
03:22감사합니다.
03:23감사합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