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2일 전


[앵커]
아는기자 시작합니다.

사회부 법조팀 김지윤 기자 나왔습니다.

Q1. 먼저 이것부터 보죠. 대법원장 권한 뭐가 있는데, 여당 사법개혁안 대로라면 뭐가 빠지는 거예요?

여권의 사법개혁안 간단히 말해, 재판할 권한 빼고는 조희대 대법원장 권한 다 빼앗겠다는 겁니다.

대법원장은 '전원합의체' 재판장 역할을 하죠.
 
중요 사건의 3심 재판을 주관하는 겁니다.
 
재판말고도 법원 예산과 인사, 조직운영은 대법원장을 보좌하는 법원행정처가 담당해 왔거든요.
 
판사의 임명이나 배치 같은 인사권이 있고, 판사의 비위가 있으면 감사하고 징계도 합니다. 

법원 예산을 짜고 입법과 관련한 사법부 의견을 내는 역할도 맡습니다. 

그런데 이 법원행정처를 폐지해 버리면 결과적으로 조희대 대법원장 역할을 3심 재판으로 묶어두는 효과가 생기는 겁니다.

Q2. 대법원장이 3심 재판 역할만 하면 안 되는 건가요?

사법행정, 특히 인사권은 재판 독립과 밀접하다는 게 핵심입니다. 

지금은 어느 법원에 어떤 판사를 배치할지 법원이 스스로 정하는데요.

앞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 재판이나 이재명 대통령 재판을 어떤 판사에게 맡길지를 정치권 입김을 받는 외부 단체가 관여해 결정한다면 공정성 시비가 벌어질 수 있습니다.

단순히 법원의 인사와 예산 문제가 아니라 재판 독립과도 연결되는 문제인 겁니다.

Q3. 여당 안대로라면, 판사 인사를 어떻게 한다는 거예요?

민주당은 법원행정처를 폐지해, '사법행정위원회'로 대체하는 안을 마련했습니다.

위원 13명 중 9명이 외부인사로 채워지고, 판사는 4명뿐입니다.

법관 인사를 사실상 외부에서 하게 되는 겁니다.

위원 선정에 법무부 장관이 관여할 수 있게 했는데요.
 
행정부 소속인 법무부 장관이 사법부 행정에 관여해 삼권분립을 훼손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Q3-1. 외부에서 판사 인사를 하면 안 되는 건가요?

축구로 비유를 해볼가까요.

판사는 중립적인 심판 역할과 같습니다.

만약 한쪽 팀에서 판사 선발에 관여하면 판정 결과에 승복하기가 어려울 겁니다.

법관 인사도 마찬가지인 겁니다.

Q3-2. 법원 인사가, 어떻게 재판 관여로 이어지는 거죠?

현재 상황에 대입해보면요.

정성호 법무장관이 추천한 위원이, 판사 인사 결정에 참여할 수 있게 되고요.

특정 재판을 맡을 재판장이나, 영장 담당 판사를 고르는 데 관여하는 것도 불가능한 일이 아닙니다.

Q4. 판사를 고를 수도 있다면, 마음에 안 드는 판사를 좌천시키는 것도 가능한가요?

극단적인 경우긴 하지만 불가능한 일은 아닙니다.

판사 인사는 검사에 비해서 정치적 외풍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아왔는데요.

판사의 인사와 평가권을 외부 인사들이 좌우할 수 있게 되면 마음에 들지 않는 판사를 특정 사건에서 배제할 수도 있고요. 

그 판사에게 인사 평가를 나쁘게 줘서 재임용에서 탈락시키는 방식으로 사실상 재판 결과까지 좌우할 수 있을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

Q5. 위헌 논란이 일 수도 있겠어요?

네 법원은 사법권은 헌법이 보장한 권리라는 입장입니다.

우리 헌법 101조는 "사법권은 법관으로 구성된 법원에 속한다"고요. 

헌법이 법원에 속한다고 한 사법권을 외부 위원들에게 준다면 향후 각종 위헌 소송이 제기될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아는기자 였습니다.




김지윤 기자 bond@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법조팀 김지윤 기자, 안인 기자 나왔습니다.
00:06오늘 민주당이 발표를 했는데요.
00:07만약에 이 법안대로 통과가 되면 조희대 대법원장은 정말 식물 대법원장이 되는 겁니까?
00:13여권의 사법개혁안 간단히 말해서요.
00:15재판할 권한 빼고는 조희대 대법원장의 권한 다 빼앗겠다 이런 겁니다.
00:20대법원장은 전원합의체 재판장 역할을 하죠.
00:24중요사건의 3심 재판을 주관하는 겁니다.
00:26재판 말고도 법원 예산과 인사, 조직 운영은 대법원장을 보좌하는 법원 행정처가 담당해 왔거든요.
00:34판사의 임명이나 배치 같은 인사권이 있고 판사의 비위가 있으면 감사하고 징계도 합니다.
00:40법원 예산을 짜고 입법과 관련한 사법부 의견을 내는 역할도 맞습니다.
00:45그런데 이 법원 행정처를 폐지해버리면 결과적으로 조희대 대법원장 역할을 3심 재판으로 묶어두는 효과가 생기는 겁니다.
00:53그런데 여당은 재판만 하면 되는 거 아니냐.
00:56사법부 독립이라는 게 사법부도 견제를 받기 위해서는 좀 필요하다는 건데요.
01:02대법원장은 재판 역할만 하면 안 돼요?
01:04사법행정 특히 인사권은 재판 독립과 밀접하게 연결이 돼 있다는 게 핵심입니다.
01:09지금은 어느 법원에 어떤 판사를 배치할지 법원이 스스로 정하는데요.
01:13앞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 재판이나 이재명 대통령 재판을 어떤 판사에게 맡길지를 정치권 입김을 받는 외부 단체가 관여해서 결정을 한다면 공정성 시비가 벌어질 수 있습니다.
01:26단순히 법원의 인사와 예산 문제가 아니라 재판 독립과도 연결되는 문제인 겁니다.
01:32그런데 여당은 외부에서 하더라도 공정하게 하겠다는데 어떻게 하겠다는 거예요?
01:36이 판사 인사를.
01:36네, 민주당은 법원 행정처를 폐지를 해서요.
01:39그 다음 사법행정위원회로 대체하는 안을 마련했습니다.
01:43위원 13명 중에요.
01:459명이 외부 인사로 채워지고 판사는 4명뿐입니다.
01:49법관 인사를 사실상 외부에서 하게 되는 겁니다.
01:53위원 선정에 법무부 장관이 관여할 수 있게 했는데요.
01:56행정부 소속인 법무부 장관이 사법부 행정에 관여해서 3권 분립을 훼손할 수 있다.
02:02이런 지적이 나옵니다.
02:03좀 본질적인 질문일 수 있는데 외부에서 판사 인사를 하면 안 됩니까?
02:07축구로 한번 비유를 해볼까요?
02:09판사는 중립적인 심판 역할과 같습니다.
02:12만약 한쪽 팀에서 판사 선발에 관여한다면 판정 결과에 승복하기가 어렵겠죠.
02:18법관 인사도 마찬가지인 겁니다.
02:21사법부 독립 훼손으로 이어지려면 뭔가 재판에 영향을 줄 수 있어야 하는데
02:24법원 인사가 재판에 관여로 이어질 수 있나요?
02:27현재 상황에 한번 대입을 해보면요.
02:29정성훈 법무부 장관이 추천한 위원이요.
02:32판사 인사 결정에 참여할 수 있게 되고요.
02:34특정 재판을 맡을 재판장이나 영장 담당 판사를 고르는 데 관여하는 것도 불가능한 일이 아닙니다.
02:41그러면 판사가 마음에 안 들면 좌천도 시킬 수 있는 거예요?
02:45극단적인 경우기는 하지만요.
02:46불가능한 일은 또 아닙니다.
02:48판사 인사는요.
02:49검사에 비해서 정치적 외풍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아왔는데요.
02:54판사의 인사와 평가권을 외부 인사들이 좌우할 수 있게 되면 마음에 들지 않는 판사를 특정 사건에서 배제할 수도 있고요.
03:03그 판사에게 인사평가를 나쁘게 줘서 재임용해서 탈락시키는 방식으로 사실상 재판 결과까지 좌우할 수 있을 거라는 우려도 나옵니다.
03:12법원 쪽에서는 위헌 논란 얘기도 나오던데 어떤 부분일까요?
03:15네, 법원은 사법권은 헌법이 보장한 권리라는 입장입니다.
03:20우리 헌법 101조는요.
03:22사법권은 법관으로 구성된 법원에 속한다 이렇게 규정하고 있습니다.
03:27헌법이 법원에 속한다고 한 사법권을 외부 위원들에게 준다면 향후 각종 위헌 소송이 제기될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03:35잘 되었습니다.
03:35아는 기자, 김지훈 기자였습니다.
03:45아는 기자, 김지훈 기자였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