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북마크
공유
더보기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아는기자]추미애, 컨트롤 불가?
채널A News
팔로우
2일 전
[앵커]
정치부 이남희 선임기자 나와있습니다.
Q. 추미애 법사위원장이 '컨트롤 불가'라는 얘기, 왜 나온 거예요?
지금 보시는 장면, 추미애 법사위원장이 그제(22일) 조희대 대법원장 청문회 개최 안건을 땅땅땅 통과시키는 모습이죠.
민주당 법사위가 사상 초유의 대법원장 청문회를 추진하는데 정청래 대표도, 김병기 원내대표도, 대통령실도 이걸 사전에 몰랐다는 겁니다.
보통 이렇게 민감한 사안 결정할 땐 구체적인 일정이나 계획, 상임위와 원내 지도부가 사전 교감하거든요.
그런데 법사위가 먼저 치고 나갈 걸 보고 어떻게 이럴 수 있냐, 당혹스럽다는 당내 반응이 어제 나왔던 겁니다.
Q. 그런데 정청래 대표가 오늘 추미애 위원장 손 들어줬어요?
당 일각에선 청문회 열었다가 조 대법원장과 한 전 총리 등이 만났다는 '4인 회동설' 의혹 제기 되치기 당하면 어쩌나 우려도 있긴 했거든요.
하지만 정청래 대표가 오늘 "추미애 위원장 계속 열심히 하시라"며 힘 실어줬죠.
강성 법사위가 이슈를 주도하면 당이 그대로 따라가는 모습이죠.
Q. 돌아보니까 추미애 법사위원장, 당 지도부보다 먼저 강하게 치고 나갔던 장면들 떠오릅니다.
결정적인 세 장면이 있습니다.
먼저 방금 언급한 '조희대 대법원장 청문회' 법사위가 먼저 의결하고 지도부에 추후 통보했죠.
정 대표도 지지했고요.
두번째, 여야 원내지도부가 지난 10일 '더 센 특검법' 수정에 합의했는데 추 위원장이 총대 메고 합의 파기를 요구했죠.
결국 여야 합의, 이례적으로 하루 만에 뒤집혔습니다.
세번째, 여야 원내지도부가 법사위 야당 간사 선임 협조도 약속했었는데, 법사위가 사상 처음 표결에 부쳐 나경원 간사 선임안 부결시켰잖아요.
지금도 야당 간사 못 뽑고 있죠.
세 장면의 공통점, 결국 추미애 위원장 뜻대로 됐단 겁니다.
Q. 추미애 위원장, 믿는 구석이 따로 있는 걸까요?
민주당 복수 관계자들에게 물어보니 이런 답변이 돌아왔습니다.
"당 지도부나 대통령실보다 강성 지지층 힘이 더 세다는 걸 알기 때문일 것"이라고요.
법사위가 치고 나가면 당 지도부도 쫓아올 수밖에 없다는 거죠.
여당 강성 지지층 여론 쥐락펴락하는 김어준 씨도 오늘 "청문회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죠.
삼권분립 가치는 조 대법원장이 이 대통령 사건 파기환송 했을 때 이미 훼손됐다는 논리 펴면서요.
여권 성향 커뮤니티 게시판 찾아보니 "차기 대통령이다" "잘 한다" "존경한다"며 추 위원장 응원 댓글 이어지더라고요.
6월 지방선거에서 추 위원장이 경기지사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데, 강성 지지층 의식해 더 센 발언 내놓는 거 아니냐는 해석도 나옵니다.
Q. 그런데, 민주당에 영향 미치는 강성 지지층, 요즘 분화하고 있다고요?
여당 지지층의 분화 조짐, 지난 8.2 전당대회 때부터 감지됐었죠.
당시 "김어준 씨 지지자는 정청래 대표, 이 대통령 지지자는 박찬대 전 원내대표 민다" 이런 얘기 나왔었거든요.
결국 강성 당원 등에 업고 정 대표가 당선됐죠.
결국 요즘 여당 지지층, 이 대통령 지지하는 개혁의 딸 쪽과 더 선명성 있는 개혁 바라는 정청래 대표 지지층 쪽으로 분화되고 있단 겁니다.
그래서 확실한 내란 청산, 검찰 폐지 바라는 강성 지지층은 '여야 협치' 말하는 이 대통령 보고도 "수박"이라고 할 정도라고요.
한 민주당 관계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강성 지지층이 과거엔 인물 보고 지지했다면 요즘은 이슈 보고 내가 원하는 센 개혁 더 잘 할 사람에게 옮겨간다고요.
이런 강성 지지층의 분화가 민주당 의사 결정에도 더 큰 영향을 미칠 걸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 이남희 정치부 선임기자였습니다.
이남희 기자 irun@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네 정치부 이남희 선임기자 나와 있습니다.
00:05
추미애 법사위원장은 컨트롤이 불가하다는 얘기가 나온다는데 실제로 그런 거예요? 이게 왜 나오는 거예요?
00:12
일단은 이 장면부터 보시겠습니다.
00:14
추미애 법사위원장 그제 조의대 대법원장 청문회 개최안건 땅땅땅 하면서 이 안건을 통과시키는 모습이죠.
00:22
민주당 법사위가 사상 초유의 대법원장 청문회 추진하는데 정청례대표도 김병기 원내대표도 대통령 씨도 이걸 사전에 몰랐다는 겁니다.
00:34
보통 이렇게 민감한 사안 결정할 때는요.
00:37
구체적인 일정이나 계획이요. 상임위와 원내지도부가 사전 교감을 하거든요.
00:42
그런데 법사위가 먼저 치고 나가는 걸 보고 어떻게 이럴 수 있지 당혹스럽다는 당내 반응 어제 나왔던 겁니다.
00:50
그런데 오늘 정청례대표가 추미애 위원장 손을 들어줬어요.
00:55
사실은 당내 일각에서는요. 청문회 열었다가 조 대법원장과 한 전 총리 만났다.
01:00
이런 4인 회동설 의혹 제기가 되치기 당하면 어쩌나 이런 우려도 있긴 있었거든요.
01:08
그런데 정청례대표가 오늘 추미애 위원장 계속 열심히 하시라면서 힘을 확 실어줬습니다.
01:14
강성법사위가 이슈를 주도하면 당이 그대로 따라가는 모습이죠.
01:20
사실 돌아보면 추미애 법사위원장이 지도부보다 먼저 강하게 치고 나왔던 장면이 여럿 있어 보이네요.
01:26
맞습니다. 결정적인 세 장면이 있는데요.
01:29
먼저 방금 언급한 조 대법원장 청문회.
01:33
법사위가 먼저 의결을 하고 지도부에 추 통보를 한 겁니다.
01:37
정 대표도 공개 지지했고요.
01:40
두 번째, 여야 원내 지도부가 지난 10일 더센 특검법 수정에 합의했는데
01:45
추 위원장이 총대를 메고 합의 파기를 요구했어요.
01:49
그때 이례적으로 하루 반에 뒤집혔습니다.
01:53
세 번째, 여야 원내 지도부가 법사위 야당 간사 선임도 협조하기로 분명히 약속을 했었는데
01:59
법사위, 사상 처음 표결에 붙여서 나경원 간사 선임만 부결시켰잖아요.
02:05
지금도 야당 간사 못 뽑고 있죠.
02:09
세 장면의 공통점, 바로 추미애 위원장 뜻대로 됐다는 겁니다.
02:13
그러니까 추 위원장의 힘은 어디서 나오는 걸까요?
02:17
왜 이렇게 탁 치고 나갈 수 있는 거예요?
02:18
믿는 구석이 있습니다.
02:20
제가 물어봤어요.
02:21
민주당 관계자들한테 공통적인 답변이 돌아왔습니다.
02:24
당 지도부나 대통령실보다 강성 지지층 힘이 더 세다는 걸 알기 때문일 거라고요.
02:31
법사위가 이렇게 치고 나가면 당 지도부도 결국 쫓아올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02:38
오늘 여당 강성 지지층 여론 쥐락, 펴락하는 김어준 씨 이런 말했습니다.
02:42
그래서 청문회를 해야 한다고요.
02:45
그러니까 상권분립 가치는 조대부 원장이 이 대통령 사건 파기 완성했을 때 이미 훼손됐다.
02:51
이런 논리를 펼친 겁니다.
02:54
여권 성향 커뮤니티 게시판 찾아보니까요.
02:57
오늘 차기 대통령이다, 잘한다, 존경한다 이런 추 위원장 응원 댓글이 이어지더라고요.
03:04
6월 지방선거에서 추 위원장이 경기지사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데 그래서 강성 지지층 의식해 더 센 발언 내놓는 거 아니냐 이런 해석도 정치권에선 나오고 있습니다.
03:16
그러니까 결국은 강성층의 힘이 세다는 건데 여기서도 좀 뭔가 분화가 이뤄지고 있다면서요.
03:22
그런 얘기 나옵니다.
03:23
사실은 여당 지지층의 분화 조짐이 지난 파리 전당대회 때부터 감지가 됐었습니다.
03:29
당시에요.
03:31
김어준 씨 지지자는 정청래 대표, 또 이 대통령 지지자는 박찬대 전 원내대표를 민다 이런 얘기가 나왔었거든요.
03:39
결국 강성 당원 등이 없고 정 대표가 당선이 됐습니다.
03:44
제가 민주당 관계자들한테 진짜 분화된 거 맞냐고 물어봤어요.
03:48
인정은 하더라고요.
03:49
그러니까 이 대통령 지지하는 개혁의 딸 쪽, 그리고 더 선명성 있는 개혁 바라는 정청래 대표 지지층 쪽으로 팬카페 등도 이렇게 나눠서 분화가 되고 있다는 겁니다.
04:00
그래서 확실한 내란 청산이나 검찰 폐지 바라는 강성 지지층 쪽에서는요.
04:06
여야 협치 언급한 이 대통령 보고도 수박이라고 말할 정도라는 겁니다.
04:11
민주당 관계자 이렇게 얘기를 하더라고요.
04:13
예전에는 강성 지지층이 문재인, 노무현 대통령, 이재명 대통령 이렇게 임무를 보고 지지했다면 요즘은 이슈를 보고 내가 원하는 더 센 개혁, 더 잘하는 사람에게 옮겨가고 있다고요.
04:25
이런 강성 지지층의 분화가 민주당 의사결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걸로 보입니다.
04:32
네, 잘 들었습니다.
04:33
한의 기자, 이남희 기자였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
3:37
|
다음 순서
[아는기자]여야 합의안, 하루 만에 파기…밤사이 무슨 일이?
채널A News
2주 전
4:43
[여랑야랑]돌아가자, 청와대로? / 쓰레기차와 분뇨차 / 동상이몽
채널A News
9개월 전
1:58
“대통령도 갈아치우는데” 정청래 발언에 야권 맹폭
채널A News
2일 전
1:45
또 개딸에 휩쓸린 정청래…"추미애 열심히 하라" 응원
중앙일보
2일 전
4:19
[여랑야랑]한동훈, 추락 속 날개 찾기? / 처음 보는 청문회?
채널A News
1년 전
2:23
법사위 격려 방문…또 추미애 감싼 정청래
채널A News
19시간 전
2:03
추미애 밀어주는 정청래…“열심히 해달라”
채널A News
2일 전
34:42
[투나잇이슈] "종종 만나자" 첫 영수회담 종료…현안에는 이견도
연합뉴스TV
1년 전
27:15
[뉴스포커스] 민주, 이재명 체포안 고심…여 당권주자들, 신경전 가열
연합뉴스TV
3년 전
3:32
윤대통령-이재명, 29일 첫 영수 회담…의제 제한 없는 차담 형식
연합뉴스TV
1년 전
5:03
[아는기자]이재명, 발언 수위 높아진 이유는?
채널A News
2년 전
1:46
“여야 만남이 먼저”…대통령실, 영수회담 거부 기류
채널A News
1년 전
4:18
'조희대 청문회' 후폭풍..."자업자득"·"입법 쿠데타" / YTN
YTN news
2일 전
0:39
이재명 몸낮추지만…野 "역할 분담 논의" 물밑에선 대선 시동
중앙일보
8개월 전
1:24
민주당 “검찰 즉시 항고해야…탄핵 심판엔 영향 없어”
채널A News
7개월 전
3:03
"추미애 손 거치면 스타 된다"...선거 앞두고 자기정치 삼매경? [Y녹취록] / YTN
YTN news
5시간 전
5:28
[진짜정치]심우정 검찰총장 지명 이유는?
채널A News
1년 전
2:46
"내란과 정부조직법 어떻게 맞바꾸나"...민주, 합의 파기 / YTN
YTN news
2주 전
5:00
[여랑야랑]녹취파일, 깔까? 말까? / 윤 대통령, 돌 맞겠다더니 / 추경호, 속 타는 목마름?
채널A News
11개월 전
3:02
이재명 "다 접고 윤대통령 만날 것"…영수회담 급물살
연합뉴스TV
1년 전
4:19
[여의도풍향계] 내용은 여전히 반쪽?…마주 앉은 첫날부터 '뒤끝 작렬'
연합뉴스TV
1년 전
5:29
[여랑야랑]최태원, 3인3색 접견 / ‘공천개입’ 맹폭 / 정청래, 막말 대응하려다
채널A News
1년 전
4:52
[여랑야랑]윤석열-한동훈 ‘어색한 악수’ / ‘최후의 보루’를 노려라?
채널A News
1년 전
5:21
여 "조희대 불출석 시 고발"...야 "삼권분립 사망" / YTN
YTN news
3일 전
3:53
[아는기자]‘강성 반탄’ 장동혁, 첫 메시지는 달랐다?
채널A News
4주 전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