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K-팝이 세계 대중음악의 한 축으로 자리를 잡았지만 아직 제대도 된 전용 공연장 하나 없다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정부가 우선 서울 월드컵 경기장을 공연장으로 쓰기 위해 잔디 보호 매트 도입 등 시설 보강에 나섰고, 서울시도 2027년을 목표로 대형 공연장 건설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박순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영상구성 : 가수 임영웅 월드컵 경기장 공연) 지난해 5월 가수 임영웅의 공연입니다.

주말 이틀 동안 공연에 서울 월드컵 경기장을 찾은 팬들은 10만 명에 이릅니다.

축구 경기장이라 공연에 필요한 음향과 조명, 무대 장치 등이 부족하지만 한 번에 5만 명가량 모일 수 있는 시설은 서울 월드컵 경기장이 사실상 유일합니다.

문제는 잔디 훼손입니다.

[양문석 의원 /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 상암동 월드컵 경기장을 이용하려고 그러는데 지난번 보이스카우트 때 18% 정도의 잔디 훼손이 돼 2억4천만 원 정도 비용이 투입돼서 잔디를 회복했단 말이에요]

영국 축구 대표팀의 홈구장이자 대표적인 공연장인 웸블리 경기장입니다.

관객이 밟고 올라서더라도 잔디 보호가 가능한 웸블리 구장 특수 매트를 들여오는 방안이 임시 대안으로 거론됩니다.

동시에 음향과 조명 등도 보강해 한시적으로 서울 월드컵 경기장을 대규모 K-팝 공연장으로 활용하자는 것입니다.

[최휘영 /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 웸블리 경기장이라는 곳이 있습니다. 런던에. 거기에서 이제 블랙핑크라든지, BTS도 공연을 했는데요, 그쪽은 잔디 관리를 하기 위해서 특수 매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특수 매트를 저희도 가지고 와서 쓸 수 있도록 그렇게 하는 테스트를 지금 해보려고 하고 있습니다.]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수도권에 3~4만 석 규모의 대형 공연장 건설도 추진됩니다.

이곳은 K팝 중심 복합시설인 서울 아레나 공사 현장입니다. 최대 2만8천 명의 관객이 들어가는 대규모 공연장이 오는 2027년 봄 문을 엽니다.

지난해 7월 첫 삽을 뜨기 시작했고 7천석 규모의 중형 공연장과 영화관, 상업시설도 함께 들어서 서울 동북부 지역 K-팝 성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오지훈 / 서울 아레나 대표이사 : 글로벌 톱티어 수준의 건축 음향과 무대 장치를 도입했다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 아티스트와 관객 모두에게 최상의 공연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시설과 공간과... (중략)

YTN 박순표 (spark@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6_20251123010501907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K-POP이 세계 대중음악의 한 축으로 자리를 잡았지만
00:04아직 제대로 된 전용 공연장 하나 없다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00:09정부가 우선 서울 월드컵 경기장을 공연장으로 쓰기 위해
00:12잔디 보호 매트 도입 등 시설 보강에 나섰고
00:15서울시도 2027년을 목표로 대형 공연장 건설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00:20박순표 기자의 보도입니다.
00:30지난해 5월 가수 임영웅의 공연입니다.
00:33주말 이틀 동안 공연에 서울 월드컵 경기장을 찾은 폐해는 10만 명에 이릅니다.
00:39축구 경기장이라 공연에 필요한 음향과 조명, 무대 장치 등이 부족하지만
00:43한 번에 5만 명가량 모을 수 있는 시설은 서울 월드컵 경기장이 사실상 유일합니다.
00:51문제는 잔디 회선입니다.
00:53상암동 월드컵 경기장을 이용하려고 그러는데
00:56지난번 보이스카우트 때 18% 정도의 잔디 훼손율에 2억 4천만 원 정도
01:06비용이 투입돼서 잔디를 회복했단 말이에요.
01:10영국 축구대표팀의 홈구장이자 대표적인 공연장인 웬블리 경기장입니다.
01:16관객이 밟고 올라서더라도 잔디 보호가 가능한
01:19웬블리 구장 특수매트를 들여오는 방안이 임시 대안으로 거론됩니다.
01:24동시에 음향과 조명 등도 보강해 한시적으로 서울 월드컵 경기장을
01:29대규모 케이팝 공연장으로 활용하자는 것입니다.
01:33웬블리 경기장이라는 곳이 있습니다.
01:35런던에 거기에서 블랙핑크라든지 BTS도 공연을 했는데요.
01:39그쪽은 잔디 관리를 하기 위해서 특수매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01:45그래서 그 특수매트를 저희도 가지고 와서 쓸 수 있도록 그렇게 하는 테스트를
01:50지금 해보려고 하고 있습니다.
01:52근본적인 해결책으로 수도권에 3,4만석 규모의 대형 공연장 건설도 추진됩니다.
01:58이곳은 케이팝 중심 복합시설인 서울 아레나 공사 현장입니다.
02:04최대 2만 8천 명의 관객에 들어가는 대규모 공연장이
02:07오는 2027년 봄 문을 엽니다.
02:12지난해 7월 첫 삽을 뜨기 시작했고
02:147천석 규모의 중형 공연장과 영화관, 상업시설도 함께 들어서
02:18서울 동북부 지역 케이팝 성질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02:23글로벌 탑티어 수준의 건축 음향과 그리고 무대장치를 도입했다는 것이
02:28큰 특징입니다.
02:30아티스트와 관객 모두에게 최상의 공연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02:35시설과 또 공간과 기획을 서울시와 함께 준비 중에 있습니다.
02:41사업이 표려했던 고향 K컬처밸리도 새로운 민간 사업자 선정과
02:46공연장 건설 재개를 앞두고 있습니다.
02:50시기별로 보면 서울 아레나에 이어 인천공항에서 가까운
02:54청나동과 고향 K컬처밸리, 잠실종합경기장 등을 재개발하는
02:58잠실 도움이 2032년까지 차례로 문을 엽니다.
03:03이렇게 되면 케이팝의 열기를 한국 관광으로 연계시키는
03:07기본 인프라는 어느 정도 갖춰지게 됩니다.
03:11다만 수준 높은 공연 유치와 1월 뒷받침할 안전 매뉴얼과
03:15안표 문제 해결, 지방 관광과 연계한 상품 개발 등
03:19케이팝의 내용물을 채우는 고민은 여전히 숙제로 남습니다.
03:23YTN 박순표입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