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2개월 전


이재명-트럼프 대통령, 첫 만남에 140분 회담
대통령실 "합의문 필요 없을 정도로 얘기 잘 돼"
대통령실 "협상 전반적으로 잘 마무리"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트럼프 기습의 긴장 성공적 회담이라는 자평
00:05글쎄요 전문가들의 의견도 한번 들어보겠습니다
00:07일단 대통령실의 자평부터 들어보시죠
00:30이렇게 되지 않고 여러 가지 다자관계 속의 양자관계라든가 이런 부분들이 잘 흐름을 이어가면서 끝났기 때문에 저희가 더 평가적으로 잘 됐다
00:39왜냐하면 양 정상이 더 자주 만날 계기 그리고 더 친밀감을 느끼는 것은 확실히 두 분이 공감을 하고 끝났거든요
00:46그래서 감히 성공적인 정상회담이었다라고 말할 수 있는 부분이 되는 겁니다
00:52성공적인 정상회담이었다라고 대통령실에서는 자평을 했습니다
00:58그런데 조금은 냉정하게 물어야 될 것 같습니다
01:01전성호 원장님 사실은 이번 한미정상회담이 쉽지는 않을 거라고 대통령도 전용기에서 직접 언급한 바 있었습니다
01:08그 이유는 이미 언론 보도로 많은 국민들이 잘 알고 있듯이
01:12지난번 한미 간의 관세 협상에서 디테일하게 합의되지 않은 내용들이 많았잖아요
01:17굉장히 국내 시장에서 민감한 쌀 시장 개방 문제랄지 소고기 수입과 관련된 원령 제한 문제랄지
01:24아니면 이재명 대통령이 얼마 전 전용기에서도 언급한
01:27주한미군의 중국의 대만 침공시의 전략적인 유연성 운용 부분에 대해서
01:33전혀 한미 간의 이견을 보이고 있다는 우려가 많았는데
01:36지금 대변인이나 우리 정부 얘기 들어보니까
01:40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이견이 나왔던 안건 중 어떤 것 하나도 합의가 안 된 것 같은데
01:46어떻게 보십니까? 성공적 회담이었다
01:49지금 이번 회담에 대해서 많은 국민들이 걱정을 많이 하셨어요
01:53대통령 비서실장까지 워싱턴에 갈 정도로 뭔가 긴박하게 움직이는 거 아니냐
02:00어려움이 많은 거 아니냐
02:01그리고 또 이 대통령이 전용기회에서 기자회견을 할 때도
02:05굉장히 힘든 회담이 될 거라고 얘기를 하셨는데
02:08거기에다가 어제 TV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02:12SNS를 통해서 한국에서 혁명이 일어나는 거 아니냐
02:15교회하고 미군기지가 스킵업 받았다 이런 얘기가 나면서
02:18아 이 회담은 이제 물 건너갔네 이런 생각을 많이
02:22저도 그렇게 생각을 했었어요
02:24그런데 막상 뚜껑을 열고 보니까
02:27한 거의 한 1시간 회담 공개 면담을 가졌는데
02:31상당히 분위기가 좋게 회담이 진행됐어요
02:35그래서 마치 지옥에서 천당으로 왔다 갔다 한
02:39그 정도의 아마 경험을 대통령실에 계신 분들은 하셨을 겁니다
02:43우려했던 것보다 대화 분위기는 좋았는데
02:45다만 말씀하신 대로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 하는 얘기처럼
02:50지금 한미 간의 현안이 굵직굵직한 현안들에 대해서
02:53어느 거 하나 명쾌하게 정리된 게 없습니다
02:56합의된 게 없다는 거예요?
02:57네, 그거는 사전에 참모들이 합의문 가안을 만들어가지고
03:02두 정상이 식사를 할 때다는 게
03:04전체적으로 봐서 거기서 사인하도록 그렇게 됐어야 되는데
03:08그런 사전 준비가 상당히 미흡했었다
03:11그것이 이견이 많아서 미흡했던 건지
03:13아니면 여러 가지 다른 이유 때문에 미흡했던 건지는 모르지만
03:16한미 간의 이견으로 남아있는 문제들을 봉합하고 타협하는 문제는
03:22역시 새로운 숙제로 이번 회담을 통해서 남게 되었다
03:25이렇게 생각이 됩니다
03:26그렇군요
03:27강유정 대변인은 합의문이 필요 없을 정도로 얘기가 잘 됐다라고
03:32회담의 분위기를 높게 평가했지만
03:34현안들에 대해서는 언급 자체가 없었다라고 얘기해서
03:40얘기가 잘 됐다면서 현안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라는 것을 두고
03:46아리송한 대목도 있습니다
03:48들어보시죠
03:48협상의 주요 의제로 예상됐던 농산물 추가 개방 여부
03:55미국에서 요청이 좀 있었는데
03:57아예 안 나왔습니다
03:57아예 그 얘기는 나오지 않았습니다
03:59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 문제라든지 감축 문제에 대해서
04:02트럼프 대통령이 모두 발언해서 조금 얘기를 하긴 했었는데
04:06그 부분은 어떻게 됐는지도
04:07황태희 교수님 조금은 의아스러운
04:24다행히 우리 대통령이 모욕을 당하거나 면박을 당하거나 하진 않아서
04:28정말 다행입니다만
04:30그리고 이 대통령이 유머러스하게 대처도 잘 했는데
04:33우리 국민들의 관심사항은
04:35앞으로 한국이 처하게 될 구체적인 사안들에 대해서
04:39과연 대통령과 대통령이 시작된 참모들이 가서
04:41미국 참모들과 뭘 합의해오느냐가 가장 중요할 텐데
04:45지금 강유정 대변인 얘기 들어보면
04:47이견이 있었다라고 알려진 현안에 대해서는
04:51언급조차 안 나왔다는 건데
04:52언급이 안 된다고 미국이 우리에게 요구하지 않을 건 아닌데
04:56현안에 대해서 언급이 없었다는데
04:58그럼 뭐가 얘기가 잘 됐다는 건가
05:00이게 궁금하거든요
05:02합의문이 필요 없을 정도로 뭔가 회담이 잘 됐다고 얘기를 했지만
05:07사실 합의된 게 없었다는 거죠
05:09사실 합의라는 게 이견을 조정해서 더 나은 방향으로 나가는 거라고 본다면
05:15사실 저희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었던 세 가지 정도가 있지 않았습니까
05:19주한미군 유연성 문제라든지 아니면 3,500만 불의 투자 문제라든지
05:24아니면 가장 중요한 농산물의 개방 문제라든지
05:28이런 현안은 하나도 다루지 않고 그대로 다음으로 패스되는 그런 현국이었고
05:34이게 언급이 안 나온다고 해서 그냥 묻혀지는 게 아니죠
05:38이건 이제 그 다음 단계로 넘어갈
05:39벅패싱이라고 그런 거잖아요
05:41그렇게 다음 단계로 넘어갔다고 보니까
05:44실무진에서 얘기가 앞으로 계속 되겠지만
05:47어느 정도 정상 간의 합의가 이루어졌으면
05:49정말 좋았을 거다라는 생각이 들고요
05:51그렇군요
05:52그런 면에서 무소식이 희소식인
05:55노 뉴스가 굿 뉴스인
05:56그래도 어쨌든 젤렌스키 대통령이나 이런 참사가 벌어지지 않고
06:01화기애애인 분위기에서 계속 회담이 끝까지 갈 수 있었다는 점은
06:05상당히 성공적이다
06:07그런 정도로 평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06:09그런데 사실은 대한민국이 OECD 10위의 경제 대국 규모인데
06:14또 미국에게는 가장 최우선이 우방국 중 하나인데
06:17우크라이나 같은 어떤 외교적 모욕을 당한다는 것은
06:20있을 수 없는 일이고 한국 위상에도 걸맞지 않기 때문에
06:23이 정도 분위기 좋은 건 모든 역대 정부들이
06:26사실 한미 간 정상회담에서 분위기가 좋지 않았습니까
06:28그러면 이 정도 분위기 좋은 거 말고
06:31정상들 간의 이번 회담에서 뭐가 얘기가 잘 됐다고 평가될 수 있을까요
06:35글쎄요 굳이 얘기를 하자면
06:38이재명 대통령께서 트럼프 대통령은 피스메이커를 하시고
06:44나는 페이스메이커를 하겠다라고 얘기를 하면서
06:47대북 정책에 있어서 김정은 위원장과의 대화를 주선한다든지
06:52그런 식의 전향적인 접근을 유도한 것
06:56그게 어떻게 보면 성과라면 성과라고 볼 수 있지만
07:00그 또한 사실 매우 조심해야 하는 측면이 있는 게
07:03이재명 대통령 본인께서 3단계의 비핵화 단계를 말씀하지 않으셨습니까
07:10그중에 첫 번째가 동결이었는데
07:13사실 이 동결을 하려면
07:16예컨대 사찰도 받아야 되고
07:18어느 정도 핵무기가 있는지 알아야지 동결하지 않습니까
07:21그런 거에 대해서 어느 정도 얘기가 나왔으면 좋겠지만
07:24그게 없었다고 하더라도
07:26트럼프의 어떤 만남을 연내에 주선하겠다
07:30혹은 만날 의향이 있느냐
07:32이런 식의 만남이 먼저 이루어진다는 것이
07:35과연 비핵화에 주는 함의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저는 좀 궁금하긴 합니다
07:40강유정 대변인의 좀 더 상세한 설명
07:43내지는 정책실장의 브리핑이 좀 들어봐야 될 것 같습니다
07:45대통령실 대변인 설명대로라면
07:48핵심 현안에 대해서는 전혀 합의 내지 언급이 안 됐는데
07:52대화 분위기는 좋았다
07:54그렇다면 덕담 정도 주고받았다라는 얘기인지
07:57아니면 정말 한미 간의 이견이 있었던 것은
08:01이제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08:02그냥 일과의 15% 관세로 가겠다라는
08:07진짜 합의인지
08:08탐 합의문인 왜 양국 간에 발표되지 않았는지
08:11일본과 미국 정상회담 때는
08:13양 정상 간의 합의문이 있었지 않습니까
08:15있었습니다
08:16이시바 수상이 트럼프를 만났을 때
08:182월에 합의문이 나왔죠
08:21양국 간의 합의문이 나왔죠
08:22공동성명 비슷하게 나왔는데
08:24이번에도 이번 회담은 사실 이제
08:28우리 일반적으로 얘기하기를
08:30야당에서 선출된 이재명 대통령에 대한
08:34트럼프와 트럼프 진영의 어떤 뭐랄까
08:36의구심? 이런 게 상당히 많이 있었다고
08:39전반적으로 알고 있는데
08:40가장 중요한 성과라면 이번 회담을 통해서
08:43그 의구심을 해소했다라는 것이
08:45대통령실에서 볼 때는 가장 큰 성과가 될 수 있습니다
08:47다만 그렇게 큰 부름을 제거한 건 맞는데
08:52그 부름을 제거하고서 나머지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서는
08:55여전히 이견도 남아 있어요
08:57그것도 물론
08:59이재명 대통령은 전략적 위험성 안 받는다
09:02또 농산물 개방 없다라고
09:03기내 회견에서 말씀하셨죠
09:05그리고 미국은 또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09:07이런 부분들에 대해서 악마는 디테일이 있다고
09:10자세한 것을 채워나가야 되는데
09:12아쉬운 점이 있다면
09:13그 디테일한 걸 채워나가는 것은
09:15참모들이 해야 할 일이고
09:17사실 이번 정상에 대해서
09:18그 디테일에 대한 걸 완전히 합의를
09:20저렇게 좋은 분위기였다면
09:22그것까지 합의해가지고
09:23말끔하게 정리가 되었으면 더 좋았을 텐데
09:26그러지 못하고
09:27또 하나의 큰 숙제를 가지고
09:29대통령이 귀국하는 그런 모양새가 됐기 때문에
09:32그 말은
09:33양국 정상들의 회담 직전에
09:36실무진 선에서 양국 간의
09:38민감한 현안에 대해서
09:39합의된 것이 없었던 건 아니냐라는
09:41추측도 다 가능하다 이 말씀이세요?
09:43
09:43구체적인 상황은 모르지만
09:45무난으로 합의문을 만들 수 있는
09:48성과물을 내지 못하는 상황이었던 것은
09:51맞지 않느냐 이렇게 생각이 되는 거죠
09:53현재 상태로선
09:53뭐 단정될 수는 없습니다만
09:55잠시 후 정책실장의 브리핑이 있다면
09:57좀 들어봐야 될 것 같습니다
09:58한미방위비분담금 문제와 관련돼서도
10:02해결해야 할 사안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10:05산적한 사안이 많은데
10:06이번 정상회담에서 어떤 것이 합의됐는지는
10:09아직까지는 좀 불투명한 단계입니다
10:11제가
10:12내가
10:13정말
10:14오늘은
10:15사람들을
10:16진행해야 할 것입니다
10:16저희가
10:16제가
10:17언제
10:17Stitch
10:18하나
10:19
10:19
10:20
10:21
10:21
10:22
10:23
10:24
10:25
10:25
10:25
10:26
10:27
10:27
10:28
10:29
10:30
10:30
10:31
10:32
10:33
10:37
10:37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