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진행 : 조태현 앵커, 조예진 앵커
■ 출연 : 이병두 산림재난·환경 연구부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항상 산불이 날 때 보면 원인도 조사를 해야 되고 이것도 중요한데 이번에도 실화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떤 부분에서 이런 추정이 나오는 겁니까?

◇ 이병두>지금 보면 대부분 실화로 추정되고 있는데요. 산림청이 정확한 원인을 조사 감식 중에 있습니다. 하지만 그 원인을 추정해 볼 수는 있는데 화목 보일러재를 잘못 버렸다거나 아니면 차량 화재가 비화된다거나 아니면 집에서 난 화재가 산불로 옮겨붙는다거나 이런 것이 최근에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산불 통계도 살펴보면 매년 546건의 산불이 발생하는데 자연적인 원인, 번개와 같은 원인으로 발생하는 산불은 1년에 평균 2건에 불과합니다. 즉 99%가 대부분 다 인위적인 원인이고 실화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앵커>이번 강원 지역의 대형 산불. 올해 봄에도 동해안에 대형 산불이 있었는데 그때 산불과 특징을 비교해 주신다면요?

◇ 이병두>올해 3월에 정말 가슴 아픈 일이 있었죠. 건국 이래 가장 재앙적인 산불을 겪었는데 방금 말씀드린 바와 같이 원인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대부분 생활권에서 실수한 실화라는 공통점이 있고요. 바람이 불고 건조한 상태에서는 작은 불씨도 결과를 예측할 수 없을 정도의 재앙적인 산불을 야기할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매우 주의해야 할 것 같습니다.

◆ 앵커>알겠습니다. 주의를 말씀해 주셨는데요. 끝으로 산불은 결국 발생 이후 진화보다는 예방이 더 중요할 것 같아요. 산에 오를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어떤 게 있을까요?

◇ 이병두>맞습니다. 지금 12월 15일까지 산불조심기간인데요. 사람에 의해 발생하는 산불은 개개인의 인식전환과 철저한 예방활동으로 막을 수 있습니다. 그냥 습관적으로 쓰레기 소각, 농부산물 소각은 불법이고요. 방심하면 언젠가는 산불로 이어집니다. 사람들이 소각을 할 때는 언제든지 쉽게 불을 끌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건조하고 바람이 부는 환경에서는 어느 순간 통제를 벗어나 산불로 이어집니다. 실수로 산불을 내더라도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000만 원 이하의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1124111825122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항상 산불이 날 때 보면요. 원인도 조사를 해야 되고 이것도 중요한데
00:04이번에도 실화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떤 부분에서 이런 추정이 나오는 겁니까?
00:11예, 지금 보면 대부분의 실화로 추정이 되고 있는데요.
00:16지금 산림청이 정확한 원인을 조사 감식 중에 있습니다.
00:21하지만 그 원인을 추정을 해볼 수는 있는데
00:24보일러 재를, 사먹 보일러 재를 잘못 버렸다거나 아니면 차량 화재가 비화가 된다거나
00:32아니면 집에서 난 화재가 숯불로 옮겨붙는다거나
00:36이러한 경향이 최근 계속 진행이 되고 있습니다.
00:40우리나라의 산불 통계에서 살펴보면 내년 한 546건의 산불이 발생하는데
00:46매연적인 원인, 번개 같은 원인으로 발생한 산불은 1년에 평균 2건에 불과합니다.
00:54즉 99%가 대부분 다 인위적인 원인이고 실화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00:59네, 이번 강원 지역의 대형 산불, 올해 봄에도 동해안에 대형 산불이 있었는데
01:06그때의 산불과 특징을 좀 비교를 해주신다면요?
01:11네, 올해 3월에 정말 가슴 아픈 일이 있었죠.
01:15강국 이래 가장 대형적인 산불을 겪었는데
01:19방금 말씀드린 바와 같이 원인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01:23대부분 생활권에서 실수한 그 시화라는 공통점이 있고요.
01:29또 바람이 불고 건조한 상태에서는
01:32강국 씨가 결과를 예측할 수 없을 정도의
01:35대형적인 산불을 야기할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01:39이 부분에 대해서는 매우 주의해야 될 것 같습니다.
01:43알겠습니다. 주의를 말씀해 주셨는데요.
01:44끝으로 이 산불은 결국엔 발생 이후의 진화보다는
01:48예방이 더 중요할 것 같아요.
01:50산에 오를 때 주의할 점 어떤 게 있을까요?
01:52네, 맞습니다.
01:54지금 12월 15일까지 산불 조심 기간인데요.
01:58사람이 발생하는 산불은 개개인의 인식 전환과 철저한 예방활동을 나눌 수 있습니다.
02:04그냥 습관적으로, 가령적으로 하는 쓰레기소가
02:08농산부산물, 소확 등은 불법이고요.
02:10집집 방심하면 언젠가는 산불로 이어집니다.
02:13사람들이 제가 소확을 할 때에는 언제든지 쉽게 불을 끌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02:18그렇지 않습니다.
02:20건조하고 바람이 부는 환경에서는 어느 순간 통제를 벗어나
02:24산불로 이어집니다.
02:25실수로 산불을 내서라도 3년 이하의 징역과
02:283천만 원 이하의 관돔을 받을 수 있습니다.
02:32모든 재난이 마찬가지로 진화보다는 예방이 최우선입니다.
02:36국민 한 분 한 분의 관심과 천념만이
02:39산불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