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진행 : 박석원 앵커, 이세나 앵커
■ 출연 : 이승훈 민주당 전 전략기획 부위원장, 윤기찬 국민의힘 법률위 부위원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퀘어 10AM]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이재명 대통령이 다음 달부터는 다시 청와대 시대를 엽니다. 그런데 이 대통령 내외가 머물 수 있는 그 청와대 내 관저를 옮기는 문제. 이 관저를 청와대 내로 옮길 수 있느냐, 아니면 외부로 빼야 하느냐. 문제를 두고 여러 분석들이 나오고 있거든요.이 내용 먼저 듣고 오시죠. 관저까지 청와대 내부에 들어가느냐. 이 부분이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기는 할 텐데 일단 청와대로 복귀하는 필요성과 평가에 대해서는 어떻게 판단하십니까?

◇ 이승훈>청와대로 복귀를 해야죠. 품격과 나라의 격이 느껴지는 것 같아요. 용산으로 가서 외국 정상들과 만나서 대화하는 모습들을 봤을 때 그 배경이 굉장히 초라해 보이더라고요. 대한민국의 위상이 굉장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저런 정도의 청사에서 외국 정상들을 맞이해야 하나 하는 부분들이 저는 굉장히 불편했거든요. 그리고 장소의 중요성도 있는 부분이고. 또 만찬할 때는 청와대를 잠시 이용하거나 또는 호텔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런 것들도 뭔가 정부의 위상을 떨어뜨리는 모습이 있었어요. 그래서 청와대로 가는 것은 당연하다라고 말씀드리고, 또 대통령의 경호라든가 보안에 있어서 정말 신중해야 되는 부분이 있는데 용산 대통령실이 그런 부분에 있어서도 좀 떨어졌다는 문제. 그리고 국방부 또한 대통령실 못지않게 전쟁이 발생했을 때 바로 대처할 수 있는 제대로 된 공간들이 있어야 되는데 대통령이 갑자기 내가 여기로 올 거야 하니까 급하게 나갔거든요. 그래서 국방부 자체도 그 기능이 상당히 효율적이지 못했다는 측면에서 청와대 이전은 당연한 거 같고요. 앞으로도 대통령실 청와대로 이전한다라고 한다면 그 효율성을 굉장히 높이면서 국민과의 소통의 간극은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차기 공간을 이전했을 때 이재명 정부가 해야 될 중요한 역할인 것 같습니다.

◆ 앵커>관저를 옮기는 것에 대해서 여러 얘기가 나오고 있는데 보안이나 업무 효율성 관련해서도 얘기가 나오는 것 같습니다.

◇ 윤기찬>저는 관저는 만약에 대통령실이 이전 청...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1124152410949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이재명 대통령이 다음 달부터는 다시 청와대 시대를 엽니다.
00:03그런데 이 대통령 내외가 머물 수 있는 청와대 내 관저로 옮기는 문제,
00:08이 관저를 청와대 뇌로 옮길 수 있느냐, 아니면 외부로 빼야 되느냐,
00:11이런 문제를 두고 여러 분석들이 나오고 있거든요.
00:15이 내용 먼저 듣고 오시죠.
00:18대통령 내외가 머무는 관저는 대한민국 최고의 경우 보완 등급이 필요한 내용인데,
00:25그런 상황에서 공개가 되어버리니 쉽지 않죠.
00:27또 도감청 조치는 아주 기본인데, 이런 것 이외에도 여러 가지 따져될 게 많거든요.
00:34저는 개인적으로 관저를 옮겨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00:38삼촌동 인근에 여러 공간들이 있습니다. 안가라든지.
00:41그런 공간을 활용하면 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00:45저는 직주 공간이 분리되는 게 청와대 갖고 있는 기능 중에 하나를 상실하는 거라고 보거든요.
00:51왜냐하면 저는 그때를 겪었으니까.
00:53그래서 뭔가 급박한 일이 있거나 이럴 때 바로바로 대통령께 보고가 되고,
00:59또 대통령도 바로바로 또 비서동께 내려와서 업무 지시를 하거나 업무를 보실 수 있었고,
01:05거의 같은 공간이었잖아요, 청와대라는 건.
01:09그런데 그게 분리가 된 게 윤석열 대통령 때부터고,
01:12그리고 지금 다시 돌아가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하니 좀 안타깝죠.
01:18관저까지 청와대 내부에 들어가느냐.
01:23이 부분은 이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긴 할 텐데,
01:25일단 청와대로 복귀하는 그 필요성과 평가에 대해서는 어떻게 지금 판단하십니까?
01:29청와대로 복귀를 해야죠.
01:32품격과 나라의 격이 좀 느껴지는 것 같아요.
01:35용산으로 가서 외국 정상들과 만나서 대화하는 모습들을 봤을 때,
01:40그 배경이 굉장히 초라해 보이더라고요.
01:43대한민국의 위상이 굉장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01:47저렇게 저런 정도의 청사에서 외국 정상들을 맞이해야 되나라고 하는 부분들이 저는 굉장히 불편했거든요.
01:56그리고 그 장소의 중요성도 또 있는 부분이고,
01:59또 만찬할 때는 청와대를 잠시 이용하거나 또는 호텔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02:04이런 것들도 뭔가 정부의 위상을 좀 떨어뜨리는 모습이 있었어요.
02:10그래서 청와대로 가는 것은 당연하다라고 말씀드리고,
02:13또 대통령이라든가 경호라든가 보완에 있어서 정말 신중해야 되는 부분이 있는데,
02:21용산 대통령실이 그런 부분에 있어도 좀 떨어졌다는 문제,
02:26그리고 국방부 또한 대통령실 못지않게 전쟁이 발생했을 때 바로 대체할 수 있는 제대로 된 공간들이 있어야 되는데,
02:34대통령이 갑자기 내가 여기로 올 거야 하니까 급하게 나갔거든요.
02:39그래서 국방부 자체도 그 기능이 상당히 효율적이지 못했다는 측면에서 청와대 이전은 당연한 것인 것 같고요.
02:48앞으로도 대통령실이 청와대로 이전한다고 한다면 그 효율성을 굉장히 높이면서 국민과의 소통의 간극은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02:59차기 공간을 이전했을 때 이재명 정부가 해야 될 중요한 역할인 것 같습니다.
03:06네, 관저를 옮기는 것에 대해서는 여러 얘기가 나오고 있는데,
03:09보완이나 업무 효율성 관련해서 또 얘기가 나오는 것 같습니다.
03:13저는 관저는 만약에 대통령실이 이전 청와대로 대통령 업무 공간을 옮길 바에는 관저도 같이 가야 된다고 생각을 해요.
03:22그것이 대통령의 사생활 측면에서 보면 단점이 좀 있겠지만,
03:27그것이 좀 더 효율적이지 않을까.
03:29아까 탁현민 씨 얘기한 것처럼 만약에 또 관저가 청와대 인근에 새로 터잡게 되면,
03:36그럴 바에는 아예 관저를 현재 유지하는 게 낫겠죠.
03:38그래서 개인적으로 보면 청와대로 옮길 때 같이 관저도 옮기는 것이 맞다.
03:44그것이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측면이 있는 것이고,
03:48또 각 참모나 아니면 장관들이 대통령께 보고하는 시간적 제안도 받지 않고,
03:54보고하는 시간적 제안도 받지 않는다는 것은 상당히 어떤 대응 체계가 효율적으로 움직인다는 것이기 때문에,
03:59개인적으로 그게 옳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