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진행 : 조태현 앵커, 조예진 앵커
■ 출연 : 이병두 산림재난·환경 연구부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요즘 건조한데, 바람도 강하게 불죠.강원도 쪽에서 산불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대책은 없는지이병두 산림재난·환경 연구부장 연결해 자세히 들어보겠습니다. 연구부장님, 나와 계시죠?

[이병두]
안녕하십니까? 산림과학원의 이병두입니다.


안녕하십니까? 이번에 강원도 쪽에서 계속 산불이 발생하고 있어요. 이걸 보면 야간에 계속 발생을 하고 있는데 어떤 특징들이 있습니까?

[이병두]
맞습니다. 인제, 양양 산불 모두 해가 지면 야간에 산불이 발생했다는 점과 또 최근 강원 지역에 내려진 건조특보 속에서 발생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어제의 경우에는 전날에 발생한 양양 산불이 꺼지지 않은 상태에서 전남 화순, 서울 금천, 경기 여주 등 세 건의 산불이 발생했습니다. 참고로 평균 하루에 3건이 났었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4건의 산불이 동시에 발생했다는 것은 굉장히 이례적입니다.


이렇게 4건의 산불이 동시에 발생할 만큼 대기가 건조한 상황인데 그 특징을 다시 한 번 짚어주신다면요?

[이병두]
지금 강원도 영동지방 같은 경우에는 일주일 넘게 건조특보가 발효된 상태고요. 이에 따라서 대기가 아주 건조한 상태입니다. 저희들이 연구결과에 따르면 실효습도가 30% 이하로 내려가면 발화임계점을 넘어서 불이 붙기 쉽고 불이 붙은 다음에도 매우 빠르게 확산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은 지금은 산불이 나기 좋은 환경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그나마 다행인 건 오늘 전국적으로 비 예보가 있습니다. 그런데 양은 많지 않은 것 같아요. 그나마 이마저도 건조한 날씨에 도움이 될까요?

[이병두]
물론 적은 비라도 오면 산불이 발생하는 위험이 매우 많이 떨어집니다. 5mm 정도 오면 한나절 정도의 예방 효과가 있다고 보고 있는데요. 하지만 지금 서쪽에서부터 들어온다고 예보가 되어 있는데 이 비가 건조특보가 내려져 있는 강원 영동 지역, 그러니까 강릉이나 이런 지역까지 갈 것인지 그게 좀 우려가 됩니다.


빠른 속도로 무섭게 불이 번져서 진화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었다고 들었습니다.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8_20251124070105917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요즘 건조한데 바람도 강하게 불죠. 강원도 쪽에서 산불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00:05대책은 없는지 이병도 산림재난환경연구부장 연결해서 자세히 들어보겠습니다.
00:11연구부장님 나와 계시죠?
00:13네, 안녕하십니까. 산림과학원의 이병규입니다.
00:16네, 안녕하십니까. 부장님.
00:19이번에 강원도 쪽에서 계속 산불이 발생을 하고 있어요.
00:23이걸 보면 또 야간에 계속 발생을 하고 있는데 어떤 특징들이 있습니까?
00:27네, 맞습니다. 인제 양양산불 모두 해가 진후, 즉 야간에 산불이 발생했다는 점과
00:35또 최근 강원 지역에 내려진 건조특보 속에서 발생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00:41어제의 경우에는 전날에 발생한 양양산불이 꺼지지 않는 상태에서
00:46전남 화순, 서울 금천, 경기 여주 등 3건의 산불이 발생했습니다.
00:52네, 참고로 10년의 평균값을 살펴보면 이 시기에는 하루에 3건 정도 났었거든요.
00:59그렇기 때문에 4건의 산불이 동시에 발생했다는 것은 굉장히 이례적입니다.
01:06네, 이렇게 4건의 산불이 동시에 발생할 만큼 대기가 건조한 상황인데
01:13그 특징을 다시 한번 짚어주신다면요?
01:15네, 지금 강원도 영동 지방 같은 경우에는 일주일 넘게 건조특보가 자료된 상태이고요.
01:24이에 따라서 대기가 아주 건조한 상태입니다.
01:28저희들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통계수도가 30% 이하로 내려가면
01:36따라 2인기점을 초과해서 불이 붙기 쉽고 그리고 불이 붙은 다음에도 매우 빠르게 확산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01:43네, 알겠습니다.
01:45말씀하신 것처럼 지금은 산불이 나기 좋은 환경이라고도 볼 수가 있겠는데요.
01:50그나마 다행인 것은 오늘 전국적으로 비 예보가 있습니다.
01:53그런데 양은 많지가 않은 것 같아요.
01:55그래도 이나마 아래에도 건조한 날씨에 도움이 될까요?
01:58네, 물론 작은 비라도 오면 산불이 발생하는데 위험이 매우 많이 떨어집니다.
02:06저희가 5mm 정도 오면 신나절 정도의 예방 효과가 있다고 보고 있는데요.
02:13하지만 지금 서쪽에서부터 비가 들어온다고 예보가 되어 있는데
02:17이 비가 지금 건조특보가 내려져 있는 강원도 영동지역,
02:22그러니까 강릉이나 이런 지역까지 갈 것인지 그게 조금 우려가 됩니다.
02:28네, 빠른 속도로 무섭게 불이 번져서 진화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었다고 들었습니다.
02:34양양의 경우 야간에 특히 진화대원들이 가파른 산을 올라가야 해서 어려움을 겪으셨다고요?
02:40네, 맞습니다. 양양산불 같은 경우는 휘가 완전히 진 후에 발생을 했기 때문에
02:47공중 진화 헬기에 공유 받을 수가 없어서 지상에서만 진화를 할 수가 있었습니다.
02:53그런데 인도와 같은 속금러가 없어서 진화대원들이 올라가기가 힘들었고요.
02:59지형상으로는 능선 너머에 절벽이 있어서 안전사고에 우려가 많았습니다.
03:04173명의 산불특수 진화대와 약 100대가 넘는 정비를 총 투입했으나
03:11약간 진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03:15참 이게 올해 초에 산불대도 저희가 여러 차례 부장님과도 이야기를 하면서 지적했던 부분인데
03:21별로 달라진 것 같지가 않아서 안타까운 마음도 들고요.
03:25이번에 보면 피해 면적이 꽤나 넓었습니다.
03:27축구장 30여 개 면적인 22.5헥타르라고 하는데 왜 이렇게 피해 면적이 넓었습니까?
03:32네, 일반적으로 봄철 산불보다는 가을철 산불은 피해 면적이 작은 것이 특징인데요.
03:41월산불 수급은 좀 넓었습니다.
03:44원래 산불은 기상, 연료, 지형 3가지 인자의 영향으로 확산되는데
03:49기상과 연료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최근에 방수량이 없었고 또 바람이 강했잖아요.
03:56그리고 이제 이에 따라서 연료가 바싹 말라 있어 물이 쉽게 붙었고 빨리 확산할 수 있는 구조였습니다.
04:03방금 말씀드렸지만 진화의 권도 좀 좋지는 않았습니다.
04:07야간에 발생해서 공중 진화 혈기의 지원 없이 지상에서만 진화를 했어야 됐는데
04:13지상에서만 진화한 것 치고는 그래도 야간에 소극적으로 진화를 해서
04:19진화 효율이 좀 높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04:22네, 걱정되는 게 아직까지 날씨가 많이 건조하고 바람도 많이 불고 있기 때문에
04:29현재 진화가 완료된 상태라고 해도 산불이 다시 발화할 가능성 있을까요?
04:35네, 언제든지 재발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04:39국립찰임과학원의 연구에 따르면 산불 진화 후 3일 후 또는 길게는
04:44일주일 후에도 남아있는 산불이 재발화될 수 있는데요.
04:48지금 필름청에서는 주불이 진화된 후에도 진화대원들이 현장에 계속 남아서
04:55잔불을 지속적으로 감시화하면서 연기가 올라가면 즉각 진화하고 있습니다.
05:01주불 진화 후에 이러한 잔불 감시가 더 어렵고 중요한 일입니다.
05:07알겠습니다.
05:08항상 산불이 날 때 보면 원인도 조사를 해야 되고 이것도 중요한데
05:12이번에도 실화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05:15어떤 부분에서 이런 추정이 나오는 겁니까?
05:19네, 지금 보면 대부분의 실화로 추정이 되고 있는데요.
05:25산림청이 정확한 원인을 조사 감시 중에 있습니다.
05:29하지만 그 원인을 추정을 해볼 수는 있는데
05:32보일러 젤을, 사먹 보일러 젤을 잘못 버렸다거나
05:36아니면 차량 화재가 비화가 된다거나
05:40아니면 집에서 난 화재가 산불로 옮겨붙는다거나
05:44이러한 경향이 최근 계속 진행이 되고 있습니다.
05:48우리나라의 산불 통계에서 살펴보면
05:50내년 한 546건의 산불이 발생하는데
05:54매연적인 원인, 번개 같은 원인으로 발생하는 산불은
05:591년에 평균 2건에 불과합니다.
06:02즉 99%가 대부분 다 인위적인 원인이고
06:05실화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06:08네, 이번 강원 지역의 대형 산불
06:12올해 봄에도 동해안에 대형 산불이 있었는데
06:15그때의 산불과 특징을 좀 비교를 해주신다면요?
06:19네, 올해 3월에 정말 가슴 아픈 일이 있었죠.
06:23강국 이래 가장 대형적인 산불을 겪었는데
06:27방금 말씀드린 바와 같이 원인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06:31대부분 생활권에서 실수한 시화라는 공통점이 있고요.
06:37또 바람이 불고 견주한 상태에서는
06:40어떤 부시가 결과를 예측할 수 없을 정도의
06:43대형적인 산불을 야기할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06:47이 부분에 대해서는 매우 주의해야 될 것 같습니다.
06:51알겠습니다. 주의를 말씀해 주셨는데요.
06:53끝으로 이 산불은 결국엔 발생 이후의 진화보다는
06:57예방이 더 중요할 것 같아요.
06:58산에 오를 때 주의할 점 어떤 게 있을까요?
07:01네, 맞습니다.
07:02지금 12월 15일까지 산불 조심기간인데요.
07:06사람이 발생하는 산불은 개개인의 임직 전환과
07:10철저한 예방을 하고 나갈 수 있습니다.
07:12그냥 습관적으로, 간행적으로 하는 쓰레기소가
07:16농산부산물 수확 등은 비법이고요.
07:19집집 방심하면 언젠가는 산불로 이어집니다.
07:21사람들이 제가 소각을 할 때에는 언제든지 쉽게 불을 끌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07:27그렇지 않습니다.
07:28건조하고 바람이 부는 환경에서는 어느 순간 통제를 벗어나
07:32산불로 이어집니다.
07:34실수로 산불을 내더라도 3년 이하의 징역과
07:373천만 원 이하의 반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07:40모든 재난이 마찬가지로 진화보다는 예방이 최우선입니다.
07:45국민 한 분 한 분의 관심과 천념만이
07:48산불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07:50네, 알겠습니다.
07:51잔악계나 불조심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07:54여기까지 듣겠습니다.
07:55지금까지 이병도 산림재난환경연구부장과 함께했습니다.
07:58잘 들었습니다.
08:00네, 고맙습니다.
08:00네, 고맙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