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2시간 전


울산 붕괴사고 내부 수색 재개
소방당국 오전 11시쯤 시신 수습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수사 방향은?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지금까지 생생 지구촌이었습니다.
00:30안타깝게도 지난 10일 새벽 이미 숨을 거둔 것으로 확인이 되고 있는 상황인데 어제부터 수색작업이 지연되고 중단되었다가 오늘 오전에 재개되었고 오늘 추가로 시신 항구를 수습했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00:45아직도 매몰되어 계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구조가 좀 더딘 상황 왜 그런 건가요?
00:51그렇습니다. 구조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00:53이번에 사고가 완전히 무너져버린 보일러기는 5호입니다.
00:58양쪽에 4호와 6호기가 존재하는데 추가 붕괴의 우렴 때문에 어떤 적극적인 구조작업을 펼치기엔 난항을 겪고 있는 겁니다.
01:08현재 사망 3명, 사망 추정 2명, 실종 2명으로 4명이 여전히 잔해 속에 매몰되어 있는데 추가 붕괴의 우염 때문에 어제도 사실 구조작업이 중단됐습니다.
01:20이 붕괴한 타워에 부착해둔 기울기 센서가 반응을 하면서 추가 붕괴 위험이 있다.
01:27이렇게 경보음이 나서 더 이상 구조를 진행하지 못하다가 오늘 추가적으로 인력도 투입되고 있고 특히 드론을 통한 수색에 나서고 있고요.
01:35일부는 직접 인력이 들어가고 있지만 지금 양옆에 위치하고 있는 4호기와 6호기의 붕괴 가능성이 높다는 그런 지적들도 나오고
01:44그렇다면 대형 크레인 등을 동원해서 적극적으로 잔해를 치우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01:50구심스럽죠.
01:51그렇죠. 구조가 굉장히 시간이 걸리고 난항을 겪고 있다는 이야기 나옵니다.
01:55아마도 4호기, 6호기에 대해서 지금 발빠르게 해체 작업을 안전하게 진행하겠다고 밝히고 있는 만큼
02:01이 해체 작업이 진행된 이후에는 조금 더 속도를 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02:05앞서서 언급해 주신 것처럼 위험 증오 감지로 밤사이에 수색 작업이 중단되기도 했었는데요.
02:11소방당국에서도 수색에 어려움을 토로했습니다.
02:144호기와 6호기가 아직 굉장히 불안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02:20혹시 그 4호기, 6호기를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작업을 하다 보면
02:27그게 오히려 확연이 돼서 2차 폐해가 발생할 수 있는 소지 때문에
02:33지금 시간이 좀 더 길어진다고 이렇게 보시면 되겠습니다.
02:39구조하는 방법이라든지 구조기술사 이런 분들은
02:43그런 부분에서 지금 충분히 논의를 하고 있지만
02:46우리 대원들이 지금 들어가서 직접 인맥 확인을 하고 있기 때문에
02:53그 부분이 어느 정도까지 매듭이 돼야
02:58또 구조 어떻게 하겠다
03:01이렇게 하는 부분은 그때쯤 돼야
03:03이렇게 나온다고 이렇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03:06그래서 조금 늦어진다고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03:08이번 붕괴 사고로 큰 슬픔을 겪고 있는 유가족 목소리 들어보겠습니다.
03:14변호사님, 40대 늦각이 신랑의 소식이 더욱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죠.
03:34정말 안타깝습니다.
03:3740대 늦각이 신랑은 반도체 회사에 취직을 했는데
03:40이 취직, 일자리가 좀 늦어지게 되면서 생활비 등을 벌기 위해서
03:46일용직 일자리를 구해 이번 붕괴 사고 현장에서 일을 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03:53매몰된 지 19시간 만에 안타깝게도 사망을 했는데요.
03:56이 사망 전에 일을 하면서 사고 당일에 점심 뭐 먹었냐는 그 연락,
04:03이 따뜻한 안부 문자가 마지막이 될 줄은
04:07이 안에도 결코 알지 못했다 이런 안타까운 소식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04:12지금 실종자들의 수색 작업이 진행 중이고 있지만
04:15이런 사고 같은 경우에는 골든타임 내에 구조되는 것이 너무나도 중요한데요.
04:20여러 가지 어려운 상황들이 있겠지만
04:22많은 관계자분들이 조금 더 힘을 내셔서 빠른 수색 활동이 이루어졌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04:28네, 부디 빠른 수색으로 무사히 돌아왔으면 하는 바람인데
04:33이 사고 영상을 한번 좀 이 지점에서 짚어보고 가겠습니다.
04:39이게 도대체 왜 이런 사고가 일어난 걸까?
04:41지금 보시면 저렇게 갑자기 다리 부분이 무너지면서
04:46저렇게 정말 말 그대로 폭삭 무너졌거든요.
04:48먼지를 일으키면서요.
04:50변호사님, 이게 사고 원인이 아직 정확한 것 같아요.
04:52정확하게 규명된 건 아닙니다만
04:53뭘로 지금 가장 추정이 되고 있나요?
04:56물론 현재로서는 이 구조 작업이 제일 우선이겠지만요.
05:00반드시 사고 원인에 대한 규명도 필요합니다.
05:03법적으로 보더라도 이전부터 성수대교 붕괴도 그랬고
05:07삼풍 백화점 붕괴 때도 그랬고
05:09그 이후에도 계속해서 있었던 이런 사고들
05:12법적으로 보면 과실이 있었고 원인이 존재했습니다.
05:16그에 따라 책임이 필요한 것인데
05:17이번 사고를 보자면 지금 40년도 더 넘은 이 구조물들을 해체하는 과정.
05:24원래 해체를 하려고 했던 구조물들이었습니다.
05:28그렇다면 당초에 도면 같은 것은 있었겠지만
05:31도면이 워낙 예전에 만들어진 것이고요.
05:34당시에 제대로 그려지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고
05:3740년이라는 기간을 사용하면서 유지 보수를 했기 때문에
05:41구조물이 일부 변경이 됐을 수 있습니다.
05:44그렇다면 더욱 정확하게 실측하고
05:46현지와 유사한 수준으로 그 구조를 완전히 파악해서
05:50발파 위치라든가 어느 부분을 절탄해서
05:53이 발파가 쉬워질 수 있도록 구조물을
05:56정리해둔 다음에 폭파할지가 매우 중요할 텐데
05:59사실 이 일을 맡긴 처음에 애초에 발주처가 있을 것이고
06:04이 발주처에 또 하청을 받고 또 하청을 받은
06:06여러 가지 화사들이 연관이 되면서
06:09과연 정확하게 도면을 그려서 거기다 발파 위치를 선정한 것인지
06:15이걸 해체화 작업이라고 하는데
06:17구조물을 일부 절단함으로써
06:19한 번에 안전하게 폭파될 수 있도록 정리하는 과정에서
06:22무리하게 해체 작업을 한 것은 아닌지
06:25아니면 도면이라든가 해체 작업에 대한 구상까지는 완벽했는데
06:30이 인력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06:33무리하게 진행을 하다가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닌지
06:35법적으로 책임 소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06:38이 단계 단계에 대한 명확한 사실 조사와 확인이 필요한데
06:42아마도 이 모든 것들이 합쳐져서
06:45이런 참담한 결과가 나온 것이 아닌가
06:47정말 안타까운 상황입니다
06:49수사기관의 수사 방향도 계속 지켜보겠습니다
06:52수사 방향도 계속 지켜봤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