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지난 3월 초대형 산불이 경북 북부를 휩쓸었습니다.

복구 계획이 한창인데, 산에 인공적으로 나무를 심을지, 자연 회복에 맡길지 결정이 쉽지 않습니다.

김근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산불로 잿더미가 된 경북 의성의 야산입니다.

시커멓게 타죽은 나무 사이로 초록색 새 수목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불과 6개월 만에, 자연이 스스로 회복을 시작한 겁니다.

숲에 직접 들어와 봤습니다. 죽은 나무 밑동에는 이렇게 숲이 통째로 탔던 흔적이 아직 선명한데, 주변엔 벌써 사람 키 높이만큼 자란 수목들도 많습니다.

사찰 소유 숲 250㏊가 모두 탄 천년고찰 고운사도 인공조림 없이 자연회복을 결정했습니다.

[등운 스님 / 고운사 주지 : 사람이 인위적으로 손대서는 살릴 수가 없어요. 자연한테 맡겨두자, 그러면 그 환경에서 살 수 있는 식생이 가장 빨리 적응하고 살아남을 수 있으니까….]

자연 회복한 숲은 기후에 맞는 다양한 나무가 자라 생태계 복구에 유리하고, 활엽수 비율이 늘어 산불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서재철 / 녹색연합 전문위원 : 활엽수림 지역의 신갈·굴참·떡갈·갈참·졸참 이런 나무들은 대부분 심은 나무가 아니라 스스로 자라난 것이고, 놔둬도 얼마든지 숲이 잘 재생하고….]

하지만 현실적으로 인공조림을 배제할 수는 없다는 의견이 만만찮습니다.

자연 복구의 경우 수종 간 경쟁으로 울창한 숲을 만들기 어렵고, 나무가 자라지 않는 구역도 생깁니다.

생장 환경을 사람이 관리할 수 없어 목재 생산이 어렵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것도 단점입니다.

[엄태원 / 우탄 숲복원생태연구소장 : 자연 복원이라는 이름으로 그냥 자연을 방치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정도 나무를 관리해서, 인위적인 힘을 집어넣어서 더 빨리 좋은 숲으로 갈 수 있게 해주는 게 좋지 않겠느냐….]

각 지자체의 복구 계획은 내년 초쯤 윤곽을 드러낼 예정인데, 인공조림과 자연회복 사이 절충점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YTN 김근우입니다.




YTN 김근우 (gnukim052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1004011445917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지난 3월, 초대형 산불이 경북 북부를 휩쓸었습니다.
00:04현재 복구 계획의 한창인데, 산에 인공적으로 나무를 심을지 또는 자연 회복에 맡길지 결정이 쉽지 않습니다.
00:12김근우 기자입니다.
00:16산불로 잿더미가 된 경북 의성의 야산입니다.
00:20시커멓 해 타죽은 나무 사이로 초록색 새 수목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00:25불과 6개월 만에 자연이 스스로 회복을 시작한 겁니다.
00:30숲으로 직접 들어와봤습니다.
00:32나무 밑둥을 보면 이렇게 숲이 통째로 탔던 흔적이 아직 선명한데,
00:37주변으로는 벌써 사람 키 높이만큼 자란 수목들도 많습니다.
00:42사찰 소유숲 250헥타르가 모두 탄 천년고찰 고운사도, 인공조림 없이 자연 회복을 결정했습니다.
00:50사람이 인위적으로 손을 대서는 적을 살릴 수가 없어요.
00:55이 자연한테 맡겨두자.
00:56그러면 이 자연의 그런 환경에 잘 살아남을 수 있는 식생이 가장 빨리 적응을 하고 살아남을 수 있으니까.
01:06자연 회복한 숲은 기후에 맞는 다양한 나무가 자라 생태계 복구에 유리하고,
01:11화렵수 비율이 늘어 산불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01:14화렵수림 지역의 신갈, 굴참, 떡갈, 갈참, 졸참 이런 나무들은 대부분 심은 나무가 아니라 스스로 회복한 것이기 때문에
01:23놔둬도 얼마든지 숲이 잘 재생하고.
01:27하지만 현실적으로 인공조림을 배제할 수는 없다는 의견이 만만치 않습니다.
01:34자연 복구의 경우 수종 간 경쟁으로 울창한 숲을 만들기 어렵고 나무가 자라지 않는 구역도 생깁니다.
01:42생장 환경을 사람이 관리할 수 없어 목재 생산이 어렵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것도 단점입니다.
01:47자연 복원이라는 이름으로 그냥 자연을 방치하는 것이 아니라
01:51일정 정도는 얘네들을 관리를 해줘서 인위적인 힘을 좀 집어넣어 줘서
01:57훨씬 더 빠르고 좋은 숲으로 갈 수 있도록 해주는 게 저는 좋지 않겠느냐.
02:02각 지자체의 복구 계획은 내년 초쯤 윤곽을 드러낼 예정인데
02:06인공조림과 자연 회복 사이 절충점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02:11YTN 김근우입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