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국민의힘 대변인의 같은 당 김예지 의원을 향한 '장애인 비하 발언' 논란 여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김 의원이 지도부 처분에 이해가 어렵단 입장을 낸 가운데, 지도부는 계파 갈등 확산 차단에 주력하며 여론 추이를 주시하는 모양새입니다.

박정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비례대표에 장애인을 너무 많이 할당했다', '눈이 불편한 걸 제외하면 기득권'이라는 국민의힘 박민영 미디어 대변인 발언 논란 뒤 김예지 의원이 첫 공개 석상에 섰습니다.

피해자이자 당내 일원으로서 조심스럽다면서도 아직 당사자에게서 사과를 받지 못했다고 운을 뗐습니다.

'엄중 경고'란 지도부 조치에도 아쉬움을 숨기지 않았습니다.

[김예지 / 국민의힘 의원 : 인재는 지켜야 한다는 말씀에 대해서는….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좋은 방향으로 약자와 동행하는 우리 국민의힘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아주 간절하고….]

계파 간 해묵은 감정의 골을 타고 당내 내홍으로 번질 수 있단 우려도 적잖습니다.

김 의원은 한동훈 체제였던 작년 총선에서 두 번째 비례대표 공천을 받았고, 3대 특검 등에 찬성표를 던지며 '친한동훈계'로 분류됐는데, 박 대변인에 사퇴 조처가 내려지지 않은 건 사실상 친한계에 대한 견제가 아니냐는 겁니다.

'엄중 경고'로 진화에 나섰던 지도부는 일단 추가 조치 없이 상황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다만 발언 자체는 부적절했지만, 김 의원의 이례적 연속 비례 공천은 짚어볼 만한 대목이란 기류도 일각에서 감지됩니다.

[신동욱 / 국민의힘 의원(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 저희 당내 문제랑 연결돼 있기 때문에…. 뭐 어떤 경위로 (김예지 의원이) 두 번 연속 그 비례대표가 됐는지….]

여기에 계파 갈등의 주요 뇌관, 한동훈 전 대표의 당원 게시판 논란을 지방선거 전 마무리 지어야 한단 취지의 발언도 나왔습니다.

[나경원 / 국민의힘 의원(어제, YTN 라디오 '뉴스 정면승부') : 한동훈 대표도 (지방선거·재보궐선거에 출마)하고 싶으면 뭐 경선에 뛰어들면 되는 거고요. 당원 게시판 문제에 대한 진실은 밝혀야 되겠죠.]

이런 가운데 지도부는 4선 이상 중진을 만났습니다.

지선을 앞두고 외연 확장을 강조하는 목소리도 나왔지만, 주로 여당 공세에 맞춰 함께 싸우자는 결의를 다진 거로 전해졌습니다.

비상계엄 1주년을 앞두고 여권의 '내란 프레임' 공세... (중략)

YTN 박정현 (miaint3120@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51119225042337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국민의힘 대변인의 같은 당 김예지 의원을 향한 장애인 비하 발언 논란 여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00:07김 의원이 지도부 처분의 이해가 어렵다는 입장을 낸 가운데 지도부는 개파 갈등 확산 차단에 주력하며 여론의 추이를 주시하는 모양새입니다.
00:16박정현 기자입니다.
00:17비례대표의 장애인을 너무 많이 할당했다, 눈이 불편한 걸 제외하면 기득권이라는 국민의힘 박민영 미디어대변인 발언 논란 뒤 김예지 의원이 첫 공개석상에 섰습니다.
00:31피해자이자 당내 일원으로서 조심스럽다면서도 아직 당사자에게서 사과를 받지 못했다고 운을 뗐습니다.
00:40엄중 경고란 지도부 조치에도 아쉬움을 숨기지 않았습니다.
00:47김 의원은 한동훈 체제였던 작년 총선에서 두 번째 비례대표 공천을 받았고, 3대 특검 등에 찬성표를 던지며 친한동훈계로 분류됐는데,
01:15박 대변인의 사퇴 조처가 내려지지 않은 건 사실상 친한계에 대한 견제가 아니냐는 겁니다.
01:22엄중 경고로 진화에 나섰던 지도부는 일단 추가 조치 없이 상황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01:27다만 발언 자체는 부적절했지만, 김 의원의 이례적 연속 비례 공천은 짚어볼 만한 대목이란 기류도 일각에서 감지됩니다.
01:35저희 당내 문제하고 연결이 돼 있기 때문에, 어떤 경위로 두 번 연속 비례대표가 됐는지, 그건...
01:43여기에 개파 갈등의 주요 뇌간, 한동훈 전 대표의 당원 게시판 논란을 지방선거 전 마무리 지어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도 나왔습니다.
01:51한동훈 대표도 하고 싶으면 경선에 뛰어들면 되는 거고요.
01:56당원 게시판 문제에 대한 진실은 밝혀야 되겠죠.
01:59이런 가운데 지도부는 4선 이상 중진을 만났습니다.
02:04지선을 앞두고 외연 확장을 강조하는 목소리도 나왔지만, 주로 여당 공세에 맞춰 함께 싸우자는 결의를 다진 거로 전해졌습니다.
02:12비상계엄 1주년을 앞두고 여권의 내란 프레임 공세가 격화할 거로 보이는 가운데,
02:18내부 갈등을 조기에 수습하지 못할 경우 대여투쟁 원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02:23YTN 박정연입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