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2주 전


[앵커]
정치부 이남희 선임기자 나왔습니다.

Q. '부동산 정책 5인방' 이름이 요즘 계속 오르내리는데 누구를 말하는 거예요?

이재명 정부 부동산 정책 키를 쥔 5명입니다.

'컨트롤 타워'인 김용범 정책실장과 '세제' 맡은 구윤철 경제부총리, 고강도 대출 규제 내놓은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있죠.

공급 대책 짜는 이상경 국토부 1차관과 금융사 담당하는 이찬진 금감원장도 들어가는데요.

서울과 경기 지역의 고가 아파트 사기 어렵게 만든 이번 부동산 대책과 연관있는 사람들이죠.

Q. 5인방, 구체적으로 뭐가 문제에요? 무엇에 분노한다는 거예요?

5인방의 집이 어디 있나 보면 첫번째 분노 포인트 알 수 있습니다. 

김용범 실장은 서울 서초동에 구 부총리와 이억원 위원장은 서울 강남구 개포동에 이상경 차관은 경기 분당에 40평대 아파트가 있습니다.

금감원장은 서울 서초구 우면동에 아파트 2채 갖고 있죠.

모두 가격이 수십억원 대예요.

이번 10.15 대책의 고강도 대출규제에 묶여 돈 빌려 집 사기 어려운 곳들이죠.

Q. 서울 강남이나 분당에 집 있는 게 문제라는 거예요?

보통 사람들처럼 월급 모으고 빚도 내 강남에 집 산 것 불법도, 잘못도 아닙니다. 

문제는 "자기들은 한강벨트 살면서 국민들 한강다리는 끊었다"는 불만, 터져나온다는 거죠.

이번 대책으로 서울 전역과 경기 일부 지역 전세 끼고 집 사는 갭투자 틀어막았잖아요. 

그런데 5인방 중 세 사람, 갭투자로 '똘똘한 1채' 장만했거든요. 

이상경 차관 뿐 아니라요.

구윤철 부총리와 이억원 위원장, 2013년 서울 개포동에 재건축 앞둔 같은 아파트를 샀거든요. 

당시 8억 원대 가격에 둘다 전세 끼고요.

Q. 지금 가격 따지면 시세 차익이 어마어마하겠어요?

바로 세번째 분노 포인트입니다.

본인들은 갭투자로 좋은 데 집 사놓고 돈까지 많이 벌었는데 남들은 돈 못 벌게 틀어막았단 거죠.

김용범 실장, 2000년 재건축 조합원 입주권을 4억원대 구입했는데 재건축된 이 아파트 지금 약 30억 원대죠.

구 부총리와 이 위원장이 전세 끼고 산 아파트는 무려 40억 원대입니다. 

수십억 시세차익이 기대되죠.

이상경 차관도 지난해 전세 끼고 33억대에 산 아파트 요즘 40억 원에 거래되거든요.

Q. 5인방 중 일부가 해명 내놓기도 했는데, 해명이 더 논란이에요?

구윤철 부총리 청문회 때 "부동산, 자산 증식 수단으로 하지 않았다"고 했거든요. 

그런데 과거 4채 보유했다가 3채 매도한 전력 있어 앞뒤 안 맞단 비판 나왔죠.

해명이 민심에 더 불지른 건 이찬진 금감원장입니다. 

"두 채 중 한 채는 정리한다"고 해서 야당이 "처분하냐" 캐물었더니 "자녀에게 양도한다"고 답한 겁니다.

당장 온라인에선 "현금 부자는 걱정 없다" "나는 자식에 강남 집 줄 테니 남들은 딴 곳 살란 거냐"는 비판이 터져나왔습니다.

Q. 5인방도 고민이 깊을 것 같습니다.

이들 입장에선 불법을 저지른 것도 아닌데 억울할 수도 있겠죠. 

대부분의 사람들, 차곡차곡 월급 모아 좋은 곳에 집 사고 돈도 버는 게 꿈이잖아요. 

이 5인방 대부분도 공무원 출신으로 월급 모아서, 전세도 끼고, 빚도 내서 남들 선망하는 지역에 고가 아파트 마련했고요.

자신들은 그런 꿈을 이뤘으면서 남들은 못하게 막은 데서 논란이 출발한 거겠죠. 

이 분노, 달래는 게 가장 큰 숙제일 겁니다.

지금까지 이남희 정치부 선임기자였습니다.


이남희 기자 irun@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네 정치부 이남희 선임기자 나왔습니다.
00:065인방 5인방 부동산 정책 5인방 이름이 계속 오르내리는데 일단 누굴 말하는 거예요?
00:11자 이재명 정부 부동산 정책 키를 쥔 5명입니다.
00:15컨트롤 타워인 김용범 정책실장 또 세제 담당하는 구윤철 경제부총리
00:21고강도 대출 규제를 내놓은 2억 원 금융위원장이 있죠.
00:25여기에 공급 대책을 짜는 이상경 국토부 차관과 금융사를 담당하는 이찬진 금감원장도 들어갑니다.
00:33모두요 서울과 경기 지역 아주 비싼 아파트 사기 어렵게 만든 이번 부동산 대책과 연관이 있는 사람들입니다.
00:42그래서 구체적으로 뭐가 문제예요? 왜 분노한다고 이런 얘기가 나오는 거예요?
00:46자 5인방의 집이 어디 있냐를 보면 첫 번째 분노 포인트를 알 수가 있습니다.
00:52먼저 김용범 실장은 서울 서초동에 있고요.
00:56구부총리랑 이역원 위원장, 서울 강남구 개포동에 같은 아파트 있고요.
01:01이상경 차관은 경기 분당에 있습니다.
01:04금감원장은 무려 서울 서초구에 아파트 두 채를 갖고 있고요.
01:09모두 가격이 수십억 원대인데요.
01:11이번 대책에서 고강도 대출 규제에 묶여서 사실상 돈 빌려서 집 사기 어려운 곳들입니다.
01:18사실 서울 강남이나 분당에 살고 있다, 집이 있다는 것만으로 문제 삼기는 어려운 대목도 있잖아요.
01:24그러니까요. 보통 사람들처럼 월급 모으고 빚도 내서 강남에 집 산 거 불법도 잘못도 아닙니다.
01:31그런데 문제는요.
01:33아니 자기들은 한강벨트 살면서 국민들 한강다리는 끊었다 이런 불만이 더져 나온다는 겁니다.
01:40이번 대책으로요. 서울 전역 또 경기 일부 지역에 전세 끼고 집 사는 이른바 갭투자 틀어막았잖아요.
01:48그런데 이 5인방 중에서 3사람 갭투자로 똘똘한 한 채 장만을 했습니다.
01:55아까 보셨던 이상경 차관뿐만 아니라요.
01:58구부총리 또 이역원 위원장 2013년 서울 개포동에 재건축 앞둔 같은 아파트를 공교롭게 샀습니다.
02:06당시 8억 원대 가격에 둘 다 전세를 끼고 산 겁니다.
02:112013년에 샀으면 많이 올랐겠네요.
02:14그러니까요. 그러니까요.
02:15바로 세 번째 분노 포인트가 여기서 나옵니다.
02:18본인들은 갭투자로 좋은 데 집 사놓고 또 돈까지 많이 벌었는데 남들은 돈 못 벌게 왜 틀어막았냐 이겁니다.
02:27김용범 실장은요.
02:282000년에 재건축 조합원 입주권을 4억 원대 샀어요.
02:32그래서 지금 재건축된 이 아파트가 한 30억 원대고요.
02:35구부총리와 이역원장 사는 이 아파트는요.
02:3840억 원대입니다.
02:40수십억 시세 차익이 기대가 됩니다.
02:42이상경 차관도 작년에 전세 끼고 33억에 샀는데 요즘 40억 원에 거래가 된다고 하더라고요.
02:50자 이 사람들 뭐 나름 본인들의 억울한 대목도 좀 있을 것 같기도 한데 해명을 했는데 그게 또 좀 논란이에요.
02:55그러니까요.
02:56지금 구현철 부총리가 청문회 때 부동산 자산 증식 수단으로 하지 않았다 이렇게 말했거든요.
03:02그런데 과거 4채나 보유했는데 3채를 매도했다.
03:06그게 앞뒤가 맞는 해명이냐라는 비판이 나오는 겁니다.
03:10해명이 민심에 더 불을 지른 건 이찬진 금감원장입니다.
03:15두 채 중 한 채는 정리한다 이렇게 어제 국감에서 말해서 야당이 저분합니까? 이렇게 캐물었거든요.
03:21자녀에게 양도한다고 대답을 한 겁니다.
03:25당장 온라인에서는요.
03:26현금 부자는 역시 걱정이 없다.
03:28나는 자식한테 강남집 줄 테니 남들은 딴 곳 가서 살란 거냐.
03:32이런 비판들이 터져났습니다.
03:35결국은 뭔가 국민들이 감정의 문제인 것 같네요.
03:39그렇죠?
03:39맞습니다.
03:40이들 입장에서는 난 불법 저지른 것도 아닌데 억울할 수도 있겠죠.
03:44대부분의 사람들의 꿈은 차곡차곡 월급 모아서 좋은 곳에 집 사고 돈도 버는 거잖아요.
03:51이들 5인방도의 벼락부자라기보다는 공무원 출신으로 월급 따박따박 모아서
03:56전세 끼고 또 빚도 내서 남들 선망하는 지역의 고가 아파트 마련한 거고요.
04:02자신들은 그런 꿈을 잃었으면서 남들은 그 꿈도 못 이루게 기회부터 막은 데서 논란이 출발한 겁니다.
04:09이 분노 달래는 게 이분들의 가장 큰 숙제일 겁니다.
04:12네, 잘 들었습니다. 이남희 선임 기자와 살펴봤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