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진행 : 조태현 앵커, 조예진 앵커
■ 출연 : 채상미 이화여대 경영학부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우리 정부 차원에서도 대비책이 마련돼야겠습니다. 다음 이슈로 넘어가서 오늘부터 서민과 소상공인 대상으로 신용사면이 이루어집니다. 어떤 분들이 대상이고 또 어떤 분들이 사면되는 겁니까?

◆채상미> 이게 보시면 채무를 아예 탕감해 주는 건 아니고요. 말씀하셨듯이 연체가 됐으면 연체이력을 삭제하는 건데 2020년 1월부터 2025년 8월에 발생한, 그때 빌린 5000만 원 이하의 소액을 빌렸는데 연체한 경우에 올해 연말까지 전액을 상환하게 되면 연체했다는 기록을 아예 삭제해 준다, 이렇게 보시면 되고요. 연체기록이 삭제가 되면 신용거래, 그러니까 돈을 빌리는 걸 다시 재개할 수 있다고 보시면 되고요. 이미 상환을 한 257만 7000명은 9월 30일, 그러니까 오늘 즉시 삭제되고요. 연말까지 상환하면 자동으로 삭제되고. 그래서 최대 약 370만 명 정도 규모가 혜택을 볼 거라고 보여집니다. 그래서 정부가 분석한 바에 의하면 개인평균 40점 정도의 신용점수가 상승될 거고 20대는 50점, 그다음에 개인사업자는 31점 정도 상승이 될 거라고 예측을 하고 신용카드를 만들지 못했는데 다시 만들게 되는 계층이 한 29만 명 정도 늘어날 것이다, 이렇게 분석을 하고 있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말씀해 주신 내용을 들어보면 탕감은 아니고 돈을 잘 갚았을 때는 연체 기록을 삭제해 주는 거니까 이런 부분에 있어서는 도덕적 해이가 좀 덜하다라는 평가도 나올 법한 것 같은데요. 이런 상황이 있을 때는 그렇다고 해서 잘 갚은 사람들은 대체 뭐가 되냐, 이런 비판이 안 나올 수는 없는 것 같아요. 교수님께서는 이런 도덕적 해이에 대해서 어떻게 보십니까?

◆채상미> 이게 보면 제일 중요한 게 이전의 제도에 비해서는 전액을 상환해야 신용기록이 수정되니까 과거보다는 도덕적 해이에 대한 우려가 조금 낮아졌다, 이렇게 분석도 하고 있는데 제일 중요한 게 그러면 이런 제도를 시행했을 때 이러한 수혜받은 사람들이 또 이렇게 연체를 하거나 재연체를 하느냐를 지속적으로 분석하는 게 굉장히 필요하거든요. 그런데 보면 작년 유사 조치 수혜자 중 3명 중 1명, 30%...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0930110620207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오늘부터 서민과 소상공인 대상으로 신용사면이 이루어집니다.
00:04어떤 분들이 대상이고 또 어떤 부분이 사면되는 겁니까?
00:08이게 이제 보시면 채무를 아예 탕감해 주는 건 아니고요.
00:11말씀하셨듯이 연체가 됐으면 연체 이력을 삭제하는 건데
00:152020년 1월부터 2025년 8월에 발생한 그때 빌린 5천만 원 이하의 소액을 빌렸는데
00:24올해 연체한 경우에 올해 연말까지 전액을 상환하게 되면 연체했다는 기록 아예 삭제해 준다 이렇게 보시면 되고요.
00:33연체 기록이 삭제가 되면 신용거래 그러니까 돈을 빌리는 걸 다시 재개할 수 있다고 보시면 되고요.
00:40이미 상환을 한 257만 7천 명은 9월 30일까 오늘이죠. 즉시 삭제되고요.
00:46연말까지 상환하면 자동으로 삭제되고 그래서 최대 약 370만 명 정도의 규모가 혜택을 볼 거라고 보여집니다.
00:55그래서 정부가 분석한 바에 의하면 개인 평균 한 40점 정도의 신용점수가 상승될 거고
01:0220대는 50점, 개인 사업자는 31점 정도 상승이 될 거라고 예측을 하고
01:08신용카드를 만들지 못했는데 다시 만들게 되는 계층이 한 29만 명 정도 늘어날 것이다 이렇게 분석을 하고 있습니다.
01:17알겠습니다.
01:17말씀하신 내용을 들어오면 탕감은 아니고 돈을 잘 갚았을 때는 이런 연체 기록을 삭제해 주는 거니까
01:25이런 부분에 있어서는 도덕적 회의가 좀 덜하다라는 평가도 나올 법도 한 것 같은데요.
01:30이런 상황이 있을 때는 그렇다고 해서 잘 갚은 사람들은 대체 뭐가 되냐 이런 비판이 안 나올 수는 또 없는 것 같아요.
01:37교수님께서는 이런 도덕적 회의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01:41이게 보면 제일 중요한 게 이전의 제도에 비해서는 전액을 상환해야 신용기록이 수정이 되니까
01:50과거보다는 도덕적 회의에 대한 우려가 조금 낮아졌다 이렇게 분석도 하고 있는데
01:55제일 중요한 게 그럼 이런 제도를 시행했을 때 이런 수혜자 중에 수혜 받은 사람들이
02:03또 이렇게 연체를 하거나 재연체 같은 걸 하느냐 지속적으로 분석하는 게 굉장히 필요하거든요.
02:12그런데 보면 작년 유사 조치 수혜자 중 3명 중 1명이 30%가 또 재연체를 한다라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02:19그래서 이런 제도적인 효과나 그다음에 이런 도덕적 회의를 방지하려고 하면
02:26재연체율 그다음에 대출 승인률 같은 이런 거에 대한 사후에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공개를 해야 되고요.
02:33그다음에 연체자들 대상으로 금융교육을 또 지원을 해야 되고
02:38그다음에 대출액에 대한 한도를 또 적용하는 이런 다양한 제도가 적용돼야 될 필요가 있습니다.
02:46그리고 이번에 한꺼번에 이렇게 많은 인원이 신용사면이 되다 보면
02:51앞으로 신용점수 매길 때 기준이 좀 빡빡해지는 거 아니냐 이런 목소리도 나오던데 어떻게 보십니까?
02:58네, 그렇죠.
02:59이게 보면 한꺼번에 은행이 신용점수를 쓰는 이유는 대출을 했을 때 얼마만큼 잘 갚을 것이냐 보고
03:08여기에 따라서 이자율을 조정하려고 하는 건데 신용점수가 이렇게 되면 우상향하잖아요, 평균이.
03:14그러니 좀 더 엄격한 신용점수를 적용할 기능성이 있고요.
03:19그래서 이거를 위험기준선을 재보정한다고 얘기를 하거든요.
03:22그래서 금리 자체를 조정하거나 그다음에 대출 한도를 또 재평가해서 재조정하기 때문에
03:29이래서 실제 이런 정책 효과, 그러니까 돈을 연체한 사람들이 다 삭제를 하고
03:35다시 신용을 가질 수 있는 이런 재조정 효과가 좀 낮아질 수 있습니다.
03:41그래서 이걸 지키려면 3개월, 6개월, 12개월 동안 성과를 잘 보여준, 말씀드렸듯이
03:46데이터를 잘 보여주는 데시보드를 공개할 필요가 있고요.
03:50그다음에 이들의 사후의 행태 기반으로 한도 단계를 조정하는 이런 단계 상향이 병행돼야 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04:00말씀하신 것처럼 재연체율이 30%가 넘는다면 이런 정책은 단기 효과 외에
04:06그 이상의 효과를 보기는 어려울 테니까 전반적인 점검은 분명히 필요해 보입니다.
04:10지금까지 최상미 이화여자대학교 경영학부 교수와 함께 다양한 경제 이슈들 진단해 봤습니다.
04:16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