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어제 오후 강원도 양양에서 난 산불이 16시간에 꺼졌습니다.

건조한 날씨에 밤새 계속된 불길은 아침에 헬기가 본격 투입되며 잡혔습니다.

현장 연결합니다. 지 환 기자!

[기자]
강원도 양양 산불 현장입니다.


양양산불, 이틀 만에 주불 진화가 됐다고요.

[기자]
불이 난 지 16시간 만인 오늘 오전 10시 20분쯤 진화됐습니다.

현재 주불은 잡고, 잔불 정리 중인데요.

아침 일찍 헬기가 대거 투입되면서 불길이 잡혔습니다.

불이 난 곳은 강원도 양양군 서면 방태산과 구룡령 인근 야산입니다.

어두워질 때쯤 불이 나 초기 진화가 이뤄지지 못했고, 골바람과 함께 대기가 매우 건조했습니다.

바싹 마른 낙엽층을 타고 산정상으로 불이 번졌습니다.

불길이 커지자 산림 당국은 오늘 새벽 산불 대응 1단계를 발령했습니다.

현재까지 피해 면적은 축구장 30개 정도인 약 20ha인데, 이건 좀 더 확인을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인근 주민과 펜션 투숙객에 대한 사전 대피령이 내려지기도 했는데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습니다.

밤새 지상 진화 작업을 벌였지만, 산세가 험하고 급경사지가 많아 어려움을 겪었고요.

오늘 아침에도 안개가 무척 심했지만, 일출과 함께 투입 가능한 헬기 25대를 모아 불길을 잡았습니다.

아직 화재 원인은 나오지 않았지만 불이 시작된 곳이 등산로입니다.

입산자 실화일 것으로 추정하는데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할 예정입니다.

불은 잡았지만, 작은 불씨가 남아 재발화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상당수 인력이 주변에 남아 잔불 정리와 뒷불 감시에 나설 예정입니다.


최근 강원 지역 확산한 산불, 모두 해가 질 때쯤 발생했다는 공통점이 있다고요.

[기자]
맞습니다.

지난 목요일이죠.

바로 옆 강원도 인제에서 난 산불과 이곳 양양 산불 모두 당국이 '산불 대응 1단계'를 발령한 산불인데요.

공통점이 있습니다.

모두 저녁 5시 반에서 6시 반 사이에 났습니다.

이게 좀 문제인데요.

어두워질 무렵 불이 시작돼 헬기를 투입할 수 없습니다.

불 자체는 크지 않고, 바람도 3, 4, 5월보다는 강하지 않은데 초기 진화를 못 하는 건데요.

그러다 보니 지상 인력을 투입해서 밤새 더 확산하는 걸 막는 데 주력할 수밖에 없습니다.

밤새 불이 계속되며 피해를 키우다 아침에 헬기를 떠야 진화가 가... (중략)

YTN 지환 (haji@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1123105047742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어제 오후 강원도 양양에서 난 산불이 16시간 만에 꺼졌습니다.
00:05건조한 날씨에 밤새 계속된 불길은 아침에 헬기가 본격 투입되면서 잡혔습니다.
00:10현장 연결합니다. 지환 기자.
00:12안녕하세요. 강원도 양양 산불 현장입니다.
00:17네, 양양 산불. 이틀 만에 주불 진화가 됐다고요?
00:22네, 맞습니다. 불이 난 지 16시간 만인 오늘 오전 10시 20분쯤 불을 껐습니다.
00:27현재 주불 진활로 하고 잔불 정리 중인데요.
00:30지금 잔불 정리를 하러 산림청 공중진화대가 야산 쪽으로 들어가고 있습니다.
00:35아침 일찍 헬기가 대거 투입되면서 불길이 잡혔는데요.
00:39불이 난 곳은 강원도 양양군 서면 방태산과 구룡용 인근 야산입니다.
00:45어두워질 때쯤 불이 나면서 초기 진화가 이루어지지 못했고요.
00:49골바람과 함께 대기가 매우 건조했습니다.
00:52불길이 커지자 산림당국은 오늘 새벽 산불 대형 1단계를 발령했는데요.
00:57현재까지 피해 면적은 축구장 30개 면적인 약 20헥타르 정도인데
01:03이건 좀 더 확인을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01:06인근 주민과 펜션 투숙객에 대한 사전 대피력이 내려지기도 했는데
01:09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습니다.
01:14밤새 지상산업을 벌였지만 산세가 험하고 급경사지가 많아서 어려움을 겪었고요.
01:19오늘 아침에도 안개가 무척 심했지만 일출과 함께 투입 가능한 헬기 25대를 모아서 불길을 잡았습니다.
01:27아직 화재 원인은 나오지 않았지만 불이 시작된 곳이 등산로입니다.
01:31입산자 실화일 곳을 추정하는데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할 예정입니다.
01:36불은 잡았지만 작은 불씨가 남아서 재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01:40상당수 인력이 주변에 남아서 잔불 정리와 뒷불 감시에 나설 예정입니다.
01:44지금 지환 기자도 산불 지장돼와 함께 산길을 올라가고 있는 모습으로 보이는데
01:52최근 인재 지역에서도 산불이 났었잖아요.
01:56이번 산불과 인재에서 났던 산불 모두 해가 질 때쯤에 발생했다는 공통점이 있다고요?
02:05네 맞습니다.
02:05이곳 양양 옆으로 가면 강원도 인재가 있는데요.
02:08지난 목요일이었습니다.
02:10인재에서도 산불이 발생했죠.
02:11이 두 산불 모두 산불 대응 1단계가 발령했다는 그런 공통점이 있는데요.
02:16또 다른 공통점이 있습니다.
02:17바로 해 질 무렵 저녁 때 발생했다는 겁니다.
02:20그러다 보니까 헬기 초입이 어려웠고요.
02:22보시면 이 아래쪽을 보시면 낙엽층이 무척 바싹 말랐습니다.
02:27아직 눈이 오지 않은 상황에서 강원 동해안과 산간에 건조특보가 내려져 있는데
02:32이렇게 바싹 마른 낙엽층을 타고 그대로 산 위쪽으로 불을 번진 겁니다.
02:36그러다 불 자체는 크지 않았는데 바람도 3, 4, 5월보다는 낮았는데
02:41계속해서 산이 퍼질 수밖에 없는 화재가 퍼질 수밖에 없는 그런 모습입니다.
02:47그러다 보니까 지상인력을 투입해서 밤새 불을 끌 수밖에 주력할 수밖에 없었는데요.
02:52피해를 키우다가 아침에 헬기를 떠서 진화가 가능한 그런 상황이 반복을 했습니다.
02:56현장 상황이나 고압선 등이 많아서 야간에 운영할 수 있는 헬기를 투입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
03:03현재 강원 산간 동해안에 건조한 날씨가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03:07원래 강원도에 3, 4, 5월에는 큰 불이 나도 11월에는 큰 불이 나지 않는다 이런 말이 있는데요.
03:14이젠 또 그렇지만도 않은 것 같습니다.
03:15위험은 항상 같이 하는 것 같습니다.
03:17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03:19지금까지 강원도 양양 산불 현장에서 YTN 지환입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