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진행 : 엄지민 앵커, 임늘솔 앵커
■ 전화연결 : 함은구 한국열린사이버대 소방방재학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와이드]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전문가 연결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함은구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소방방재안전학과 교수님 전화 연결해보겠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함은구]
안녕하십니까? 을지대학교 함은구입니다.


어제 오후 6시쯤 강원도 양양군 서면 방태산에서 발생했고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밤사이 갑자기 불이 크게 번졌다고 하는데 주요 이유는 어디 있다고 보십니까?

[함은구]
말씀주신 것처럼 어제 6시 20분경 최초 산불이 발생됐고요. 이번 산불 같은 경우 앞서 기자분 멘트에서도 말씀하신 것처럼 저녁 무렵에 최초 발화가 시작된 걸로 나타나고 있고요. 다행히 기자분 말씀에 따르면 곧 주불 진화가 완료될 걸로 예상되고 있고요. 이번 산불의 경우에는 산 정상 부근에서 시작돼서 초속 8.8m/s 정도의 산불이 확산된 걸로 보여지고 있고요. 최초에는 산 정상 부근에서 산불이 진행을 하고 있어서 굉장히 진화에 어려움이 있었고요. 동이 트면서 헬기 25대 정도를 순차적으로 운영하면서 말씀주신 것처럼 진화가 곧 완료될 걸로 보고 있습니다.


이번 산불이 정상 부근에서 시작됐고 또 야간에 시작돼서 진화대원들이 어려움을 겪었을 것 같은데 구체적으로 이럴 때는 어떤 어려움이 생깁니까?

[함은구]
우선 산불에 접근하는 산불 전문 진화대가 산불 현장에 투입되는데요. 워낙 산세가 험하고 말씀드린 것처럼 산 정상 부근까지 장비를 가지고 올라가야 되기 때문에 진화에 굉장히 어려운 조건이라고 할 수 있겠고요. 특히 일주일째 강원도 지역에 특히 영동지방의 건조한 부분들이 맞물리면서 바람의 영향에 따른 산불 확산 속도가 굉장히 빨랐던 것으로 보여지고 있고요. 화선 길이가 2.25km 정도 형성됐다고 알려지고 있고요. 산불 영향구역이 20헥타르 정도 넘어가면서 산림당국은 산불 대응 1단계를 통해서 지금 산불을 진압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앞서 취재기자 연결해서 들은 것처럼 곧 주불 진화를 선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기는 하는데 현장 화면을 보니까 바람이 굉장히 거세더라고요. 혹시나 아직 남아 있...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1123095627195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네, 이번엔 전문가 연결해서 좀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00:03함은구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소방방지안전업과 교수님 전화 연결해 보겠습니다.
00:08교수님 안녕하십니까?
00:10네, 안녕하십니까? 을지대학교 함은구입니다.
00:12네, 어제 오후 6시쯤에 강원도 양양군 서면에 있는 방태산에서 발생을 했고요.
00:19여전히 산불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00:21밤사이 크게 불이 번졌다고 하는데 일단 주요 이유는 어디에 있다고 보십니까?
00:26네, 말씀 주신 것처럼 어제 6시 20분경 최초 산불이 발생이 됐고요.
00:34이번 산불 같은 경우에 앞서 기자분 멘트에서도 말씀하신 것처럼
00:39저녁 무렵에서 최초 발화가 시작된 걸로 이렇게 지금 나타나고 있고요.
00:46다행히 지금 기자분의 말씀에 따르면 곧 주불진화가 완료가 될 걸로 이렇게 보여지고 있고요.
00:56이번 산불 경우에는 산 정상 부분 쪽에서 시작이 돼서
01:02지금 초속 한 8.8m 퍼센트 정도의 바람을 타고 산불이 확산이 된 이런 걸로 보여지고 있고요.
01:11최초에는 아무래도 산 정상 부분에서 산불이 진행을 하고 있어서
01:17굉장히 진화에 어려움이 있었고요.
01:20지금 이제 동이 트면서 헬기의 25대 정도를 순차적으로 운영을 하면서
01:27말씀 주신 것처럼 진화가 곧 완료가 될 걸로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01:32네, 특히 이번 산불이 정상 부근에서 시작이 됐고
01:37또 야간에 시작이 돼서 진화대원들이 어려움을 겪었을 것 같은데
01:41구체적으로 이럴 때는 어떤 어려움이 생깁니까?
01:45네, 우선 그 산불에 접근하는 산불 전문 진화대가 산불 현장에 투입이 되는데요.
01:53워낙 산세가 험하고 말씀드린 것처럼 정상 부분까지 장비를 가지고 올라가야 되기 때문에
02:01진화에 굉장히 어려운 조건이라고 할 수가 있겠고요.
02:06특히 이제 굉장히 지금 일주일째 강원도 지역에 특히 영동지방의 건조한 부분들이 맞물리면서
02:13이 바람의 영향에 따른 산불 확산 속도가 굉장히 좀 빨랐던 걸로 이렇게 보여지고 있고요.
02:21지금 이제 화선 길이가 한 2.25km 정도 형성이 됐다라고 지금 알려지고 있고요.
02:28특히 이제 산불 영향 구역이 이제 20헥타르 정도 넘어가면서
02:33산임당국은 이제 산불 대응 1단계를 통해서 지금 산불을 진압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02:40네, 앞서 저희 취재기자 연결해서 들은 것처럼
02:43일단 곧 주불 진화를 선언할 수 있을 걸로 보이긴 하는데
02:48현장 화면을 보니까 바람이 굉장히 거세더라고요.
02:51혹시나 아직 남아있는 불티가 튀어서 불이 확산할 가능성도 아직은 남아있는 겁니까?
02:56네, 그렇습니다. 특히 이제 강원도 산불 같은 경우에는
03:00앵국께서 말씀 주신 것처럼 바람의 영향에 따라서
03:05이 화쇄의 확산 속도가 굉장히 또 빨라질 수가 있겠고요.
03:08이런 부분들은 이제 산림당국이 최대한 좀 주의를 기울여서
03:13적어도 이제 이런 불티가 날릴 수 있는 지역까지
03:18좀 광범위한 범위까지 산림 행기를 통해서
03:22좀 적절히 좀 주수를 할 필요성이 있겠고요.
03:25한 가지 이제 말씀드릴 부분은 앞서 기자분도 말씀 주셨지만
03:31이런 지금 강원도 산불들이 저녁 무렵에 지금 발생을 하고 있습니다.
03:37이런 산불들은 대부분 사람에 기인한, 인재에 기인한 산불들이 발생 원인이거든요.
03:44그래서 이렇게 초저녁에 발생을 한다는 것은
03:48예컨대 모닥불을 피운다든가 여러 가지 취사 행위를 한다든가
03:54그래서 지금 강원도 특히 이런 산불 우려 지역에 계신 분들은
03:59불씨 관리에 좀 주의를 기울여 주실 필요가 있겠습니다.
04:04네, 산불이 발생하고 밤사이 주민 630여 명의 대피령이 내려졌고
04:09그런데 이런 조치가 적절한 대처라고 봐야 되겠죠?
04:12네, 그렇습니다.
04:14지금 대부분의 강원도 지역에 계신 분들이 굉장히 고령이신 분들이 많이 계시거든요.
04:22그러니까 주민분들 같은 경우에 만약에 굉장히 유사시에는
04:27자력으로 산불 지역에서 탈출하기 어려운 이런 분들도 굉장히 많이 계시기 때문에
04:33지금 산불 우려 지역에 계신 분들을 선제적으로 대피시키는 것은
04:39굉장히 잘한 일이라고 보여지고 있고요.
04:42특히 이제 이런 부분들은 지역의 네트워크를 좀 충분히 활용을 해서
04:47빠짐없이 대피가 될 수 있도록
04:50그래서 다소 좀 과할지도 모르겠지만
04:53이런 선제 대피에 대한 부분의 매뉴얼들이
04:56좀 잘 정착이 될 필요성이 있어 보입니다.
04:58네, 교수님께서도 앞에서 짚어주셨지만
05:02인제에서도 최근에 산불이 발생했잖아요.
05:05당시에도 이제 늦은 오후 시간에 불이 시작이 됐고
05:08밤에 불이 나다 보니까 초기의 진화에 좀 어려움이 있었다고
05:12말씀을 해주셨는데
05:14이번 산불과 지난 산불 공통점이나 차이점 어떤 게 있을까요?
05:18네, 지금 앞서 좀 말씀드렸지만
05:21대부분의 산불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05:23자연적으로 산불 발생은 거의 희박하고요.
05:27결국은 이제 사람이 담배꽁초를 버린다든가
05:31지금 말씀 주신 것처럼 여러 가지 취사행이라든가
05:35모닥불을 피운다든가 이런 부분들, 특히 이제
05:39산불이 발생한 시간대가 제가 말씀드린 그러한
05:43여러 가지 부주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05:47이런 조건들이기 때문에 그런 것들을 삼가를 해주실 필요가 있겠고요.
05:52적어도 이 산림 지역에 계신 분들에 한해서는
05:57이런 절대로 어떤 취사행이 지정된 곳 이외에는
06:01이런 취사행이라든가 야영 이런 것들은 좀
06:05금지를 해주실 필요가 있겠습니다.
06:07네, 교수님 아직 비 소식이 있지는 않더라고요.
06:10한 다음 주 중반쯤 가면 그때부터는 비 소식이 있던데
06:14그때까지는 일단 산불 발생 계속해서 조심을 해야겠지요?
06:17네, 그렇습니다. 지금 굉장히 건조한 날씨, 해마다
06:22강원도 지역 같은 경우에 건조도가 높아지는
06:27이런 특성을 보여주고 있고요.
06:29앞서 대부분의 강원도 지방 산불 같은 경우에
06:333, 4월, 주로 봄철에 소위 말하는 양간지풍에 의해서
06:38많이 발생을 했었는데요.
06:41지금 초겨울 지금 상황에서
06:43지금 산불이 계속 발생을 하고 있는 이런 추세가 보인다라고 한다면
06:48이제 봄철 뿐만 아니라 초겨울에서도
06:52이런 산불에 대한 여러 가지 주의 프로그램이라든가
06:56대응 프로그램 정비를 할 필요성이 있어 보입니다.
06:59네, 알겠습니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07:01지금까지 을지대 안전공학과 함흥구 교수와 함께했습니다.
07:05교수님 고맙습니다.
07:07고맙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