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강원도 양양에 있는 야산에서 난 산불이 이틀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산림 당국은 오늘 새벽 산불 대응 1단계를 발령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는데요.

현장 연결합니다. 지 환 기자!

[기자]
강원도 양양 산불 현장입니다.


현장 상황 알려주시죠.

[기자]
아직 불길을 완전히 잡지 못했습니다.

저희가 있는 곳이 강원도 양양군 서면에 있는 방태산 근처인데요.

불이 난 건 어제 오후 6시 20분쯤입니다.

어두워지면서 헬기가 뜨지 못했고, 건조한 날씨 속에 바람을 타고 불이 커졌습니다.

공중진화대 등 지상 인력이 밤새 진화 작업을 벌였지만, 현장에 워낙 급경사지가 많아 애를 먹었습니다.

어제 자정 기준 4ha 수준이었던 산불 영향 구역은 현재 20ha로 번졌고요.

불띠, 화선은 2.25km 정도인데, 현장에서는 진화율을 약 70~80%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밤새 불이 이어지며 당국은 인근 주민 600여 명과 펜션 투숙객들에게 사전대피령을 내리기도 했는데요.

다행히 민가로 산불이 확산할 우려는 적고 마을 회관으로 대피했던 주민 2명도 귀가한 상태입니다.

당국은 오늘 아침 동이 트면서부터 헬기 25대를 투입했는데요.

안개가 다소 짙지만, 오늘 오전 중으로는 주불을 잡는다는 계획입니다.


최근 강원 지역 확산한 산불, 모두 해가 질 때쯤 발생했다는 공통점이 있다고요.

[기자]
맞습니다.

지난 목요일이죠.

바로 옆 강원도 인제에서 난 산불과 이곳 양양 산불 모두 당국이 '산불 대응 1단계'를 발령한 산불인데요.

공통점이 있습니다.

모두 저녁 5시 반에서 6시 반 사이에 났습니다.

이게 좀 문제인데요.

어두워질 무렵 불이 시작돼 헬기를 투입할 수 없습니다.

불 자체는 크지 않고, 바람도 3, 4, 5월보다는 강하지 않은데 초기 진화를 못 하는 건데요.

그러다 보니 지상 인력을 투입해서 밤새 더 확산하는 걸 막는 데 주력할 수밖에 없습니다.

밤새 불이 계속되며 피해를 키우다 아침에 헬기를 떠야 진화가 가능한 상황이 반복되는 건데요.

현장 상황이나, 고압선 등이 많아서 야간에 운용할 수 있는 헬기를 투입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

현재 강원 산간, 동해안에 건조한 날씨가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원래 11월엔 대형 산불 가능성이 적다고 하는데요.

최근 산불 상황을 보면 위험은 늘 있는 것 같습니다... (중략)

YTN 지환 (haji@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1123095131079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어제 강원도 양양에서 난 산불이 이틀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00:03산림당국은 오늘 새벽 산불 대응 1단계를 발령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는데요.
00:08현장 연결합니다. 지환 기자.
00:12네, 강원도 양양 산불 현장입니다.
00:15네, 현장 상황 알려주시죠.
00:19네, 아직 완전히 불길을 잡지는 못했습니다.
00:22저희가 있는 곳이 강원도 양양군 서면에 있는 방태산 인근 야산인데요.
00:27현장을 좀 보실까요?
00:28오전까지만 해도 연기와 함께 안개가 무척 짙어가지고 잘 규벌이 되지 않았는데
00:33지금은 연기가 잘 구별되고 있습니다.
00:36산 정상 부근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고요.
00:38불길은 보이지 않습니다만 매쾌한 냄새가 조금씩 나고 있습니다.
00:43현장에는 산불 주의소가 차려져 있고
00:45계속해서 헬기가 동쪽에서 불을 남아서 뿌리는 그런 상태입니다.
00:50이곳에서 구룡용이 멀지 않습니다.
00:53인근에 구룡용이 있어서 강하진 않지만 계속해서 골바람이 계속 부는 상태입니다.
00:57불이 난 건 어제 오후 6시 20분쯤입니다.
01:01어두워지면서 헬기가 뜨지 못했고요.
01:03건조한 날씨 속에 바람을 타고 불이 커졌습니다.
01:07공중 진하대 등 지상 인력이 밤새 진화 작업을 벌였지만
01:10현장에 워낙 급경사지가 많습니다.
01:12그래서 무척 애를 먹었는데요.
01:14어제 자정 수준 4헥타르 수준이었던 산불 영양 구역은 현재 20헥타르로 번졌고요.
01:18불 뒤 화선도 2.25km 정도인데 현재 거의 다 껐습니다.
01:24조만간 당국이 주불 진화를 선언할 그럴 예정입니다.
01:27밤새 불이 이어지면서 당국은 인근 주민 600여 명과 펜션 투숙객들에게도 사전 대표령을 내리기도 했는데요.
01:34다행히 민가로 산불이 확산할 우려는 적고
01:37마을회관으로 대피했던 주민 2명도 귀가한 상태입니다.
01:41당국은 오늘 아침 동이 트면서부터 헬기 25대를 투입하고 있는데요.
01:45안개는 다소 짙지만 지금 보시다시피 빠르게 진화 속도가 올라가고 있습니다.
01:52최근 인제에서도 산불이 났었는데 모두 해가 질 때쯤에 발생했다는 공통점이 있다고요?
02:00네 맞습니다.
02:01이곳 바로 양양마루 옆이 인제인데
02:03이곳 인제에서 지난주 목요일날 불이 났습니다.
02:06이곳 양양산불도 마찬가지고
02:08모두 당국이 산불대율 1단계를 발령한 그런 확산한 산불이었는데요.
02:12이게 공통점이 있습니다.
02:14모두 해 질 무렵 저녁 때 불이 났습니다.
02:175시 반, 오후 5시 반에서 6시 반쯤에 불이 나다 보니까
02:20이게 초기 진화가 쉽지 않습니다.
02:22헬기가 들어가지 못하니까 초기 진화가 어렵고
02:25지상 인력 진화로 이렇게 불을 꺼야 하는 상황입니다.
02:28계속해서 불이 밤새 확산하다가
02:30피해를 키우다가 아침에 헬기가 다시 들어가서 투입돼서
02:34진화를 이루어지는 그런 모습 양상이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는 건데요.
02:38그러다 보니까 현장 상황에서는 고압선들이 또 많습니다.
02:41그러다 보니까 밤에 들어갈 수 있는 헬기, 헬기가 투입하지 못하고 운영할 수 없고
02:46그렇게 해서 어려운 상관입니다.
02:49지상 인력을 투입해서 계속 밤새 확산하는 걸 막는 그런 양상이 계속되고 있는데
02:54현재 강원 산간과 동해안에 건조한 날씨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02:59산간과 동해안에 건조특보가 내려져 있는데요.
03:02원래 강원도의 경우에 3, 4, 5월에 바람이 굉장히 강해서 큰 대형 산불이 발생하죠.
03:0711월에는 그렇게 대형 산불이 많지 않았는데 최근 발생하는 산불을 보면
03:12건조특보와 함께 계속해서 불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03:15꼭 그렇지만은 그렇지 그런 현상만 나오는 건 아닌 것 같습니다.
03:19이 초기월 산불도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요.
03:22최근 강원도 스키장도 열고 여러 가지 관광객들이 많이 오고 있는데
03:26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03:29지금까지 강원도 양양 산불 현장에서 YTN 지원입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