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2시간 전


초밥 든 대만 총통, '日 지지' 강조한 美 
러시아·북한은 日 때리며 中 지원 사격 
中, '발언 철회' 요구…다카이치 "정부 입장 일관"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한국국토정보공사
00:04한국국토정보공사
00:30한국국토정보공사
00:32한국국토정보공사
00:34한국국토정보공사
00:36한국국토정보공사
00:38日方如果真心想发展
00:40中日战略互惠关系
00:42立即收回错误言论
00:44把切实把对华承诺
00:46体现在实际行动上
00:48中国的评论和声音量
00:50中国的评论和声音量
00:52中国的评论和声音量
00:54是非常不助手的
00:56而是非常不助手的
00:58而是非常不助手的
01:00而是非常不助手的
01:02而是非常不助手的
01:04而是不加坏的
01:06而是不加坏的
01:08日本现在正在施政
01:10而是移动的
01:12而是变成了军力的
01:14이번 랭킹부터는 강준영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교수와 함께하겠습니다
01:26앞서 보신 것처럼 중국과 일본의 갈등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01:31특히 다카이치 사나이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발언의 후폭풍은 국제적 편들기
01:38그러니까 새 대결 양상으로 번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01:41저희가 지도를 하나 준비해 봤는데요
01:43그러니까 중국과 일본을 두고 미국과 대만 그리고 러시아 북한이 지금 중일 갈등에 가세한 겁니다
01:52지금부터 각국의 입장 하나하나 살펴볼 텐데요
01:55가장 적극적인 곳 있죠
01:57바로 중일 갈등의 당사자격인 대만입니다
02:01대만 총통이 일본의 초밥 사진을 올리면서 일본을 지지 않는 듯한 모습을 보였어요
02:09지금 보시는 것처럼
02:10그랬더니 아예 이번에는 일본의 후쿠시마산 식품 수입에 부과했던 제재를 모두 해제했다고 합니다
02:19강 교수님 이게 지금 중국은 일본산 수산물 제재를 한다고 하고 대만은 풀어준다고 하고 대만이 아주 화끈하게 지금 일본 도와주는 것 같거든요
02:30도와주는 게 아니고 당사자로서 당연한 겁니다
02:33왜냐하면 중국과 대만이 갈등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02:37일본과 대만 관계는 원래 좋거든요
02:41대만은 계속해서 자신들의 문제를 국제화하는 게 목표예요
02:45안 그러면 거대 중국에 계속 압박을 받기 때문에
02:50그리고 미국과도 대만 관계법이라는 법을 통해서 보호를 받아야 된다고 생각을 하고 있고
02:59잘 아시다시피 미일 동맹
03:01이게 이제 중국 견제하는 데 굉장히 앞서 있거든요
03:05그러니까 대만은 당연히 소위 반중
03:09이쪽에 특히 지금 대만은 민주진보당이라는
03:14대만의 독자성을 강조하는 정책청을 가지고 있는 당이 집권을 하고 있거든요
03:19그러니까 당연히 저렇게 나올 수밖에 없는 그런 구조가 된 겁니다
03:24미국도 중국을 향해서 경고를 날렸는데요
03:28주일 미국 대사가 과거에 일본산 가리비를 먹었던 사진을
03:35지금 보시는 것처럼 저렇게 올리면서 비판에 가세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03:41교수님, 미국은 일단 일본 다카이치 총리 지원 사격에 나서는 모습이에요
03:46그렇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조금 다른 게 있어요
03:49뭐가 다르냐 하면 트럼프 대통령이 SNS를 엄청나게 좋아하잖아요
03:54이 정도 됐으면 뭐가 많이 나와야 되는데 안 하고 있고
03:58지금까지 실제로 과거 바이든 정부는 우리가 대만을 보호해 주겠다
04:04거기에는 군사적인 것도 들어 있었어요
04:07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은 그런 얘기를 거의 안 했었거든요
04:10이제 안 하니까 그럼 우리를 제대로 안 지켜주는 거 아니야?
04:15또는 세계가 트럼프 대통령이 대만에 대한
04:18소위 방위 약속 이런 것들이 제대로 안 가는 거 아니야?
04:22이러니까 기존의 입장에 변함이 없다
04:26그리고 미국과 일본 간의 신방위 협정이라는 게 있잖아요
04:30그래서 특히 센카쿠열도 지금 중국과 각을 세우고 있는
04:35여의다오라는 이 섬 지역도 미국이 계속 과거와 변함없이 역할을 하겠다는 얘기를 하고 나선 겁니다
04:43그러니까 트럼프 대통령은 굉장히 로우키로 지금 접근을 하고 있어요
04:49아시다시피 얼마 전에 겨우 미중 관계를 봉합을
04:54정상회담에서 이제 본격적인 얘기는 하지도 않고 우선 급한 불부터 끄고 왔는데
05:02여기서 또 나가면 안 되거든요
05:04트럼프 대통령이 아주 이율배반적인 말을 한 것들을 많이 보셨을 거예요
05:12동맹이라고 해서 다 친구는 아니다
05:14이제 이건 중국에 보내는 메시지거든요
05:17그러니까 우리가 무턱대고 일본을 지원할 건 아니다
05:20그러나 미 국무부도 분명하게 동맹국인 일본 지원할 거다
05:26그리고 주일미 대사도 우리 기존의 약속대로 할 거다
05:29지금 이렇게 되다 보니까 자연스럽게 미일이 중국을 다시 압박하는
05:34이제 이런 현 상황이 벌어진 거죠
05:37반면 러시아와 북한은요
05:41일본을 때리면서 중국 지원 사격에 나섰습니다
05:44러시아는 대만은 중국 내정이다
05:48대만 발언이 매우 위험하다라고 얘기를 했고
05:50북한은 일본은 역사범죄 왜곡을 직시해야 한다면서
05:54군국주의를 비판했어요
05:56최 교수님
05:57결국에는 미일대
05:59그다음에 중국, 러시아, 북한
06:02이렇게 진영 양상이 되는 것 같거든요
06:04지금 그런 양상을 보이고 있죠
06:06상당히 좀 저는 이게 안 좋은 상황이라고 생각해요
06:09왜냐하면 한반도를 둘러싸고 있는 지역 환경이 이렇게 대결 구도로 가면
06:13우리도 어쩔 수 없이 어떤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거 아니겠어요
06:16물론 우리는 이제 중간자적 입장에서
06:19미국하고 물론 더 가깝게 우리는 가겠지만
06:21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만의 어떤 상황이 터지더라도 우리가 전쟁에 참여하면 안 되는 거잖아요
06:25그런 상황을 유지해야 되는 상황에서 이렇게 대결 구도로 가면
06:28압박이 들어올 수가 있겠죠
06:30그러니까 미국 같은 경우에 우리에게 이제 여러 가지 얘기를 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06:34우리가 그걸 지혜롭게 잘 넘겨야 될 텐데
06:37이렇게 자꾸 양쪽으로 나눠져가지고 신냉전 체제처럼 돼버리는 것 자체가
06:41한반도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우리로서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06:46지켜볼 수밖에 없다
06:47더 이상 확정되지 않기를 바라는 일이지만
06:50지금 일본과 중국이 너무 강경하게 부딪히고 있어서 우리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06:54일단 저는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특별히 개입하고 이런 건 없을 거라고 생각해요
06:59우리 정부는 다만 이제 이런 것들에 대해서 준비를 잘하고 있어야 되겠죠
07:03어떤 상황이 벌어졌을 때 우리가 어떤 대응을 해야 될지 하는 부분에 대해서
07:06그러나 빠른 시간을 좀 해결이 돼야 될 텐데 그런 모습이 안부에서 안타까운 상황입니다
07:10지금 중국이 계속 각종 카드를 쓰면서 일본을 전방위적으로 압박하고 있습니다
07:17여행이나 유학도 자제시키고 수산물 수입도 제한을 하고 있거든요
07:21그런데 문제가 이 발언을 철회하라고 공세를 펼치고는 있는데
07:25다카이치 총리는 정부 입장은 일관된다
07:29그러니까 대만 유사시 자위권 행사 발언 철회할 의사가 없다라고 밝힌 겁니다
07:34그러면서 동시에 중국과의 관계 개선 의지는 내비쳤는데요
07:39관련 목소리 듣고 오겠습니다
07:41경주에서 있었죠
08:01중일 정상회담에서 시진핑 주석과 전략적 호회관계 방향성 확인했다
08:06변함없다 이걸 강조를 하면서 확전을 막고 싶다라는 뜻을 전한 것 같은데
08:11강 교수님 중국 입장에서 보면 이렇게 발언을 몇 번을 하든
08:17어쨌든 대만 유사시 개입 관련 발언 철회 안 하면 소용없는 거 아닙니까?
08:21네 그렇게 지금 중국은 생각을 하고 있는 거죠
08:24자세히 다카이치 총리 발언의 경과를 보면 그게 그 발언만 무슨 연설을 하거나 이런 게 아니고
08:33일본 의회에서 이제 답변을 하는 과정에서 이제 점차 올라간 거예요
08:39그래서 마지막에 정말 전쟁 나서 군함이 왔다 갔다 하면 어떻게 할 거냐
08:44그러면 집단 자유권 해야 되는 거고 우리도 가야 되는 거 아니냐
08:47중국은 그 부분만 딱 띄어서 찬스를 잡은 거죠
08:52왜 그러냐면 이게 지금 트럼프 대통령이 경주 오기 전에 일본 2박 3일 방문해서
08:59사실은 미일 동맹을 더 확고하게 했고
09:02그 안에 보면 중국을 견제하는 조치들이 많이 들어있어요
09:06사실 우리 한미 팩트시티에도 보면 양한 관계 내용이 많이 있습니다
09:12그러니까 결국 이렇게 이런 기회에 새로 출범한 다카이치 정부를 완벽하게
09:19특히 하나의 중국 문제에 대해서 소위 정리를 해놓지 않으면
09:25이게 앞으로 문제가 복잡해질 수 있다
09:27그러니까 실질적으로는 미국에 대한 오해적 메시지죠
09:32그리고 일본에는 직접적인 메시지를 보내고
09:36그러니까 지금 결국 이 얘기는 본질은 철회를 하라는 게
09:41지금 중국 외교부의 입장이거든요
09:43그런데 다카이치 총리는 철회를 할 수가 없어요
09:46왜 그러냐면 총리가 된 지도 얼마 안 됐지만
09:51당내 기반이 많이 없잖아요
09:52이제 소위 아베 세력 그리고 아소다로 이 세력을 업고했고
10:00특히 유시네와의 극구 보수 이렇게 보통 알려져 있는 유시네와의 연정을 통해서 지금 총리가 된 거거든요
10:09그럼 약한 모습을 보일 수가 절대 없는 겁니다 국내적으로
10:13그리고 트럼프 대통령이 왔다 가서 우리가 미국과 잘하겠다고 했는데
10:17중국한테 약한 모습을 보이면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에서 보면
10:22아니 엊그저께 우리가 이렇게 이렇게 해서 같이 나가기로 했는데
10:26이런 식으로 가면 안 되지 않냐
10:28그러니까 국내외 쪽으로 모두 뒤로 물러설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10:34일단 저렇게 정부 입장이 변함이 없다
10:37이렇게 지금 일단 해놓고 있는 것 같아요
10:39중국 정부가 일본과 문화 교류를 중단하는 모양새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10:45일본 연예인들의 중국 공연이 갑자기 줄줄이 취소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10:51부득이한 사정이다 불가학력적 영향이다라는데
10:54강 변호사님 사실상 한일령을 본격화한 거라고 봐야겠죠
10:59그렇죠 사드 사태 이후로 한한령 우리 한국 문화가 중국으로 가는 것도 막았었는데
11:04이번에 일본에 대한 문화 교류도 지금 막고 있는 상황입니다
11:08그래서 굉장히 유명한 애니메이션이죠
11:10짱구는 못 말려 이것도 갑작스럽게 잠정 연기가 된 거예요
11:15이 이유에 대해서 정확히 밝히고 있지 않습니다
11:18그리고 상하이에서는 20일부터 22일까지 코미디 페스티벌이 열리고 있었는데
11:24여기에서 12명의 일본 코미디언이 참여하기로 했었는데
11:28여기에 대해도 부득이한 사정에 의해 중단하게 되었다라고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만
11:33전체적으로 보았을 때는 최근에 있었던 일본과 중국 간의 갈등 때문에
11:39이렇게 막히고 있는 것이 아니냐라는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11:42특히 중일 갈등 여파로 일본에 있는 쌍둥이 자이언트 판다까지 불똥이 튀는 게 아니냐
11:49뭐 이런 관측이 나오더라고요
11:50그렇죠 일본에서는 지금 판다가 2마리가 있습니다
11:54원래 6마리가 있었는데 올해 6월에 와카야마에 있었던 판다 4마리는 이미 반환이 된 것이고
12:00지금은 도쿄 우에노 공원에 쌍둥이 판다 2마리가 남아 있습니다
12:05그런데 이 아이들 같은 경우에는 일본에서 태어난 거예요
12:09해외에서 태어난 판다들 같은 경우에는 4살 전후로 해서 중국 본토로 돌아가야 되고
12:15그래서 많은 분들 기억하시는 우리 용인 에버랜드에서 태어났던 푸바오도 4살이 되어서
12:21작년에 중국 본토로 돌아가게 되었던 것입니다
12:24이 아이들이 만약에 도쿄에서 계속 있게 되려면 2월에 돌아가기로 한 거를 연장을 해야 되는데
12:30지금 중국 입장에서는 거기에 대한 이야기들을 안 하고 있는 거죠
12:34그런데 판다 외교라고 합니다만 이게 간단한 문제는 아닌 것이
12:37중국은 본인들과 우호적인 국가들에게 판다를 대여하는 형태를 하고 있거든요
12:42일본에는 1972년부터 빌려주고 있는 상황인데
12:46이게 만약에 계속적으로 연장이 되지 않는다면
12:49두 국가의 상황에 정말로 극에 치닫는 것이 아닌가라는 이야기들도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12:54가장 관심은 이렇게 중국과 일본의 갈등으로 우리나라가 어떻게 대응해야 되는지
13:00우리나라에게 기회일지 위기일지를 따져봐야 될 것 같은데요
13:04교수님 결국에는 우리나라에게는 중국 관광객들이 더 많이 올 수 있으니까
13:09또 기회일 수도 있다는 얘기가 있고
13:10또 외교의 운신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위기일 수도 있다는 얘기가 있어요
13:14양면이 다 있는 것 같습니다
13:16특히 많은 분들이 중국이라는 국가가 우리 한국이나 일본을 다 코너에 몰면
13:26자기네한테 불리해지니까 아마 상대적으로 우리가 반사 이익이 좀 있을 거다
13:31그건 이제 전술적으로는 충분히 그럴 수 있어요
13:34그런데 전략적인 관점에서 보면 중국이 볼 때는
13:38한국이나 미국이나 다 배후에 한국이나 일본이나 다 배후에 미국이 있다고 생각을 하는 거예요
13:45그러니까 결국 우리의 원자함이라든가 이런 부분에 대해서 상당한 관심을 갖고 있거든요
13:52그런데 이제 중일 갈등이 터지다 보니까 그걸 이제 크게 우리한테도 얘기를 못하고 있는 상황인데
13:59어쨌든 제가 볼 때는 표면적으로는 그렇게 보일 수 있으나
14:05전략적으로는 중국의 생각이 크게 변함이 없을 거고
14:09결국은 제일 우려하는 거는 한미일 삼각공조의 중국에 대한 압박
14:16이걸 우려하고 있거든요
14:17그러니까 우리한테는 좀 유화적으로 할 수 있지만
14:20그게 전략적으로 완벽하게 변하는 건 아니다
14:23그런 의미에서 이 전술적 변화를 우리가 어떻게 이해를 하고
14:28거기에 대해서 어떻게 대응해야 되는가는
14:30우리 이제 정부가 또 숙제로 안고 있어야 되는 것 같습니다
14:34저는 로우키로 갈 수밖에 없다 이렇게 생각을 합니다
14:37우리 정부 매우 신중하게 국익을 위한 방법을 고민해 주기 바라겠습니다
14:42기상캐스터 배혜지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