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푸터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댓글
북마크
공유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여랑야랑]밥 맥티어 / 절로 시장으로 / 하루 만에 자중
채널A News
팔로우
2025. 5. 24.
[앵커]
Q. 여랑야랑 정치부 박자은 기자와 함께합니다. 첫 번째 주제, 밥 맥티어? 어제 TV 토론회에서 나온 이름이죠?
전 댈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 이름인데요.
이재명 후보, 이준석 후보에게 의료비 절감 방안 묻다가 갑자기 호텔 경제학 공방전이 다시 시작됐는데요, 사실 호텔경제학 논란, 토론회 시작부터 먼저 꺼낸 건 이준석 후보쪽이었습니다.
[이준석 / 개혁신당 대선 후보 (어제)]
"자신의 사이비 호텔경제학에 의문을 제기하는 국민을 바보라 조롱하는 후보가"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어제)]
제가 이런 지적을 가능하면 안 하려고 하는데 혹시 밥 맥티어라고 아세요?
[이준석 / 개혁신당 대선 후보 (어제)]
모르겠습니다.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어제)]
루카스 차이제 모르시죠?
[이준석 / 개혁신당 대선 후보 (어제)]
호텔 경제학의 원본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어제)]
네, 네네…. 한국은행에서 5만 원을 쓰는 법 이거 그림 표 있는 거 보셨어요?
[이준석 / 개혁신당 대선 후보 (어제)]
찾아내느라고 고생하셨는데 전혀 다른 얘기입니다.
지난 1차 TV토론에 이어 두 사람의 2차전이었습니다.
Q. 지난 대선 때 나온 익숙한 단어도 들리던데요.
RE100 말씀이시죠?
맞습니다, 3년 전 대선에서도 화제였잖아요.
이 후보 질문에 당시 윤석열 후보가 답변을 못했던 장면이 있었는데요 어제도 김문수 후보 공세 와중 언급한 겁니다.
[이재명 / 당시 민주당 20대 대선 후보 (2022년 2월)]
RE100에 대해서는 어떻게 대응하실 생각입니까?
[윤석열 / 당시 국민의힘 20대 대선 후보 (2022년 2월)]
네? RE100이 뭐죠?
[이재명 / 민주당 대선 후보 (어제)]
RE100이 뭔지도 아실 거예요.
[김문수 / 국민의힘 대선 후보 (어제)]
네 그 자체는 좋은 구호이긴 하지만 RE100이 될 수 있다 이건 상당한 시간이 지나기 전에는 안되는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어제)]
그야말로 우리 김문수 후보님이 현실을 모르시는데요.
Q. 어제는 토론 상당 부분이 이재명-이준석 두 후보의 설전으로 흐르기도 했죠?
서로 '차베스다', '극단적이다' '토론 시간 지켜라' 지적 오가다 감정싸움으로까지 번졌어요.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어제)]
우리 이준석 후보는 언제나 그러신 것 같아요 과잉되게 아니면 왜곡되게 지적을 막 하는데
[이준석 / 개혁신당 대선 후보 (어제)]
제 질문인데 제 주도권 질문인데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어제)]
질문도 답의 일부예요 중간에 좀 안 끼어들면 좋겠어요, 말할 때.
[이준석 / 개혁신당 대선 후보 (어제)]
결국 제가 지금 질문드린 것에 대해서 답은 안 하시고 저에게 훈계하듯이 말씀하시면서 끝난 거 아니겠습니까?
Q. 두번째 주제. 절로 시장으로 누가 갔습니까.
이재명 후보의 배우자 김혜경 씨와 김문수 후보 배우자 설난영 씨, 각각 오늘 충북 단양 구인사, 대구 서문시장을 찾았습니다.
Q. 대선 후보 내조가 한창이군요. 김혜경 씨는 김문수 후보 만났다고요?
첫 만남이었는데 악수에 이어 짧은 대화도 나눴고요.
두 사람, 행사장 자리도 나란히 붙어있었습니다.
행사가 끝나고 한 기자가 김 후보에게 소감을 물었는데 김 여사와 만나 "좋았다", "자주 만나야지"라고 말했다고 하네요.
Q. 설난영 씨는 같이 안 갔나 봐요?
막판 보수 결집 위해 대구 서문시장 민심 행보 중이었거든요.
[설난영 /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배우자 (오늘)]
당연히 대구 경북은 우리 보수의 심장!
다음 주 초엔 고향 호남을 찾는다고 합니다.
Q. 마지막 주제 봅시다. 하루 만에 이재명 후보, 뭡니까?
자중에 나섰다는 겁니다.
박범계 민주당 법사위 간사가 '법조인 아닌 사람도 대법관 임용할 수 있게 하자'고 법안 발의했다가 논란 커지니 하루 만에 선 그었습니다.
[이재명 / 민주당 대선 후보]
"민주당의 입장이거나 제 입장은 전혀 아니라는 말씀을 먼저 드립니다. 저는 비법조인, 비법률가에게 대법관 자격을 주는 것은 섣부르다 생각합니다 당내에도 제가 그런 문제는 자중하라고 오늘 아침에 지시도 해놓은."
어제 발의 후 민주당 다른 법사위원들 물어보니 "선거 얼마 안 남아서 조심해야 하지 않겠느냐" 기류이긴 했거든요.
남은 시간 열흘, 정책 하나 공약 하나에 따라 각 후보 캠프마다 혹시 유권자 표심 잃을까봐 최대한 신중을 기하는 모습입니다. (신중하게)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
박자은 기자 jadooly@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여랑여랑 정치부 박자은 기자와 함께 하겠습니다.
00:03
첫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
00:06
밥 맥티어. 어제 TV토론회에 나온 이름이죠?
00:09
그렇습니다. 전 델러스 미국 연방준비은행 총재 이름인데요.
00:14
이재명 후보, 이준석 후보에게 의료비 절감 방안 묻다가
00:18
갑자기 호텔경제학 공방전이 다시 시작된 겁니다.
00:22
사실 이 호텔경제학 논란은 토론회 시작부터 먼저 꺼낸 건 이준석 후보 쪽이었습니다.
00:30
자신의 사입이 호텔경제학에 의문을 제기하는 국민을 바보라고 조롱하는 후보가
00:40
제가 이런 지적은 가능하면 안 하려고 하는데
00:45
혹시 밥 맥티어라고 하세요?
00:49
모르시고.
00:49
루카스 차이저?
00:51
모르시고.
00:52
호텔경제학의 원본이 원장인 거죠?
00:55
한국은행에서 5만 원을 쓰는 법
00:58
이거 그림표 있는 거 보셨어요?
01:00
사전이라 고생하셨는데 전혀 다른 얘기입니다.
01:05
지난 1차 TV토론회에 이어서 두 사람의 2차전이었습니다.
01:10
지난 대선 당시에 나온 익숙한 단어들도 들리던데요.
01:14
아리백 말씀이시죠.
01:15
맞습니다.
01:16
3년 전 대선에서도 화제였잖아요.
01:18
이재명 후보 질문에 당시 윤석열 후보가 답변을 못했던 장면이 있었는데
01:23
어제도 김문수 후보 공세 와중 언급한 겁니다.
01:33
아리백에 대해서는 어떻게 대응하실 생각입니까?
01:36
네?
01:37
아리백이 뭐죠?
01:39
아리백이 뭔지도 아실 거예요?
01:41
네.
01:42
그 자체는 좋은 구호이긴 하지만
01:44
아리백이 될 수 있다.
01:46
이거는 상당한 시간이 지나기 전에는 안 되는...
01:49
그야말로 우리 김문수 후보님이 현실을 모르시는데요.
01:54
어제는 이 토론의 상당 부분이 이재명, 이준석 두 후보의 설전으로 흐르기도 했어요.
01:59
그렇습니다.
02:00
서로 차베스다, 극단적이다, 토론 시간 지켜라, 이 지적 오가다가 감정 싸움으로까지 번졌습니다.
02:09
이준석 후보는 언제나 그러신 것 같아요.
02:12
과잉되게 아니면 왜곡되게 지적을 막 하는데...
02:15
제 질문 문제, 제 주도권이 있는데...
02:17
질문도 답의 일부예요.
02:19
중간에 좀 안 끼어들면 좋겠어요.
02:21
결국 제가 지금 질문드린 것에 대해서 답은 안 하시고
02:24
저에게 훈기하듯이 말씀하시면서 끝난 거 아니겠습니까?
02:30
네, 두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
02:34
전로시장으로 누가 갔습니까?
02:36
이재명 후보 배우자 김혜경 씨, 그리고 김문수 후보 배우자 설란영 씨가
02:41
오늘 각각 충북 단양 구인사와 대구 서문시장 찾았습니다.
02:45
대선 후보모 내조가 한창인 것 같은데
02:47
김혜경 씨는 김문수 후보를 만났다면서요?
02:50
그렇습니다. 오늘이 첫 만남이었는데요.
02:53
서로 악수에 이어서 짧은 대화도 나눴고요.
02:56
두 사람 오늘 행사장 자리도 나란히 붙어 있었습니다.
02:59
행사가 끝나고 한 기자가 김 후보에게 소감을 물었는데
03:28
김여사와 만나서 좋았다. 자주 만나야지 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03:33
설란영 씨는 같이 안 갔나 보군요.
03:35
네, 막판 보수 결집 위에서 오늘 대구 서문시장 민심 행보 중이었습니다.
03:40
다음 주 초에는 고향 호남 찾는다고 합니다.
04:02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
04:06
하루 만에 이재명 후보 뭡니까?
04:08
네, 바로 자중에 나섰다는 겁니다.
04:11
어제 박범계 민주당 법사위 강사가 법조인 아닌 사람도 대법관 임용할 수 있게 하자고 법안 발의했다가
04:18
논란 커지자 하루 만에 선거였습니다.
04:23
민주당의 입장이거나 또 제 입장은 전혀 아니라는 말씀을 먼저 드립니다.
04:28
저는 비법조인 비법률가에게 대법관 자격을 주는 것은 덕분이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04:37
당내에도 제가 그런 문제는 좀 자중하라고 지금 오늘 아침에 지시도 해놓은 상태입니다.
04:42
네, 어제 법안 발의 후 제가 민주당 다른 법사위원들 물어보니까
04:46
선거 얼마 안 남아서 조심해야 하지 않겠느냐 이런 기류이긴 했습니다.
04:52
남은 시간 열흘 정책 하나, 공약 하나에 따라서 각 후보 캠프마다
04:56
혹시 유권자 표심 잃을까 봐 최대한 신중 기하는 모습입니다.
05:01
네, 잘 들었습니다. 지금까지 여랑여랑이었습니다.
05:12
네, 잘 들었습니다.
추천
5:19
|
다음 순서
[말말말] 이재명 "진지한 토론" 김문수 "아쉬운 토론" 이준석 "답 회피하고 조롱" / YTN
YTN news
2025. 5. 19.
2:00
“아바타” vs “아수라”…정책 없이 네거티브
채널A News
2025. 5. 28.
2:20
이준석 “이재명 1인 천하 저지”
채널A News
2025. 6. 2.
2:30
“형수 욕설” vs “소방관 갑질”…격해진 설전
채널A News
2025. 5. 24.
4:54
[여랑야랑]20일간의 열전 / 소환된 SNS
채널A News
2025. 5. 3.
2:36
가까워진 김문수·이준석…단일화 점화?
채널A News
2025. 5. 19.
5:25
[여랑야랑]‘경기지사’ 브로맨스? / 털 심은 데 ‘표’ 난다? / 너도나도 ‘울컥’
채널A News
2025. 5. 23.
5:02
대선 후보 마지막 TV 토론, '네거티브 공방' 난타전 / YTN
YTN news
2025. 5. 27.
5:45
민주 "준비 안 된 후보"...국민의힘 "무책임 전형" / YTN
YTN news
2025. 5. 19.
2:41
격해진 토론..."소방관 갑질" vs "형수 욕설" / YTN
YTN news
2025. 5. 23.
2:01
이준석 “이재명은 꼰대” 맹공…1위 지지율 빼앗기
채널A News
2025. 5. 26.
5:02
[여랑야랑]여의도에 열린 ‘당권’ 마켓? / ‘120원’에 출렁? / 민주당 ‘보수, 일단 타’?
채널A News
2025. 5. 22.
4:35
[여랑야랑]서울 대전 찍고 유턴? / 뛰는 쌍권, 나는 문수? / 이재명, 영혼 체인지?
채널A News
2025. 5. 7.
1:47
이준석 “김문수로 이재명 못 이겨”
채널A News
2025. 5. 27.
2:14
김문수·이준석 발언 논란…“미스 가락시장” “74세에 뭘 성장”
채널A News
2025. 5. 13.
5:04
[여랑야랑]깐족 후폭풍 / ‘폭싹’ 마케팅전(戰)
채널A News
2025. 4. 26.
4:00
[여랑야랑]홍준표, 여기까지가 끝인가보오 / 정청래, 지금은 맞고 그땐 틀리고?
채널A News
2025. 4. 29.
2:51
김문수·한덕수 첫 대면...추가 회동 두고도 온도 차 / YTN
YTN news
2025. 5. 5.
4:10
[여랑야랑]어색한 만남 / 내 밑으로 와
채널A News
2025. 4. 19.
1:53
“정계 떠나라”…이준석에 사퇴 요구 봇물
채널A News
2025. 5. 28.
4:47
[여랑야랑]한동훈, 똑똑한 배신자? / 나경원 모시기 경쟁? / 홍준표 “한덕수 보다 이준석”
채널A News
2025. 4. 23.
3:43
이재명 "친일파 덮자? 중간 생략된 것"...국민의힘, 본격 '세 대결' / YTN
YTN news
2025. 4. 23.
2:18
"졸속 후보 vs 무지·무책임"...아전인수 비판전 / YTN
YTN news
2025. 5. 19.
3:28
[마크맨]김상욱 껴안은 이재명…김문수 “GTX”·이준석 “보수대안”
채널A News
2025. 5. 16.
2:20
대선 D-20, 네거티브 공방 시작 [앵커리포트] / YTN
YTN news
2025. 5.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