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이 대통령, 오늘 오전 ’팩트시트 합의’ 직접 브리핑
"한미 통상 협상 및 안보 협의 최종적으로 타결"
미 관세율 15%로 낮추는 대신 3,500억 불 규모 투자
외환시장 충격 막기 위해 연 200억 달러 조달 상한


한미 양국이 그동안 벌여온 관세·안보 분야 협상의 결과물인 공동 설명 자료, '조인트 팩트시트'가 확정됐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 내용을 직접 브리핑하며 우리 경제와 안보의 최대 변수 중 하나였던 한미 통상 협상과 안보 협의가 최종 타결됐다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강진원 기자!

[기자]
네, 용산 대통령실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팩트시트'가 합의됐단 소식을 직접 알린 거죠?

[기자]
그렇습니다. 오늘 오전 10시 15분쯤 이재명 대통령이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을 찾았습니다.

예정에 없던, 급하게 공지된 일정이었습니다.

카메라 앞에 선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두 차례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이 합의한 내용이 담긴 공동설명자료, '조인트 팩트시트' 작성이 마무리됐다고 밝혔습니다.

우리 경제와 안보의 최대 변수 중 하나였던 한미 통상 협상과 안보 협의가 최종 타결됐단 겁니다.

공개된 팩트시트에는 그동안 한미 양국이 벌여온 관세와 안보 분야 협상 결과물이 담겼습니다.

우선 관세 분야를 보면요.

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매기는 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추는 대신 한국은 3,500억 달러 규모 대미 투자를 하기로 했습니다.

이 가운데 현금 투자는 2,000억 달러인데요.

우리 외환시장의 충격을 막기 위해 한국의 달러 조달 한도는 연간 기준, 최대 200억 달러로 정해졌습니다.

안보 분야에선 미국이 한국의 핵추진잠수함 건조를 승인한 게 눈에 띕니다.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권한 확대와 관련해, 우리가 미국 정부의 지지를 얻은 것도 성과로 보입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한국의 핵추진잠수함에 대해, 한국에서 건조하는 것을 전제로 양국 논의가 진행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팩트시트 합의를 두고, 한미동맹의 굳건한 신뢰를 바탕으로 상식과 이성에 기초한 최선의 결과를 만들었다고 평가했습니다.

우리 경제가 충분히 감내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상업적 합리성이 있는 프로젝트에 투자한다는 걸 양국 정부가 확인했다고도 했습니다.
... (중략)

YTN 강진원 (jinwon@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51114125032846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한미 양국이 그동안 벌여온 관세 안보 분야 협상의 결과물인 공동설명자료 조인트 팩트시트가 확정됐습니다.
00:09이재명 대통령은 이 내용을 직접 브리핑하며 우리 경제와 안보의 최대 변수 중 하나였던 한미 통상협상과 안보협의가 최종 타결됐다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00:20취재기자 연결해서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강진원 기자.
00:25용산 대통령실입니다.
00:27이재명 대통령이 팩트시트가 합의됐다는 소식을 직접 알린 거죠?
00:34그렇습니다. 오늘 오전 10시 15분쯤 이재명 대통령이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을 직접 찾았습니다.
00:41예정에 없던 급하게 공지된 일정이었습니다.
00:45카메라 앞에 선 이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과 두 차례 한미정상회담에서 양국이 합의한 내용이 담긴 공동설명자료죠.
00:53조인트 팩트시트 작성이 마무리됐다고 밝혔습니다.
00:56우리 경제와 안보의 최대 변수 가운데 하나였던 한미 통상협상과 안보협의가 최종적으로 타결됐다는 겁니다.
01:04공개된 팩트시트에는 그동안 한미 양국이 벌여온 관세와 안보 분야 협상 결과물이 담겼습니다.
01:09우선 관세 분야를 보면요.
01:12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매기는 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추는 대신 한국은 3,500억 달러 규모 대미 투자를 하기로 했습니다.
01:21이 가운데 현금 투자는 2천억 달러인데요.
01:24우리 외환시장의 충격을 막기 위해서 한국의 달러 조달 한도는 연간 기준 최대 200억 달러로 정해졌습니다.
01:33안보 분야에선 미국이 한국의 핵 추진 잠수함 건조를 승인한 게 눈에 띕니다.
01:37우라늄 농축과 사용 후 핵연료 제처리 권한 확대와 관련해서 우리가 미국 정부의 지지를 얻은 것도 성과로 보입니다.
01:45위성낙 국가안보실장은 한국의 핵 추진 잠수함에 대해서 한국에서 건조하는 것을 전제로 양국 논의가 진행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01:55이 대통령은 팩트시트 합의를 두고 한미동맹의 굳건한 신뢰를 바탕으로 상식과 이성에 기초한 최선의 결과를 만들었다고 평가했습니다.
02:04우리 경제가 충분히 감내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상업적 합리성에 있는 프로젝트에 투자한다는 걸 양국 정부가 확인했다고도 했습니다.
02:12원금 회수가 어려운 사업에 투자하지는 않을 거란 의미입니다.
02:17안보 분야 협상에 대한 언급도 있었습니다.
02:20대한민국의 수십 년 숙원이자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필수 전략 자산인 핵 추진 잠수함 건조를 추진하기로 미국과 뜻을 모았다고 강조했습니다.
02:31미국 상선뿐만 아니라 미 해군 함정 건조도 한국 내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개선책을 모색하기로 했다고 말했습니다.
02:39이 대통령은 한미 통상 및 안보 협의가 매듭지어졌지만 이제 시작이라고 했습니다.
02:46국익을 지키려는 각국의 총성 없는 전쟁은 계속될 것이고 국제사회의 불확실성도 단기간에 해소되진 않을 게 분명하다는 겁니다.
02:54이 대통령은 이 과정에서 영내 주변국들과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는 소신도 거듭 내비쳤는데요.
03:01특히 한중관계를 언급했습니다.
03:03중국과 꾸준한 대화를 통해서 양국 관계 발전과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길을 흔들림 없이 이어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03:12지금까지 용산 대통령실에서 YTN 강진원입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