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9분 전


이번 주 안 넘길 것" 하루 만에 대통령실 "이번 주 넘길 수도"
송언석 "강훈식, 국감서 위증했나"
대통령실 "안보 분야 문안 조정으로 지연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1예,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이 국감에 나와서 이번 주에 팩트시트에 나온다라고 한 다음 날 대통령실에서는 이번 주 어렵다고 했습니다.
00:10그러니까 국민의힘 송원석 원내대표가 양치소년이냐 다 된 것처럼 얘기하더니 왜 아직까지 협상 발표가 안 나고 있느냐라고 지적을 하고 있습니다.
00:20관련된 발언 들어보시죠.
00:22미국 안에도 여러 부처가 이 문제에 대해서 다부처 사안으로 논의하고 있기 때문에 그 사안에 대해서 저희가 일방적으로 예단해서 언제까지 된다라고 말씀드리기는 쉽지 않고 다만 대략 팩트시트 같은 경우에 이번 주를 저희들 볼 때는 넘기지 않을 거다.
00:39그런데 아직도 재협상을 했다고 발표했는데 팩트시트도 안 나오고 MOU도 안 되고 있습니다.
00:45이 정도면 정부의 당국자들이 지금 늑대소년이 되는 거 아닙니까?
00:49네, 손수 대변인 지금 국민의힘에서는 이렇게 양치기 소년, 늑대소년 이야기를 하고 있어요.
00:57대통령실이나 정부에서는 뭔가 다 된 것처럼 발표를 했는데 그게 지금 안 나오고 있어서 문제를 삼고 있는 것 같은데 미국에서 지금 문제를 삼고 있다는 얘기 같아요.
01:08네, 그렇습니다. 많은 국민께서 지금 관세 협상에 대한 많은 궁금증이 있으신데 사실 첫 단추부터 조금 잘못 끼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01:16처음에 이제 강유정 대변인이 협상문도 필요 없을 만큼 협상이 잘 됐다 했지만 그 이후에 어떤 결과 손에 쥐는 결과물은 없었죠.
01:25그렇기 때문에 지금 또다시 강훈식 비서실장께서 이번 주 안으로 팩트시트가 나온다라고 했지만 그것이 6일 날 발표를 했는데 바로 7일 그 다음 날 이 이야기가 뒤집어진 것입니다.
01:35그렇기 때문에 양치기 소년, 한 번 속지, 두 번 속지 않는다 이런 이야기가 나오는 것 같고요.
01:40사실상 지금 우리 대한민국 정부가 이야기하고 있는 3,500억 불에 대한 투자가 트럼프 대통령이 돌아가서는 그것이 뻥튀기가 되어 지금 9,500억 달러 투자라고 둔갑이 되었습니다.
01:52쌀, 농산물 시장을 100% 개방한다고 그랬는데 우리 정부는 개방하지 않기로 했다든지 지금 말이 어긋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팩트시트를 보자라고 하고 있는데요.
02:01그렇기 때문에 조금 세세한 내용들을 가지고 굉장히 큰 비용이기 때문에 국회 비준도 당연히 필요할 것이고 조금 더 들여다보자 하는 취지의 이야기로 보입니다.
02:11강성필 부장님, 일단 이번 주 넘길 것 같다는 얘기가 나와요.
02:14다음 주에 빠르면 다음 주가 될 것 같은데 안보 분야 문안 조정으로 지연이 되고 있다.
02:19그러니까 결국은 이재명 대통령이 이번 APEC 회담에서 결국 핵 추진 잠수함에 대한 제조를 승인받았다.
02:28미국이 허락해줬다. 그것 때문에 굉장히 인기를 얻고 합상이 잘 됐다라고 했는데 지금 미국 측에서 이게 제대로 조율이 안 되고 있는 모양이에요?
02:37그러니까 지금 트럼프와의 정상회담에서 이거를 트럼프 미국 쪽에서는 핵 추진 잠수함을 필리조선서 미국에서 만들 것이다 라는 주장과
02:48또 이재명 대통령은 분명히 여기서 만든다라는 이런 주장들이 엇갈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02:53미국에서 만들면 우리가 수임을 해다 써야 된다는 얘기인데 그건 아니지 않겠습니까?
02:57그런데 이제 사실 제가 전문가한테 좀 물어보니까 이러한 그 상황에서는 가장 합리적으로 추측을 해볼 수 있는 방안이
03:04우리 어차피 지금 필리조선서에서는 핵 추진 잠수함을 만들 수 있는 인프라가 없어요.
03:10구축하는 데서 3년이 걸린다는 건 이미 다 알고 있잖아요.
03:12그렇기 때문에 그 제도에서 대부분의 선박을 제조를 한 다음에 그것을 필리조선서에서 조립을 하는 형식으로 갈 가능성이 매우 높다라는 전문가의 의견을 제가 들었거든요.
03:23그런 차원에서 이런 문제는 이렇게 해결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보여지고 사실 이제 국민의힘에서는 계속 과거에 광주정 대변인이 말할 수 없을 만큼 잘됐다라고 지적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사실 송구스러운 마음은 있죠.
03:34그런데 이 외교라는 것이 상대방에 있는 거잖아요.
03:37그리고 아시다시피 트럼프가 워낙 일촉 돌발적인 사람이기 때문에 상황이 변하고 변하고 그런 과정 속은 있지만
03:43어쨌든 결과적으로는 지금 미국 내에서도 지금 트럼프가 과연 다른 나라에게 관세를 부과하는 권한을 헌법으로 또 위임받았냐.
03:52이 부분에 있어서 대부분에서 상당히 부정적인 기류가 흐르고 있고 이미 1심, 2심에서 패배해서 3심도 안 좋은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03:59또 내부적으로는 이 상황에 우리가 계속해서 조인트 시트가 나오는 것도 맞나 이런 지적도 있는 것이고
04:05그 부분에 있어서 미국도 난감한 상황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조금만 더 믿고 기다려보는 게 어떨까 이런 생각합니다.
04:10일단 이재명 대통령의 지지율은요.
04:13에이펙 정상회의 이후에 가파르게 올라갔습니다.
04:17협상이 잘 됐다고 국민들이 생각하고 있는 것 같아요.
04:19현재 63% 11월 첫 주 지지율이 이렇게 나오고 있는데 만약 관세 협상이 발표가 늦어지고
04:28또 잠수함 관련해서 또 뭔가 이견이 나오는 게 나올 경우에 다음 주 여론조사 결과는 또 어떻게 바뀔지 궁금해집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