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팬데믹 이후 극장가 침체가 길어지면서 영화계 내부에서 '붕괴'라 말할 만큼 위기감이 짙습니다.

선배 감독들은 다음 세대를 흔들 '괴짜' 후배의 등장을 기다린다고 말했습니다.

김승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영화 '세계의 주인' (상영 중)

전교생이 참여한 서명운동을 홀로 거부한 여고생, 주인.

한 장의 쪽지가 그녀의 세계를 흔듭니다.

매번 아이의 시선으로 세상을 비춰온 윤가은 감독이 6년 만에 내놓은 신작입니다.

[윤가은 / 영화 '세계의 주인' 감독 : '우리는 어떤 사람들을 정말 정확히 똑바로 바라보고 있는가' '무엇에 기준을 두고 그 인물을 바라보고 해석하는가' 그 질문을 붙잡고 영화를 계속 만들었던 것 같아요.]

하지만 윤 감독처럼 젊은 창작자들이 자신만의 세계관을 관객에게 보여줄 기회는 많지 않습니다.

['미쟝센단편영화제' 소개 영상 : 여기 계속 있었네. 4년 만이지?]

이런 위기의식이, 4년 동안 멈췄던 신인 감독의 등용문, 미쟝센단편영화제를 다시 움직이게 했습니다.

이 영화제로 처음 주목받았던 '파묘'의 장재현, '콘크리트 유토피아'의 엄태화 감독 등 현직 감독들이 직접 무대를 마련했습니다.

[엄태화 / 영화감독 : (이 영화제를 통해서 배출되는 신인 감독들이) 한국 영화의 새로운 미래를 이끌어 가게 될 감독이라는 걸 저희가 많이 느끼게 됐고, 근데 (중단 기간) 물이 끊겨있었구나…]

한국영화 위기를 몸소 느끼는 선배로서 후배들에게 바라는 건 명확합니다.

[장재현 / 영화감독 : 저희끼리 얘기해요. 좀 '또라이'들이 있었으면 좋겠다.]

저희의 경쟁자이자…. 어떻게 보면 이상한 영화들, 이상한 감독들…" 이같이 절박한 심정엔 팬데믹 이후 제작비도, 편수도, 관객도, 극장도 모두 쪼그라든 영화 산업의 현실이 있습니다.

[김성수 / 영화감독 : (한국영화계를) 한 마디로 진단하자면 '붕괴'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아시다시피 지금 한국영화는 아예 만들어지고 있지 않습니다.]

극장에 와서 볼 만한, 재밌는 작품이 꾸준히 나오는 길만이 영화계가 살길이기 때문에 새 피 수혈이 절실한 셈입니다.

[장재현 / 영화감독 : 요즘 (극장 영화는) 청룡열차 정도의 (도파민 분출) 그것을 해줘야 하는 것 같은 느낌이에요.]작가주의적이면 더 작가주의적이고, 웃기면 좀 더 웃기고….

무서우면 더 무섭고…" 기존의 흥행... (중략)

YTN 김승환 (ksh@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6_20251024043628182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팬데믹 이후 극장과 침체가 길어지면서 영화계 내부에서 붕괴라 말할 만큼 위기감이 짓습니다.
00:06선배 감독들은 다음 세대를 흔들 괴짜 후배의 등장을 기다린다고 말했습니다.
00:11김승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00:16솔직히 주인이 정도면 애는 진짜 괜찮은데 뭐랄까?
00:19아, 주인이 그런 거 아니야.
00:21전교생이 참여한 서명운동을 홀로 거부한 여고생 주인.
00:25한 장의 쪽지가 그녀의 세계를 흔듭니다.
00:30매번 아이의 시선으로 세상을 비춰온 윤가은 감독이 6년 만에 내놓은 신작입니다.
00:37우리는 어떤 사람들을 정말 정확히 똑바로 바라보고 있는가?
00:43무엇의 기준을 두고 그 인물을 바라보고 해석하는가?
00:47그 질문을 붙잡고 영화를 계속 만들었던 것 같아요.
00:51하지만 윤 감독처럼 젊은 창작자들이 자신만의 세계관을 관객에게 보여줄 기회는 많지 않습니다.
01:00이런 위기의식이 4년 동안 멈췄던 신인 감독의 등용문, 미장센 단편 영화제를 다시 움직이게 했습니다.
01:20이 영화제로 처음 주목받았던 파묘의 장재현, 콘크리트 유토피아의 엄태하 감독 등 현직 감독들이 직접 무대를 마련했습니다.
01:29한국 영화의 새로운 미래를 이끌어가게 될 감독님들이라는 것을 저희도 되게 많이 느끼게 됐고
01:37그런데 그게 뭔가 물이 끊겨 있었구나.
01:41한국 영화 위기를 몸소 느끼는 선배로서 후배들에게 바라는 건 명확합니다.
01:48저희끼리 얘기해요.
01:51돌아이들이 좀 있었으면 좋겠다.
01:53저희의 경쟁자이자 좀 어떻게 보면 좀 이상한 그런 영화들, 이상한 감독들.
02:00이같이 절박한 심정엔 팬데믹 이후 제작비도, 편수도, 관객국, 극장도 모두 쪼그라든 영화 산업의 현실이 있습니다.
02:10극장에 와서 볼만한 재미있는 작품이 꾸준히 나오는 길만이 영화계가 살 길이기 때문에
02:26태피, 수혈이 절실한 셈입니다.
02:40기존의 흥행 공식이 무너진 뉴노멀의 시대.
02:44지금 한국 영화는 다시 태어날지 사라질지의 문턱에 서 있습니다.
02:49YTN 김승환입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