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15시간 전


Q. 충북 '일하는 밥퍼' 사업 성과와 계획은?
Q. 올해 2분기 GRDP 성장률 '전국 1위'… 배경은?
Q. 청주국제공항 활주로 신설 추진… 남은 과제는?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지금까지 뉴스 스토리였습니다.
00:30시청국도 하면요. 사람들 모르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대표적으로 꼽는 복지 정책이 있어요.
00:35이게 바로 일하는 바퍼 사업인데 꽤나 지금 잘 되고 있다면서요. 어떤 거죠?
00:40하루에 2천 명 정도가 일하고 있고요.
00:441시간 반 정도 일을 하고 놀자, 늙자 그런 정책인데 97세까지 일하고 있습니다.
00:52정말요?
00:53하루에 1시간만 일하고 1시간만 자원봉사하는데 1만 5천 원 정도의 상품권을 주는 사업인데
01:01지금 2천 명인데 올해 안으로는 3천 명쯤 될 것 같습니다.
01:05일하는 즐거움과 노인들의 즐거움, 기쁨은 이루 말할 수가 없기 때문에
01:10전국적으로 확산됐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01:15그리고 기쁜 소식이 들리던데요.
01:18지금 충청북도 경제 관련해서 2분기 경제 성장이 전국 1위를 기록했습니다.
01:24이게 지금 경제 성장과 일자리 혁신, 이 두 분야에서 아주 두각을 나타냈더군요.
01:29우리 경제 지표를 포함한 모든 것에 트리플 크라운, MVP라고 생각합니다.
01:36그래서 제일 자랑하고 싶은 것은 출생 증가율이 올 상반기에 12.8%로 전국에서 1등을 했고요.
01:43또 고용에서 일자리가 전국에서 제일 많은 곳으로 평가가 돼서 대통령상을 수상을 했습니다.
01:52그리고 그 이외에도 우리는 지금 투자가 비수도권에서 제일 많이 투자가 돼서
01:58지난 3년 동안 63조가 투자가 됐으니까 엄청난 성장을 하고 있고
02:04또 실제로 수출 증가율에서 1등, 고용 증가율에서 1등, 무역 증가율에서 1등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02:13언뜻 생각하면 3.2%밖에 안 되는 조그만 도, 바다도 없는 도에서
02:19어떻게 저런 성과를 낼 수 있을까 생각할 수가 있는데
02:22지금 전 세계에서 만들어지는 HBM이라는 AI 반도체 있지 않습니까?
02:28엔비디아의 수출한, 그걸 전량을 청주해서 만들고 있습니다.
02:31그렇습니까?
02:32그리고 이제 2차 전지, 태양광 이런 것들은 우리나라의 1등으로 이걸 많이 생산하고 있고
02:39유통이나 농산물이나 식품이나 이런 유통회사들이 충청북도에 몰려들고 있기 때문에
02:47충청북도의 미래가 밝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 대한민국 100년 대개를 책임지는 그런 도로 성장하고 있다.
02:56출산율이 높아진다는 건 그만큼 젊은 사람들이 살기 좋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과 직결되거든요.
03:03그래서 아무래도 경제 성과를 이루지 않았을까 싶은데 또 한 가지 있습니다.
03:08지금 청주국제공항 민간전용활주로시설 이거 만드는 게 새 정부 들어서 충북 1호 과제로 선정을 했어요.
03:16그런데 이게 또 쉬운 일이 아니라면서요? 걸림돌이 좀 있죠.
03:20그렇습니다. 저는 정부가 이번에 13조 원을 풀어서 민생을 위해서 여러 가지 시장 내수를 진작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는데
03:27그런 돈 가운데 한 1조 정도만 우리 충청북도에 주면 민간전용활주로를 하나 만들 수가 있게 되는데
03:35우리 지금 활주로는 두 개가 있습니다만 한 개 반을 군이 쓰고 있기 때문에
03:40민간전용활주로 하나만 만들게 되면 우리나라의 화물수송을 분산시킬 수가 있습니다.
03:47영정도까지 전부 끌고 가야 되니까.
03:50우리 충청북도 청주공항은 작년에 458만 명이 이용을 하는 그런 공항이 됐습니다.
03:56그러니까 엄청난 수요가 있고 엄청난 지리적 장점이 있는 공항인데
04:03민간전용활주로를 하나만 만들 수가 있다면 대한민국 경제의 GRDP를 성장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04:13그리고 또 한 가지. 지금 오송 제3생명과학단지가 국가산업단지로 지정이 됐어요.
04:19글로벌 바이오 메카로 도약이 기대된다라고 하는데 어떤 계획 갖고 계십니까?
04:24지난 정부에서 K-바이오 스퀘어로 지정을 했는데 이 정부에서도 그것을 받아들여서 국가산단으로 결정을 했습니다.
04:32그래서 우리는 전 세계의 바이오헬스 산업의 중심이 될 수 있는 그런 오송산단을 지금 만들 계획으로 있는데
04:40예타 면제라든지 그런 규제 완화 또는 지원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04:48바이오 캠퍼스, 카이스트의 바이오 캠퍼스가 오게 돼 있고
04:51서울대회 병원을 포함한 유산 병원의 R&D 병원이 거기에 만들어질 것이며
04:57국제학교가 만들어지고 바이오 고등학교가 만들어지는 원대한 계획입니다.
05:02그러니까 지금 보스톤에 있는데 캔달스케어라고 있는데
05:08그 캔달스케어를 능가하는 세계적인 바이오헬스의 중심으로 오송을 만드는 원대한 계획이 국가적으로
05:16또 대한민국의 미래를 열어가는 일로 진행되고 있는데
05:20충청북도가 그 일을 맡고 있습니다.
05:22열심히 해야 되겠습니다.
05:23아니 HBM 반도체 전량을 충북에서 생산하고 거기다가 또 생명과학단지까지
05:28그러니까 최첨단 산업이 지금 충청북도에 쏠려 있군요.
05:33그렇습니다.
05:34그리고 또 한 가지 있습니다.
05:36충북의 첫 대형 컨벤션 시설 오스코가 지금 기관을 했는데
05:40이용객이 KTX 오송역에 많아요, 사실.
05:45네, 천만 명이죠.
05:46그렇죠.
05:47그래서 저도 어디 가다 보면 지금은 오송역입니다.
05:50그리고 잠깐 들렀다 가거든요.
05:52앞으로 오스코가 어떤 역할을 할 걸로 기대하십니까?
05:55오스코는 우리가 한 2천억을 들여서 전시장을 만들었는데
06:02영상에 나오는 저 시설이죠.
06:04개장을 하기 전에 벌써 만 원이 돼 있는 그런 상태에 있습니다.
06:10오스코의 제2오스코를 지금 착공해야 되는 그런 시기에 있고요.
06:15그럴 정도로 유리한 위치에 있고 그 근방에다가 우리는 지금 현재
06:20동구장을 만든다든지 또는 여러 가지 문화시설을 만드는 일을
06:26같이 할 생각으로 있기 때문에 앞으로 오성을 포함한 충청북도의 발전은
06:32무궁무진하다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06:34그렇군요.
06:34알겠습니다.
06:36지금까지 김영환 충북지사님과 함께 충청북도의 새로운 모습들 이야기 설명 즐겨봤습니다.
06:44나오셔서 고맙습니다.
06:45고맙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