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웰시코기 분양 50% 할인’

최근 인천 송도에서 열린 반려동물 박람회에 참여한 한 업체부스에서 강아지가 담긴 투명 플라스틱 박스에 붙여놓은 문구입니다. 반려동물 관련 용품을 소개하거나 올바른 반려동물 문화를 홍보하는 펫페어에 살아있는 강아지를 ‘할인 판매’한 정황이 드러나자 많은 이들의 공분을 샀습니다.

경향신문에 따르면 지난 29일 ‘강아지 판매’ 사진을 SNS에 공개한 한 누리꾼은 “송도 펫페어에서 충격적인 장면을 목격했습니다. 구조된 우리 강아지를 떠올리니 속이 울렁거린다”고 심경을 전했습니다. 사진에는 플라스틱 상자 안에 한눈에도 어려 보이는 웰시코기의 뒷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웰시코기는 일반적으로 펫숍에서 거래되는 인기 품종견입니다.

해당 게시물이 공유되자 박람회를 방문했던 이들의 추가 제보도 잇따랐습니다. “박람회 마지막 날 부스를 둘러보던 중, 판매자가 ‘오늘이 마지막이니 60% 할인해준다’고 말했다”는 증언이 나왔습니다. 또 다른 방문객들은 강아지 외에도 도마뱀, 햄스터, 다람쥐 같은 소동물도 거래되고 있었다고 상황을 알렸습니다.

동물권 보호 단체들도 즉각 문제를 지적하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해당 글을 공식 SNS에 공유한 한 동물권 단체 관계자는 경향신문에 “박람회 현장을 다녀온 제보자들로부터 부스 번호와 업체명까지 확보한 상태”라며, “누가 어떤 기준으로 해당 업체의 입점을 허가했는지, 박람회를 운영하는 주최 측에 묻지 않을 수 없다”며 “펫페어가 단순한 장사판으로 전락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논란이 불거지자 30일 주최측인 펫앤모어 인천 반려동물 박람회 사무국에서는 유감의 뜻을 전하는 공식입장을 전했습니다. “이번 일은 한 참가 업체가 사전 협의 없이 살아있는 동물을 전시·판매한 데서 비롯됐다”며 “해당 사실은 인지한 즉시 제재 조치 및 현장 퇴거를 요청했다”고 해명했습니다. 향후 유사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참가 업체에 대한 사전 검토와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는 입장도 덧붙였습니다.

한편 구체적인 부수 번호가 공유되면서 강아지 판매자로 지목된 G업체는 본지에 억울함을 호소했습니다. 박람회 참여할 당시 주최측으로부터 ‘분양업도 참여 가능하다’는 연락을 받았을 뿐더러, 자신이 직접 강아지를 판매한 것이 아니라, 해당 강아지는 함께 부스를 사용한 다른 업체가 판매한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동물...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0701103615493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웰시코기 분양 50% 할인
00:02최근 인천 송도에서 열린 반려동물 박람회에 참여한 한 업체부스에서
00:07강아지가 담긴 투명 플라스틱 박스에 붙여놓은 문구입니다
00:11반려동물 관련 용품을 소개하거나 올바른 반려동물 문화를 홍보하는 페페어에
00:16살아있는 강아지를 할인 판매한 정황이 드러나자 많은 이들의 공분을 샀습니다
00:21경향신문에 따르면 지난 29일 강아지 판매 사진을 SNS에 공개한 한 누리꾼은
00:26송도 페페어에서 충격적인 장면을 목격했습니다
00:30구조된 우리 강아지를 떠올리니 속이 울렁거린다고 신경을 전했습니다
00:34사진에는 플라스틱 상자 안에 한눈에도 어려 보이는 웰시코기의 뒷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00:39웰시코기는 일반적으로 펫숍에서 거래되는 인기 품종견입니다
00:44해당 게시물이 공유되자 박람회를 방문했던 이들의 추가 제보도 잇따랐습니다
00:50박람회 마지막 날 부스를 둘러보던 중
00:53판매자가 오늘이 마지막이니 60% 할인해준다고 말했다는 증언이 나왔습니다
00:58또 다른 방문객들은 강아지 외에도 도마뱀, 햄스터, 다람쥐 같은 소동물도 거래되고 있었다고 상황을 알렸습니다
01:07동물권 보호단체들도 즉각 문제를 지적하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01:12해당 글을 공식 SNS에 공유한 한 동물권 단체 관계자는
01:16경향신문의 박람회 현장을 다녀온 제보자들로부터 부스 번호와 업체명까지 확보한 상태라며
01:23누가 어떤 기준으로 해당 업체의 입점을 허가했는지
01:27박람회를 운영하는 주최 측에 묻지 않을 수 없다며
01:30페페어가 단순한 장사판으로 전락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01:35논란이 불거지자 30일 주최 측인 페셋모어 인천 반려동물 박람회 사무국에서는
01:42유감의 뜻을 전하는 공식 입장을 전했습니다
01:45이번 일은 한 참가업체가 사전 협의 없이 살아있는 동물을 전시 판매한 데서 비롯됐다며
01:51해당 사실은 인지한 즉시 제재 조치 및 현장 퇴거를 요청했다고 해명했습니다
01:56향후 유사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참가업체에 대한 사전 검토와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는 입장도 덧붙였습니다
02:03한편 구체적인 부수 번호가 공유되면서 강아지 판매자로 지목된 지역체는 본지의 억울함을 호소했습니다
02:11박람회 참여할 당시 주최 측으로부터 분양업도 참여 가능하다는 연락을 받았을 뿐더러
02:17자신이 직접 강아지를 판매한 것이 아니라
02:20해당 강아지는 함께 부수를 사용한 다른 업체가 판매한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02:24동물권 보호단체는 이번 사건을 비롯해 생명을 소비의 대상으로 전락시키는 행위는 멈춰야 한다며
02:31동물은 제품이나 전시용품이 아닌 생명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02:38동물권 보호단체는 이번 바 크게 들어� buscando
02:40nietke Flip에 집중하여 보호한다고 metode
02:41동물권 보호단체는 이런 식으로 유용해방bs规기
02:43동물권 보호단체는 이것을 다른 바이더에 battling
02:43동물권 보호단체는 다른ulares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