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민주, 법원행정처 폐지·사법행정위 설치안 공론화
대법원장 인사권 분산…’조희대 사법부’ 정조준
국민의힘 "개혁 아닌 노골적 사법권 장악 선언"
법사위, ’대법관 증원’ 등 법원조직법 개정안 상정


다음 주 12·3 비상계엄 1년을 앞두고 여야 대치 전선이 여느 때보다 가팔라지는 가운데 민주당은 사법개혁에 속도전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항소 포기' 공세를 이어온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요구하는 국회 법사위 차원의 국정조사도 수용할 용의가 있단 의사를 조금 전 밝혔는데요.

국회로 가봅니다. 박정현 기자!

[기자]
네 국회입니다.


계엄 1주년을 앞두고 민주당 사법개혁에 거듭 박차를 가하는 분위기죠?

[기자]
네, 민주당 어제 법원행정처 폐지와 외부 위원들로 구성된 사법행정위원회 설치 등의 내용을 담은 개혁안을 발표했는데요,

사실상 대법원장 인사권을 분산한 게 핵심인데, 정청래 대표 아침 회의에서 또 한 번 조희대 사법부를 정면으로 겨눴습니다.

지금의 사법부 불신은 결국 사법부가 자초한 거라며, 사법개혁은 확실한 국민의 뜻이자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고 강조했습니다.

내란전담 재판부 설치와 대법관 수 증원 등 여당의 사법개혁 법안을 연내 반드시 처리하겠단 방침도 재확인했습니다.

하지만 거침없는 지도부의 속도전에 당내에선 공개 소신 발언도 나왔습니다.

오늘 민주당 법사위원들이 주최한 재판소원 토론회에서 판사 출신 박희승 의원은 재판소원은 3심 체제라는 사법체계의 큰 근간을 바꾸는 일이기 때문에 충분한 토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박 의원은 앞서 내란전담재판부에 대해서도,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과 같은 발상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제기한 바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개혁'이란 단어로 포장만 했지 사실상 정적 제거와 범죄 혐의자 대통령을 비호하는 '노골적 사법권 장악 선언'이라고 반발했습니다.

민주당 '교주' 역할을 하는 김어준이 법관을 임명한다는 거와 다를 게 뭐냐 비꼬기도 했습니다.

사법 개혁 관련 여야 공방은 오늘 오후 예정된 법사위 회의가 연장전이 펼쳐질 거로 보입니다.

오늘 법사위에서는 대법관 26명을 증원하고 법관 평가위원회를 개설하는 등 법원조직법 개정안이 안건으로 상정돼 있어 여야 불꽃 신경전이 예상됩니다.

이러한 가운데 검찰의 대장동 항소 포기 사태를 둘러싼 ... (중략)

YTN 박정현 (miaint3120@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51126115622037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다음 주 12.3 비상기업 1년을 앞두고 여야 대치전선이 어느 때보다 가팔라지는 가운데 민주당은 사법개혁에 속도전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00:10항소 포기 공세를 이어온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요구하는 국회 법사비 차원의 국정조사도 수용할 용의가 있다는 의사를 조금 전 밝혔는데요.
00:19국회로 가봅니다. 박정현 기자.
00:23네, 국회입니다.
00:24개혐 1년을 앞두고 민주당이 사법개혁에 거듭 박차를 가하는 분위기죠?
00:30네, 민주당 어제 법원 행정처 폐지와 외부 위원들로 구성된 사법행정위원회 설치 등의 내용을 담은 개혁안을 발표했는데요.
00:39사실상 대법원장 인사권을 분산한 게 핵심인데 정청래 대표 아침 회의에서 또 한 번 조의대 사법부를 정면으로 겨넣습니다.
00:47지금의 사법부 불신은 결국 사법부 스스로 자초한 거라며 사법개혁은 확실한 국민의 뜻이자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고 강조했습니다.
00:57내란 전담 재판부 설치와 대법관수 증언 등 여당의 사법개혁 법안을 연내 반드시 처리하겠다는 방침도 재확인했습니다.
01:07하지만 거침없는 지도부의 속도 전에 당내에서는 공개 소심발언도 나왔습니다.
01:12오늘 민주당 법사위원들이 조최한 재판소원 토론회에서 판사 출신 박희승 의원은 재판소원은 삼심체제라는 사법체계에 큰 근간을 바꾸는 일이기 때문에 충분한 토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01:26박 의원은 앞서 내란 전담 재판부에 대해서도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과 같은 발상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제기한 바 있습니다.
01:34국민의힘은 개혁이란 단어로 포장만 했지 사실상 정적 제거와 범죄 혐의자 대통령을 비호하는 노골적 사법권 장악선언이라고 반발했습니다.
01:44민주당 교주 역할을 하는 김어준이 법관을 임명한다는 것과 다를 게 뭐냐고 비꼬기도 했습니다.
01:50사법개혁 관련 여야 공방은 오늘 오후 예정된 법사위 회의가 연장전이 될 거로 보입니다.
01:57오늘 법사위에선 대법관 수를 26명으로 증원하고 법관 평가위원회를 개설하는 등 법원 조직법 개정안이 안건으로 상정돼 있어 여야의 불꽃 튀는 신경전이 예상됩니다.
02:10이러한 가운데 검찰의 대장동 항소포기 사태를 둘러싼 국정조사는 변곡점을 맞는 모양새입니다.
02:17그간 민주당은 법사위 차원에서 하자 국민의힘은 국회 특별위원회 구성에서 하자고 요구하며 논의가 좀 채 진척이 이뤄지지 못했는데
02:25조금 전 국민의힘 송현석 원내대표가 간담회에서 민주당의 법사위 국조에 대한 수용 가능성을 내비쳤습니다.
02:34다만 국민의힘 위원들의 발언 시간 보장과 여전히 공석 상태인 국민의힘 목 법사위 간사 선임을 전제 조건으로 내걸었습니다.
02:44내일 오전 여야 원내 지도부가 다시 한번 해동해 이 문제를 논의할 방침이지만
02:47민주당에선 이미 여야가 각각 관련자들에 대한 형사 고발까지 진행한 상황에서
02:53국정조사는 실효성이 없어졌다는 무용론도 나오고 있어서 실제 협상 타결이 될지는 불투명해 보입니다.
03:00네 내일 본회의에선 추경호 전 원내대표의 체포동의안도 올라가죠?
03:09맞습니다. 당사자인 추경호 전 원내대표가 불체포 특권을 포기한 데다가
03:15체포동의안 표결은 법려권 절대 의석으로 넉넉한 통과가 예상되는데요.
03:20민주당 지도부는 아침 회의에서 추정 원내대표의 혐의가 확인되면
03:25국민의힘 의원들도 모두 내란 공범으로 정당 해산을 피할 길이 없을 거라고
03:30압박 수위를 거듭 높였습니다.
03:32국민의힘 내부 긴장감 역시 높아지는 분위기입니다.
03:35추후 영장실질심사를 거쳐 결정되는 추정 원내대표의 구속 여부가
03:40국민의힘으로선 절체절명의 기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03:45장동혁 대표가 이번 주 내내 전국을 돌며 규탄 대회를 열고 있는 건 역시
03:49추정 원내대표 영장심사를 앞두고 여론전 화력을 최대한 끌어올려
03:54대오를 가다듬고 지지층 결집을 공고히 하겠다는 전략으로 볼 수 있는데요.
04:00다만 다가오는 12월 3일 당내 윤석열 전 대통령 절연과
04:04계엄 사과 목소리가 계속 커지고 있는 건
04:07지도부에게도 깊은 고민을 남기고 있습니다.
04:10총어석 원내대표는 오전 3선 이상 회동을 갖고 관련 의견을 수렴하기도 했습니다.
04:1512월 3일 민주당엔 또 다른 의미로 중요한 날짜입니다.
04:19민주당 당원당규상 내년 지방선거에 출마하려면
04:22선거 6개월 전까지 최고위원직을 사퇴해야 하는데
04:26공교롭게 다음 달 3일이 딱 시한입니다.
04:29지금까지는 서울시장을 준비 중인 전현희,
04:32경기지사에 관심을 두고 있는 김병주 한준호 최고위원 3명이
04:37사퇴 초일기에 들어갔습니다.
04:39만일 최고위원 9명 중 5명이 사퇴하면 비대위 체제로 전환되는데
04:44과반이 거리될 가능성은 작아 보입니다.
04:48최근 이른바 정청례룰로 불리는 1인 1표제에 대한 여파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04:53중앙위원회 최종 결정을 일주일 연기한 다음 달 5일에 하기로
04:57시간을 벌어놨는데요.
04:59오늘 아침 회의에서 한준호 김병주 최고위원이
05:021인 1표제 공개 지지 입장을 내놓은 가운데
05:05일부 칭명당원들은 당원당규 개정안 효력정지 가처분을 신청해
05:09잡음이 이어질 거로 보입니다.
05:11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