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달러-원 환율이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수준인 1천470원대에 계속 머물면서 환율의 영향을 크게 받는 항공업계가 대규모 손실을 볼 위기에 처했습니다.

업계의 맏형인 대한항공마저 수백억 원의 평가 손실이 예상되는 등, 업계 전체가 고환율의 직격탄을 맞아 쑥대밭이 될 분위기입니다.

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지난 3분기 보고서에서 달러-원 환율이 10원 상승하면 순외화부채 포지션에서 480억원의 외화평가손실이 발생한다고 공시했습니다.

현금 흐름 측면에서도 대한항공의 연간 달러 부족 규모는 16억달러(2조3천456억원)로, 환율이 10원 변동할 때 160억원씩 현금 흐름이 요동칩니다.

달러-원 환율이 작년 평균 1,366.63원에서 최근 1,470원대까지 100원 넘게 오른 것을 고려하면 대한항공의 평가손실이 수천억원대까지 불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실제로 지난 3분기 대한항공은 1천752억원의 외화환산차손실을 냈고, 파생상품 수익으로 이를 일부 만회했습니다.

다만 외화평가손실은 장부상의 손실로, 손실이 실현되기 이전까지는 환율이 다시 하락하기를 기다릴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있습니다.

그러나 환율 상승에 따른 영업 비용의 증가는 곧바로 대한항공의 실적 악화로 이어지는 직격탄입니다.

NH투자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별도 기준 대한항공의 영업이익률은 작년 11.8%에서 올해는 9.3%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공항사용료, 감가상각비, 유류비 등 환율의 영향을 받는 비용 항목이 일제히 불어나기 때문이입니다.

통상 항공사의 비용 중 달러에 대한 노출도는 50% 이상입니다.

안도현 하나증권 연구원은 "항공사의 영업비용 중 유류비, 정비비, 공항관련비 등 환율에 노출된 비용이 많다"며 "고환율이 이어지면서 비용 부담은 추가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올해 글로벌 항공유 가격은 하락했지만 환율 상승은 유가 하락 효과마저 무용지물로 만들었습니다.

항공유 가격은 작년에는 배럴당 평균 95.3달러였는데 올해는 86달러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전년 대비 9.5% 하락했지만, 환율이 7~8% 가량 오르면서 유가의 하락 효과는 대부분 사라졌습니다.

환율 상승은 직접적인 비용 압박뿐만 아니라 해외여행 수요의 감소로도 이어집니다.

그 결과 항공사들은 매출과 비용, 장부상 순외화부채 포지션 등 고환율의 타격을 이중·삼중으...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1126104836463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달러원 환율이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수준인 1,470원대에 계속 머물면서 환율의 영향을 크게 받는 항공업계가 대규모 손실을 볼 위기에 처했습니다.
00:11업계의 맞청인 대한항공마저 수백억 원의 평가 손실이 예상되는 등 업계 전체가 고환율의 직격탄을 맞아 쑥대밭이 될 분위기입니다.
00:19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스템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지난 3분기 보고서에서 달러원 환율이 시원 상승하면 수뇌화부채 포지션에서 480억 원의 외화평가 손실이 발생한다고 공시했습니다.
00:33현금 흐름 측면에서도 대한항공의 연간 달러 부족 규모는 16억 달러로 환율이 시원 변동할 때 160억 원씩 현금 흐름이 요동칩니다.
00:41달러원 환율이 작년 평균 1,366.63원에서 최근 1,470원대까지 100원 넘게 오른 것을 고려하면 대한항공의 평가 손실이 수천억 원대까지 불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00:55실제로 지난 3분기 대한항공은 1,752억 원의 외화환산차 손실을 냈고 파생상품 수익으로 이를 일부 만회했습니다.
01:03다만 외화평가 손실은 장부상의 손실로 손실이 실현되기 이전까지는 환율이 다시 하락하기를 기다릴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있습니다.
01:13그러나 환율 상승에 따른 영업비용의 증가는 곧바로 대한항공의 실적 악화로 이어지는 직격탄입니다.
01:21NH투자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별도 기준 대한항공의 영업이익률은 작년 11.8%에서 올해는 9.3%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01:30공항 사용료, 감가상값비, 유류비 등 환율에 영향을 받는 비용 항목이 일제히 불어나기 때문입니다.
01:38통상 항공사의 비용 중 달러에 대한 노출도는 50% 이상입니다.
01:44안도현 하나증권연구원은 항공사의 영업비용 중 유류비, 정비비, 공항관련비 등 환율에 노출된 비용이 많다며 고환율이 이어지면서 비용 부담은 추가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01:55올해 글로벌 항공유 가격은 하락했지만 환율 상승은 유가 하락 효과마저 무용지물로 만들었습니다.
02:02항공유 가격은 작년에는 배럴당 평균 95.3달러였는데 올해는 86달러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전년 대비 9.5% 하락했지만 환율이 7, 8%가량 오르면서 유가의 하락 효과는 대부분 사라졌습니다.
02:17환율 상승은 직접적인 비용 압박뿐만 아니라 해외여행 수요의 감소로도 이어집니다.
02:21그 결과 항공사들은 매출과 비용, 장부상, 수뇌와 부채, 포지션 등 고환율의 타격을 2중, 3중으로 받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