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LG엔솔, 고환율에 미국 투자 비용 8천억 원 ’껑충’
1,500억 달러 대미 투자 계획…환율 올라 ’눈덩이’
"수출 기업에는 고환율이 호재" 이제는 옛말


고환율에 기업들의 시름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원가 부담에 더해, 대규모 대미 투자 비용만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수출 기업에 한정된 '고환율 호재'도 이제는 옛말이 됐습니다.

박기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2023년 미국 애리조나 배터리 공장 건설에 32억 달러, 우리 돈 4조 1,700억 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2년이 지난 현재 공사 비용은 최소 5조 원에 달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옵니다.

현지 건설 비용으로 지급할 달러의 가격, 원·달러 환율이 10% 넘게 뛴 탓입니다.

다른 기업들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현대차 등 주요 대기업이 발표한 대미 투자 금액만 1,500억 달러.

고공 행진하는 달러값에 원화로 바꾼 투자 금액만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습니다.

현지에서 벌어들인 달러를 재투자하는 것도 모자라 '달러 빚'을 내야 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수출 기업에게 '고환율이 호재'라는 공식도 이제는 옛말이 된 셈입니다.

[허준영 / 서강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부터는, 이론에 따르면 환율이 높아서 가격 경쟁력이 생기면 수출이 잘돼야 하는데 네거티브한 관계가 잡히더라고요. 한마디로 환율 상승에 효과 같은 것들이 이제 우리에게는 별로 없는 것이 아닌가…]

고환율의 긍정적 효과는 사라졌지만, 치솟은 원자재 가격은 고스란히 기업들의 이익 감소로 이어집니다.

먼저, 원자재 대부분을 수입하는 철강과 석유화학업종은 물론, 퀄컴 등 미국에서 주요 반도체를 구매하는 삼성과 LG 등 가전업계와, 웨이퍼 등을 수입하는 반도체 업계까지 환율 인상 부담을 피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특히 유가의 영향을 크게 받는 항공사의 경우 환율이 10원 오를 때 수백억 원의 손실이 발생한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천4백 원대 환율이 새로운 일상이 될 것이라는 전망 속에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들의 미래 사업 계획마저 위태로워졌습니다.

YTN 박기완입니다.


영상편집 : 양영운
디자인 : 김진호




YTN 박기완 (parkkw061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1125214954843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고환율의 기업들의 시름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00:03원가 부담에 더해서 대규모 대미 투자 비용만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00:07수출기업에 한정된 고환율 호재도 이제는 옛말이 됐습니다.
00:12이어서 박기완 기자입니다.
00:17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2023년 미국 애리조나 배터리 공장 건설에
00:2132억 달러, 우리 돈 4조 1700억 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00:25하지만 2년이 지난 현재 공사 비용은 최소 5조 원에 달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옵니다.
00:31현지 건설 비용으로 지급할 달러의 가격, 원달러 환율이 10% 넘게 뛴 탓입니다.
00:37다른 기업들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00:40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현대차 등 주요 대기업이 발표한 대미 투자 금액만
00:441,500억 달러, 고공행진하는 달러 값에 원화로 바꾼 투자 금액만
00:49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습니다.
00:51현지에서 벌어들인 달러를 재투자하는 것도 모자라
00:54달러빚을 내야 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00:57수출기업에게 고환율이 호재라는 공식도 이제는 옛말이 된 셈입니다.
01:01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부터는 이론에 따르면 환율이 높아서
01:05가격 경쟁률이 생기면 수출이 잘 돼야 되는데
01:07조금 네거티브한 관계가 잡히더라고요.
01:10한마디로 환율 상승의 효과 같은 것들이
01:13우리에게는 별로 없는 것이 아닌가.
01:16고환율의 긍정적 효과는 사라졌지만
01:18치솟은 원자재 가격은 고스란히 기업들의 이익 감소로 이어집니다.
01:21먼저 원자재 대부분을 수입하는 철강과 석유화학 업종은 물론
01:25퀄컴 등 미국에서 주요 반도체를 수입하는 삼성과 LG 등 가전업계와
01:30웨이퍼 등을 수입하는 반도체 업계까지
01:32환율 인상 부담을 피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01:35특히 유가의 영향을 크게 받는 항공사의 경우
01:37환율이 10원 오를 때 수백억 원의 손실이 발생한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01:421,400원대 환율이 새로운 일상이 될 것이라는 전망 속에
01:45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들의 미래 사업 계획마저 위태로워졌습니다.
01:49YTN 박경입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