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진행 : 이여진 앵커, 장원석 앵커
■ 화상중계 :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PLUS]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제주도가 관광 회복은 물론 재생 에너지, 우주 산업, 돌봄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를 화상으로 연결해 지역 주요 현안과 방향을 들어보겠습니다. 지사님 나와 계십니까?

[오영훈]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최근 제주 관광이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던데 비결이 뭡니까?

[오영훈]
제주 관광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봄까지 상당히 어려운 시기를 맞았습니다. 특히 내란 사태 등으로 국민들께서 상당히 불안해하셨고 또 관광을 다니기, 여행을 다니기 적합하지 않은 시기였습니다. 그래서 마이너스 25%까지 전년 동기 관광객이 떨어지기도 했는데요. 6월부터는 다시 회복이 되면서 지난 10월에는 전년 동기 대비 12%가 늘었습니다. 이것은 저희들이 지난해부터 해수욕장 편의용품을 50% 할인하는 정책 그리고 가성비 높은 제주관광을 만들기 위한 민간협의체를 운영하고 그리고 제주의 약속이라는 캠페인을 통해서 도민 여러분께 그리고 관광객 여러분께 제주의 공정한 책임을 다하겠다는 메시지를 내보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6월부터 전 국민 여행지원금 제도라고 해서 15명 이상이 함께 제주에 오시게 되면 1인당 3만 원씩 지역화폐 탐라전을 지급했던 게 주요했던 요인이라고 생각합니다.


관광객이 늘면 그로 인해서 생기는 불편을 줄이는 것도 중요할 텐데요. 제주에서는 어떤 대책 준비하고 있습니까?

[오영훈]
우선은 관광객이 많이 늘었을 때 지역 주민들이 어려움을 가질 수가 있는데요. 특히 환경기초시설에 대한 증설 작업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하수종말처리장이라든가 쓰레기매립장이라든가 음식물처리시설이라든가 이런 부분들을 보완하는 것을 장기적인 계획을 갖고 추진해서 소화해내고 있다는 말씀을 드리고요. 또 지역 주민과 관광객이, 여행객이 공존해야 한다는 공존의 약속이라는 캠페인을 통해서 이 문제를 해소해 나가고 있습니다. 상가를 운영하시는 분들이나 자영업자분들은 관광객이 덜 왔을 때 얼마나 힘든지를 체험했기 때문에 관광객이 오는 것을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1125191935812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제주도가 관광 회복은 물론 재생에너지, 우주산업, 돌봄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00:08오늘은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를 화상으로 연결해서 지역 주요 현안과 방향을 들어보겠습니다.
00:14지사님 나와 계십니까?
00:18네, 안녕하십니까?
00:19네, 안녕하세요. 최근 제주관광에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던데 비결이 뭡니까?
00:24네, 제주관광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봄까지 상당히 어려운 시기를 맞았습니다.
00:32특히 내란사태 등으로 국민들께서 상당히 불안해하셨고 또 관광을 다니기에, 여행을 다니기에 적합하지 않은 시기였습니다.
00:40그래서 마이너스 25%까지 전년동기 관광이 떨어지기도 했는데요.
00:446월부터는 다시 회복이 되면서 지난 10월에는 전년동기 대비 12%가 늘었습니다.
00:50이것은 저희들이 지난해부터 해수욕장 편의용품을 50% 할인하는 정책,
00:56그리고 가성비 높은 제주관광을 만들기 위한 민간협의체를 운영하고,
01:01그리고 제주의 약속이라는 캠페인을 통해서 도민 여러분께, 그리고 관광객 여러분께
01:07제주의 공정한 책임을 다하겠다는 메시지를 내보냈습니다.
01:11그리고 최근에는 6월부터 전국민여행지원금제도라고 해서 15명 이상이 함께 제주에 오시게 되면
01:181인당 3만원씩 지역화폐로 탐나는 전을 지급하는 정책을 폈던 게 주요했던 요인이라고 생각합니다.
01:27관광객이 늘면 그로 인해서 생기는 불편을 줄이는 것도 중요할 텐데요.
01:32제주에서는 어떤 대책 준비하고 있습니까?
01:34우선은 관광객이 많이 늘었을 때 지역주민들이 어려움을 가질 수가 있는데요.
01:42특히 환경기초시설에 대한 증설 작업이 필요합니다.
01:46그래서 하수종말처리장이라든가 쓰레기매립장이라든가 음식물처리시설이라든가
01:51이런 부분들을 보완하는 것을 장기적인 계획을 갖고 추진해서 소화해내고 있다는 말씀을 드리고요.
01:59또 그리고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여행객이 공존해야 된다는 공존의 약속이라는 캠페인을 통해서
02:06이 문제를 해소해 나가고 있습니다.
02:09상가를 운영하시는 분들이나 자영업자분들은 관광객이 절 왔을 때
02:14얼마나 힘든지를 체험했기 때문에 관광객이 오는 것을 반길 수밖에 없는 분위기를 지금 만들어 나가고 있습니다.
02:21그래서 여행자와 지역주민이 함께 공존해서 이런 상황을 같이 함께 극복하자라는
02:27이런 캠페인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말씀드립니다.
02:31네, 제주가 전국 최초로 건강주치의 제도를 조입했는데 이게 어떤 제도입니까?
02:39네, 유럽의 선진국이라든가 미국의 주요 도시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는데요.
02:44만 65세 이상 어르신과 또 만 12세 이상 어린이들에게 주치의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겁니다.
02:52그래서 저희들은 시범사업을 전국에서 제일 먼저 하고 있는데요.
02:566개 음명과 3도 1, 2동 지역에 대해서 19개의 의원이 참여하는,
03:02의사들이 참여하는 건강주치의제를 시작을 했습니다.
03:05만성질환, 그 다음에 건강검진 이런 부분들을 통해서 상담을 통해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03:131차 1호 중심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겁니다.
03:17제주가 제주가치 돌봄이라는 돌봄서비스를 진행해 왔는데요.
03:22이 돌봄과 의료의 서비스가 연계되게 되면
03:26실제 통합돌봄이 이루어지게 되는 그런 지역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03:31네, 그리고 제주에서 RE100 농축산물이 생산되면서 주목을 받았는데요.
03:38재생에너지가 어떻게 적용되는 겁니까?
03:43제주도는 재생에너지 비율이 20%가 됩니다.
03:47전국의 2배 이상의 비율을 갖고 있는데요.
03:51이 재생에너지를 어떻게 하면 앞으로 더 확대할 것인가를 고민하던 끝에
03:55농축산물에 있어서도 재생에너지로 만든 제품을 만들어보자.
04:00그래서 알리백 계란을 먼저 만들었습니다.
04:04작년 말에 출시를 했는데요.
04:07재생에너지를 쓴 전기라는 녹색 프리미엄 요금제라는 게 있습니다.
04:12재생에너지를 썼다는 것을 인증을 받으면 출시를 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04:17그래서 올해는 알리백 우유도 만들었고요.
04:20내년 초에는 알리백 감귤도 출시될 예정입니다.
04:24앞으로 재주 재생에너지를 통해서 재주의 농축산물들이 알리백 제품으로 판매될 수 있도록 더욱 재생에너지 사용을 늘릴 생각입니다.
04:35또 재주는 우주 산업을 미래 전략 산업으로 키우고 있는데 지금까지 성과와 앞으로의 계획 말씀해 주실까요?
04:42재주는 적도 궤도와 가깝기 때문에 지리적으로 좋은 위치라고 합니다.
04:50위성을 쏘아 올리기 적도에서 가장 가까운 곳이고요.
04:53또 적도 궤도에 있는 위성이 재주를 관측할 때 재주가 가까운 데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송수진이 빨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05:02이런 장점을 활용해서 국가위성운영센터가 제주에서 운영되고 있고요.
05:07그리고 최근에는 한화시스템이 제주 하원테크노캠퍼스에 제주 한화우주센터를 준공을 했습니다.
05:14내년 3월부터 발사를 양산체제 시스템을 가져가게 될 것 같고요.
05:19그리고 항공우주청은 제주 하원테크노캠퍼스에 한국형 위성항법 시스템인 KPS지상시스템을 제주에 구축하기로 저희 제주도와 계약을 맺기도 했습니다.
05:31이런 민간우주 분야 같은 경우에는 제주에서 먼저 선도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여건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보여지고요.
05:40한화시스템 이외의 협력업체들도 다수의 기업들이 제주로 이전을 준비하고 있다는 점도 말씀드립니다.
05:48그리고 제주산 축산물이 국내에서 최초로 싱가포르로 수출을 하는 것을 공식적으로 합의하는 성과가 있었는데요.
05:56이번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설명해 주실까요?
05:58네 그렇습니다.
06:01지난 싱가포르 한국 정상회담이 있었는데 그 정상회담의 결과로
06:07제주산 소고기와 돼지고기에 대해서 싱가포르로 수출을 한다는 합의의문을 발표를 했습니다.
06:15저는 그 내용을 보면서 지금까지는 국가 전체 타원의 구제역 인증이 된 곳에서만 수출입이 가능했었는데
06:23지역 단위로 처음으로 제주도가 신청을 했고 농식품부가 싱가포르과 협상을 하면서 구제역 청정 인증을 받게 되면
06:33제주산 수출을 허용하겠다는 입장을 확인한 바가 있습니다.
06:37그래서 세계동물보건기구에 제주도가 지역 단위 차원에서 구제역 청정지역 인증 신청을 했고 지난 5월 말에 구제역 청정지역으로 인증을 받았습니다.
06:49이 결과를 토대로 싱가포르과 검역 협상을 진행을 해왔고요.
06:55저주도의 수출 가공 식품 산업장에 대한 현지 시찰을 통해서 위생 상태를 점검한 결과 적합 판정을 받아서 수출이 가능하게 됐습니다.
07:07그래서 12월 1일부터 수출이 시작되게 되는 성과를 올리게 됐습니다.
07:12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07:14지금까지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였습니다.
07:17감사합니다.
07:19감사합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