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20시간 전


[앵커]
무려 230년 넘게 주고 받던 거스름돈 동전이 사라지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미국에서 1센트가 사라졌습니다.

1센트 동전 만드는데 1센트보다 더 돈이 들어 제작을 중단한 건데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요?
 
세계를 가다, 조아라 뉴욕 특파원이 현장 취재했습니다.

[기자]
미국 1센트 동전, 페니입니다.

232년 전 처음 발행됐고요.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 링컨 대통령을 새긴 '링컨 페니'가 만들어졌고, 이 디자인은 100년 넘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조비가 화폐 가치보다 높고, 실제 사용도 줄면서 정부는 추가 제작을 중단하기로 했습니다.

그 결정 이후, 이곳 뉴욕에서도 변화들이 감지되고 있습니다.

핫도그를 사기 위해 편의점을 찾은 60대 남성 빌 씨.

2달러 58센트짜리 핫도그 1개를 사고 3달러를 지불했지만, 거스름돈은 42센트가 아닌 50센트였습니다.

[현장음]
"잔돈은 42센트 대신 50센트로 드릴게요. 1센트 동전은 더 이상 취급하지 않거든요."

페니 구하기가 어려워질 걸로 예상되면서 일부 미국 편의점 체인들은 1센트 단위 잔돈을 5센트 단위로 '올림'해주고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가게들이 한 손님 당 최소 1~2센트씩 잔돈을 더 내주다 보면 편의점 업계 전체 매출은 하루 125만 달러, 약 18억 원 감소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뉴욕의 일부 식당과 과일 노점상들은 메뉴판과 가격표에서 '99센트'를 지웠습니다.

상점 주인들은 페니 생산 중단이 저가 상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까 우려합니다.

[리치에 / 뉴욕 편의점 사장]
"장기적으로 1센트짜리 같은 초저가 상품들은 새로운 재고가 들어올 때 가격이 대략 0~5센트 단위로 책정될 거에요."

현금을 자주 쓰는 저소득층의 걱정도 커지고 있습니다.

[마리아 /뉴욕 시민]
"슈퍼마켓에 갔는데 1센트 동전이 없다고 하니까 1달러 지폐를 달라고 한 적이 있어요."

뉴욕에서 채널A뉴스 조아라입니다.

영상취재 : 김창종(VJ)
영상편집 : 장세례



조아라 기자 likeit@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지금까지 생생 지구촌이었습니다.
00:30조아라 뉴욕 특파원이 현장 취재했습니다.
01:00핫도그를 사기 위해 편의점을 찾은 60대 남성 빌 씨.
01:052달러 58센트짜리 핫도그 1개를 사고 3달러를 지불했지만 거스름돈은 42센트가 아닌 50센트였습니다.
01:13펜이 구하기가 어려워질 걸로 예상되면서 일부 미국 편의점 체인들은 1센트 단위 잔돈을 5센트 단위로 올림해주고 있습니다.
01:29이런 식으로 가게들이 한 손님당 최소 1, 2센트씩 잔돈을 더 내주다 보면 편의점 업계 전체 매출은 하루 125만 달러, 약 18억 원 감소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01:44뉴욕의 일부 식당과 과일 노점상들은 메뉴판과 가격표에서 99센트를 지웠습니다.
01:50상점 주인들은 펜이 생산 중단이 저가 상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까 우려합니다.
02:15현금을 자주 쓰는 저소득층의 걱정도 커지고 있습니다.
02:20뉴욕에서 채널A 뉴스 조아랍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