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1주 전


도쿄 한복판에서 "쥐에게 물렸다"
쓰레기 더미 사이로 쥐 돌아다녀
도쿄 도심서 쥐 출몰 신고·피해 늘어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최근 보이지 않는 곳에 숨어 지내던 쥐들을 대낮 도심 한복판에서 목격했다는 그런 이야기가 흔하게 들리고 있습니다.
00:10요즘에 어느 때인데 쥐가 도심 한가운데 활보를 하고 다닐까요?
00:14쥐가 심지어 행인을 물어서 부상을 입는 사고까지 일본에서는 발생했습니다.
00:22일본이라고 하면 전 세계에서 도시가 깨끗하기로 유명한 나라 아니겠습니까?
00:48그런데 관광객이 도쿄 시내 한복판에서 쥐한테 발등을 물려서 피가 상당히 많이 났었다고요.
00:57지금 도쿄 망신 아니겠습니까?
00:59그렇습니다.
01:00두바이에서 온 관광객이 도쿄 거리 한복판에서 다리에 쥐가 물었습니다.
01:05쥐에 물린 다리가 풍풍 붓기도 하고
01:08지금 화면에 나오는 저 상태군요.
01:10그렇죠.
01:11굉장히 여행을 망쳤다라는 후기가 나오고 있는데
01:14도쿄에 쥐가 출몰하고 있다고 합니다.
01:17이 거리에 버려진 음식물 쓰레기도 기본적으로 큰 문제거리로 떠오르고 있지만
01:22그보다도 지진이라던가 태풍이라던가 이런 기온의 불안전성 때문에
01:27쥐들이 도심으로까지 출몰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01:32그런데요.
01:33여러분, 시청자 여러분 중에 어? 저거 나도 봤는데 라는 분들 있으실 겁니다.
01:39이 도심에 쥐들이 출몰하는 게요.
01:42일본만의 경우가 아니라고 합니다.
01:45서울 도심에서도 지금 쥐가 출몰했다거나 이를 봤다라는 시민들의 민원들이
01:52급증하고 있다는 겁니다.
01:54저도 역시 길가 하수구에서 올라오는 쥐들 본 적이 있고요.
01:59조금 전에 우리 정치 라이브 했었던 장윤미 변호사도
02:05아니, 집에 화단에 이만한 쥐가 왔다 갔다 한다고
02:09아까 막 소름 돋았다고 이렇게 얘기를 하더라고요.
02:11그러니까 서울도 마찬가지잖아요.
02:13어느 정도 지금 빈도가 늘어난 겁니까?
02:15저도 봤습니다.
02:16아, 그래요?
02:17여기 도심에 꽤 유명한 만둣국집이에요.
02:20도포긴 한데.
02:21그런데 식당의 부엌에서 바닥에서 지나가더라고요.
02:25꽤 큰 쥐가.
02:26그래서 어느 집인지 말씀 못 드리겠는데
02:29그런데 정말 많이 늘어났습니다.
02:312020년도, 2021년도를 한번 비교해 볼게요.
02:342021년도에 1,043건인데
02:372024년도에 2,181건입니다.
02:401,100건이 늘어난 거예요.
02:42어이쿠.
02:43그러니까 그렇게만 비교하면 어마어마한 거죠.
02:454년 만에.
02:46그러니까 일본의 얘만이 아니라
02:50우리나라도 이것을 심각하게 생각을 해야 될 것 같습니다.
02:53네.
02:55일본뿐만이 아니라 우리 서울에서도
02:57지금 쥐 보고 놀란 분들의 목소리
02:59직접 들어보시죠.
03:03작년에는 한 번도 못 봤던 것 같은데
03:05올해 들어 유독 두세 번 정도 길에서 자주 목격되는 것 같아요.
03:09제가 살고 있는 주택가 주변에서도 종종 보고요.
03:13이렇게 천으로 좀 런닝띠러 갈 때도 가끔씩 보고 있어요.
03:17재개발, 재건축이 많아지니까요.
03:19쿵, 진동 뭐 이런 것들 때문에
03:21생식이 원활하지 않고 폐회하는 거죠.
03:24그런 거 아니에요?
03:28자, 쥐.
03:30쥐 싫어하시는 분들은 정말 싫어하시거든요.
03:33기절합니다.
03:34그런데 쥐가 문제가 뭐냐면
03:37전염병으로 옮길 수 있잖아요.
03:39위생상으로 아주 안 좋잖아요.
03:40그렇죠.
03:41단순히 쥐가 출몰해서 무섭다 해서 그칠 것이 아니라
03:44우리가 지금 도심에 출몰하는 쥐가 문제인 건
03:47쥐가 대표적인 감염병을 매개하는 주요 유해동물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03:52설치류에 소변으로 오염된 물이나 지능으로 감염이 되면
03:56렙토스피라증이 발생을 할 수 있는데
03:59발열, 근육통이 있고요.
04:01중증으로 진행이 되면 치명률이 5에서 10%나 되는
04:05폐혈증을 일으킬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04:07정종 도면은 굉장히 치명률이 높은 거예요.
04:09그렇죠.
04:10그리고 설치류에 감염된 바이러스가
04:12인간에게도 옮길 수 있는 신중후군 출혈열
04:15이런 부분들도 매개하고 있어서
04:18도심에 계속 출몰하는 쥐들 때문에
04:20또 새로운 감염병이 등장하지 않을지
04:23좀 주의가 필요합니다.
04:24알겠습니다.
04:26길고양이들 동네에 많은데
04:29고양이들 뭐하고 있나요?
04:30길고양이들이 좀 도와주면 안 될까 싶은 생각이 뜨네요.
04:34길고양이들 동네에 많은가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