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지난 10일 “민주당은 3대(내란·김건희·순직해병) 특검법 개정안에 대한 국민의힘의 수정 요구를 수용한다”고 발표하자마자 강성 지지층에 포위됐다. 딴지일보 게시판 등 강성 지지층이 모인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공작이다. 당장 원내대표직을 사퇴하라”는 글이 봇물 터지듯 쏟아졌다. 뒤이어 당내 강경파 의원들도 “합의가 필요치 않다”(추미애 법제사법위원장)며 비토에 나섰다. 이튿날엔 정청래 대표가 “지도부 뜻과 달라 재협상을 지시했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 등 원내지도부는 순식간에 사면초가 상황에 몰렸다.
결국 14시간 만에 여야 합의가 파기되자 국민의힘 마저도 김 원내대표를 겨눴다.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는 “민주당 원내대표의 존재 가치가 뭔지 잘 모르겠다. 앞으로 민주당은 정청래 대표의 승낙이 있어야 원내대표 간 합의가 이행되는 거냐”고 했다. 김 원내대표는 불과 하루 만에 여당과 야당 양쪽에서 공격받는 처지에 놓였다.
여당 원내대표가 여야 사이에 끼여 수난을 겪는 건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여당 원내대표가 야당을 설득해 예산안·법안을 관철해 성과를 내야만 하는 ‘최전방 협상가’ 자리라서다. 내부에선 “그걸 내주면 어쩌냐”는 불평을, 외부에선 “불통”이란 비난을 감수해야 한다.
윤석열 정부 첫 여당 원내대표였던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도 임기도 순탄하지 않았다. 권 의원은 2022년 4월, 민주당과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중재안에 합의했다가 “‘윤심(尹心)’을 파악하지 못했다”는 당내 반발에 부딪혔다. 결국 권 의원은 의원총회에서 “제 판단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66623?cloc=dailymotion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