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북마크
공유
더보기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경제카메라]‘마스가(MASGA)’에 날개 단 K-조선
채널A News
팔로우
2개월 전
[앵커]
한때 침체의 그늘이 드리웠던 조선업계가 활기를 되찾고 있습니다.
신규 선박 수주가 꾸준히 늘고 있는데다, '마스가'로 대표되는 한미 간 조선 협력이 본격화 되면서 날개까지 달게 됐습니다.
경제카메라 김태우 기자입니다.
[기자]
회색 작업복을 입은 직원들이 출근을 위해 거제 옥포조선소로 줄 지어 들어갑니다.
조선업 세계 1위 중국의 물량공세 속에 침체를 겪었던 때와 비교하면 사뭇 다른 분위기입니다.
울산 조선소는 계약을 따낸 선박들을 건조하느라 모든 작업동이 꽉 찬 상태입니다.
최근 2년간 세계 각국으로부터 신규 선박 발주가 쏟아지면서 조선업은 호황을 누리고 있습니다.
[정희용 / 한화오션 대외홍보팀 선임]
"현재 건조 중인 선박의 약 60%가 고부가가치 선박인 LNG 운반선입니다."
'마스가' 프로젝트로 대표되는 한미 조선협력이 본격화될 경우 또 다른 활력이 더해질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선박 건조 작업을 국내 조선소가 하청 형태로 도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LNG 운반선이 한창 건조되고 있습니다.
선박 블록 조립을 시작해, 완성 단계에 이르면 바다로 띄우는 방식인데요.
미국으로 수출될 선박들도 모두 이 과정을 거쳐 만들어집니다.
일감이 늘고 일당이 오르면서 기술자들의 구직 신청이 몰려들고 있습니다.
[김경습 / 경남 거제시 인력사무소 소장]
"용접 외에도 취부(조립), 사상(표면작업), 도장. 그런 문의도 많이 와요. '지금 거제로 내려가면 조선소에 바로 입사할 수 있느냐'고."
신규 인력 유입으로 침체됐던 인근 상권에도 활기가 돌기 시작했습니다.
[권경화 / 울산 동구 음식점 점주]
"조선업이 지금 수주를 많이 받아서, 단체 손님을 중공업에서 매일같이 예약해 주시고요."
[정상진 / 울산 동구 부동산 중개업자]
"외국인들이 많이 들어오다 보니까 원룸들은 임대 매물 소진이 거의 다 됐고요."
중소 협력업체들도 톡톡히 덕을 보고 있습니다.
[이동옥 / 전남 영암군 선박 조립업체 대표]
"불과 3-4년 전에 비해서 지금은 가동률이 90% 이상 (늘어났기) 때문에."
마스가 프로젝트가 우리 조선업의 미국 진출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풀어야 할 숙제도 적지 않습니다.
[이신형 /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미국한테 공급망을 다시 재건해 줄 테니까, 그 대신 기자재 업체에 우리가 안정적으로 부품을 공급받는 걸 좀 확실하게 해 달라."
세계 조선업 판도가 요동치는 지금, K-조선의 항해에 시선이 쏠립니다.
경제카메라 김태우입니다.
연출 : 박희웅 이유니
구성·영상취재 : 강전호 김용은(스마트리포터)
김태우 기자 burnkim@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한때 침체의 그늘이 드리웠던 조선업계가 활기를 되찾고 있습니다.
00:05
신규 선박수주가 꾸준히 늘고 있는 데다 마스가로 대표되는 한미 간 조선협력이 본격화되면서 날개까지 달게 됐습니다.
00:14
경제카메라 김태우 기자입니다.
00:16
회색 작업복을 입은 직원들이 출근을 위해 거제옥포조선소로 줄지어 들어갑니다.
00:31
조선업 세계 1위, 중국의 물량공세 속에 침체를 겪었던 때와 비교하면 사뭇 다른 분위기입니다.
00:38
울산 조선소는 계약을 따낸 선박들을 건조하느라 모든 작업동이 꽉 찬 상태입니다.
00:43
최근 2년간 세계 각국으로부터 신규 선박 발주가 쏟아지면서 조선업은 호황을 누리고 있습니다.
00:57
마스가 프로젝트로 대표되는 한미 조선협력이 본격화될 경우 또 다른 활력이 더해질 거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01:06
선박 건조 작업을 국내 조선소가 하청 형태로 도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01:10
LNG 운반선이 한창 건조되는 중입니다.
01:14
선체 블록 조립을 시작해 완성 단계에 이르면 바다에 띄우는 방식인데요.
01:19
미국으로 수출된 선박들도 모두 이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집니다.
01:24
일감이 늘고 일당이 오르면서 기술자들의 구직 신청이 몰려들고 있습니다.
01:29
용제 외에도 치부도 있고 사상, 도장 그리고 무늬도 많이 와요.
01:35
지금 그 거제로 내려가면 조선소에 바로 입사를 할 수가 있느냐.
01:40
신규 인력 유입으로 침체됐던 인근 상권에도 활기가 돌기 시작했습니다.
01:45
조선업이 지금 수주를 많이 받아서 단체 손님 중공업에서 매일같이 예약해 주시고.
01:51
외국인들이 많이 돌아다 보니까 원룸들은 임대 매물이 소진이 거의 다 되고.
01:57
중소협력업체들도 톡톡히 덕을 보고 있습니다.
02:00
불과 3, 4년 전문에 비해서 지금은 가동률이 90% 이상 되기 때문에.
02:06
마스가 프로젝트가 우리 조선업에 미국 진출 발판을 마련할 걸로 기대되지만 풀어야 할 숙제도 적지 않습니다.
02:13
미국한테 공급망을 다시 재건해 줄 테니까 그 대신 이 기자재 업체에 우리가 안정적으로 부품을 공급받는 거를 좀 확실하게 해달라.
02:25
세계 조선업 판도가 요동치는 지금.
02:28
K조선의 항해에 시선이 쏠립니다.
02:31
경제카메라 김태우입니다.
02:43
경제카메라 김태우입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
1:39
|
다음 순서
조선업 진출 2년 만에 ‘마스가’ 본격 시동
채널A News
7주 전
1:59
'트럼프 러브콜' 받는 조선업...통상 협의 '지렛대' 될까 / YTN
YTN news
6개월 전
2:40
베일 벗은 미 필리조선소...'LNG 운반선·미 함정' 건조 목표 / YTN
YTN news
3개월 전
3:00
트럼프도 탐내는 '韓 조선업의 힘'...방산 협력 기대 / YTN
YTN news
6개월 전
2:14
완전히 망가진 미국 조선업, 한국과 협력한다고 살아날까? [굿모닝경제] / YTN
YTN news
2개월 전
2:59
통상전쟁 속 '훈풍' 맞은 조선업계...대미 협상 '지렛대' 될까 / YTN
YTN news
6개월 전
2:16
한덕수, 울산 조선소 방문…시민들 “지지합니다”
채널A News
6개월 전
2:00
미 군함 원조받던 한국, 미 선박 만든다
채널A News
2개월 전
1:51
훈풍 맞은 조선업계...대미 '협상 카드'로 주목 / YTN
YTN news
6개월 전
1:17
한국 협상단 "한미 조선협력이 합의에 최대 기여...사실상 우리사업" / YTN
YTN news
3개월 전
2:17
'한미협력 핵심' 마스가 닻 올렸다...원전도 '맞손' / YTN
YTN news
2개월 전
2:08
정부, 미국에 수십조 규모 ‘마스가(MASGA)’ 프로젝트 제안
채널A News
3개월 전
2:05
4만 톤급 美 군수지원함, 우리 기술로 분해 수리
채널A News
1년 전
2:35
'조선업'부터 챙긴 그리어...HD현대·한화오션 만남에 2시간 할애 / YTN
YTN news
5개월 전
1:30
"한국에서 얼른 '美 해군 함정' 만들어달라" 미국의 다급한 요구 [지금이뉴스] / YTN
YTN news
8개월 전
0:29
트럼프 측근, 타결 직전 한화필리조선소 방문...김동관과 협력 논의 / YTN
YTN news
3개월 전
2:07
‘한국 1위 LNG선’ 157조 시장 기회
채널A News
6개월 전
1:19
그동안 중국이 장악했는데...한국 '뜻밖의 이득' [지금이뉴스] / YTN
YTN news
6개월 전
1:51
[자막뉴스] 바다서 중국 몰아낸다?... 미국 조치에 커지는 우려 / YTN
YTN news
6개월 전
2:54
닻 올린 '마스가'…미국 해군력 증강, 한국이 직접 돕는다
중앙일보
2개월 전
2:09
北 수해복구 현장 포착…로프 없이 15층 작업
채널A News
1년 전
0:26
방사청장 "한미 조선협력 막는 규제 해소 방안 미국과 논의 중" / YTN
YTN news
5주 전
1:35
백령도 대형 여객선 도입 차질...직접 건조 방안 추진 / YTN
YTN news
1년 전
2:07
트럼프 "한국 조선 도움 필요해"...콕 집어 언급한 MRO 사업이란? [앵커리포트] / YTN
YTN news
1년 전
1:05
韓 조선 기술력 또 일 냈다...트럼프 '러브콜' 이후 계약 쾌거 [지금이뉴스] / YTN
YTN news
11개월 전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