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유튜브·소셜미디어를 통해 정치권 인사들을 마구잡이로 비난했다는 논란이 불거진 최동석 인사혁신처장이 공식적으로 사과했다. 최동석 처장은 29일 인사혁신처 출입기자들에게 사과문을 배포했다.
 
최동석, 출입기자에게 사과문 배포
최 처장은 “은퇴한 경영학자로서, 나아가 인사조직론 전공자로서 우리 사회와 고위 공직자들의 여러 문제점을 직시해왔고,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비판해왔다”며 “그 과정에서 일부 거친 표현이 심려를 끼칠 수 있었다.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최 처장은 2023년 6월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문재인이나 윤석열이나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같은 부류”라며 “문재인은 기본적으로 무능한 사람”이라고 비난했다.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관련해 “나이가 80이 넘어서 지식이 없다”고 평가했고,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를 “자기 잇속만 챙기는 사람”, 류호정 전 정의당 의원은 “출생신고서 잉크도 마르지 않은 애”라고 깎아내렸다. 반면 이재명 대통령은 ‘예수’에 비유하며 “민족의 커다란 축복”이라고 대조적인 평가를 했다.  
 
“이제는 비판 받아들일 시간”
이 때문에 정치권을 중심으로 최 처장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재명 정부가 인사 검증 시스템을 재건하는 첫걸음은 인사혁신처장부터 제대로 다시 임명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백승...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5226?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인사혁신처장 최종성입니다. 요새 유명해지고 있어서 대단히 죄송스럽습니다.
00:05이런 마이크로한 제재, 마이크로한 규정들을 만들어서 산재를 예방하고 중대재해를 예방하는 방식은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00:15제가 보기에는. 그런데 그것이 필요하지만 그것으로 충분하지 않다는 생각을 늘 가지고 있습니다.
00:23뭘 해야 되냐면 인간의 존엄성은 건드릴 수 없다는 이 철학적 배경이 없이는 이 규정만 가지고는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생각입니다.
00:40왜 그러냐 하면.
00:41네. 그건 충분히 이해하겠고요.
00:43좀 결론만 요지를 말씀해 보시죠.
00:46그것도 필요해서 누구나 공감할 테니까요.
00:47그러니까 정신과 육체를 건드릴 수 없도록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겁니다.
00:53그러니까 행정 공무원들에 대한 교육도 필요하고 실제로 우리 학교 교육도 그런 식으로 해야 되는데
01:00서로 서열화하고 계급화하고 차별하고 경쟁시키는 사회 속에서
01:06이런 규정만으로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01:12네.
01:13나 또.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