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관세 인하를 조건으로 일본에서 5500억 달러(약 760조 원) 규모의 투자펀드 조성 합의를 끌어낸 미국이 한국에도 비슷한 요구를 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이날 소식통을 인용해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관세 협상에 앞서) 한국에 4000억 달러(약 548조원)규모의 투자펀드 조성을 제안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러트닉 미 장관은 일본에 40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펀드 구성을 제안했다. 25% 관세를 15%로 내리는 조건으로 미국 보잉사 항공기 구매, 미국산 농산물과 자동차, 트럭 등의 진입 장벽 완화 등을 제시한 것에 이같은 조건을 추가한 것이다. 투자펀드 규모는 협상 과정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최종 재가를 거치며 5500억 달러(약 753조원) 규모로 대폭 늘어났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2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일본의 무역 협상 총괄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정·재생상과 만나 4000억 달러의 대미투자액이 적혀있던 패널에서 ‘4’로 인쇄돼 있던 부분을 필기구로 선을 그어 지운 다음, ‘5’라고 적었다. 한 순간에 4000억 달러가 5000억 달러가 된 것인데, 최종 발표 단계에서 500억 달러(약 68조원) 더 늘어난 5500억 달러로 확정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23일엔 “일부 국가에 대해서는 매우 간단히 관세를 적용할 것”이라며 “15%에서 50% 사이의 단순한 관세를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상호관세율의 하한선을 사실상 15%로 설정했음을 시사한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블룸버그는 “미국은 일본과 마찬가지로 한국과의 (관세) 협상에...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3944?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2일 일본과 무역 협상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00:08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일본에 대한 상호관세는 15%라고 설명했다.
00:13이는 미국이 기존에 예고했던 25%에서 10%포인트 낮아진 수준이다.
00:19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트루스 소셜을 통해 일본과 대규모 거래를 방금 완료했다며,
00:25아마도 지금까지 이뤄진 가장 큰 거래일 것이라고 말했다.
00:28그러면서 일본은 미국에 5,500억 달러를 투자할 것이며,
00:33이 중 90%의 수익을 미국이 받게 될 것이라면서 이를 통해 수십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밝혔다.
00:40트럼프 대통령은 가장 중요한 것은 일본이 자동차와 트럭, 쌀과 특정 농산물 및 기타 것들을 포함한 무역의 자국을 개방한다는 것이라며,
00:50일본은 미국의 상호관세 15%를 지불할 것이라고 했다.
00:54이어 일본과 훌륭한 관계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01:00일본 언론 NHK에 따르면 자동차 관세는 25%에서 절반인 12.5%로 하향 조정하기로 했다.
01:08일본 정부 관계자는 일본이 초점을 맞춰온 자동차 관세와 관련해,
01:12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관세를 절반으로 낮추고,
01:16이전부터 적용돼 왔던 2.5%를 합친 15%에 합의했다고 NHK에 전했다.
01:21이시바 시계로 일본 총리는 이날 총리 관저에서 기자들과 만나 관세 합의와 관련해,
01:27아카자와 요세이 경제재생상에게 연락받았다며, 내용은 앞으로도 보고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01:33그는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과 관련해선 필요에 따라 전화통화 혹은 대면 회담을 할 것이라며,
01:39향후 합의 내용을 정밀하게 파악한 이후 대응하겠다고 설명했다.
01:44이시바 총리는 2월부터 국익을 걸고 전력으로 협상해 왔다며,
01:48일본과 미국이 힘을 합쳐 고용을 창출하고 좋은 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통해,
01:53세계에서 여러 역할을 다하는 데 이바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