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인하를 조건으로 일본에서 5500억 달러(약 760조 원) 규모의 투자펀드 조성 합의를 끌어낸 미국이 한국에도 비슷한 요구를 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이날 소식통을 인용해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관세 협상에 앞서) 한국에 4000억 달러(약 548조원)규모의 투자펀드 조성을 제안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러트닉 미 장관은 일본에 40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펀드 구성을 제안했다. 25% 관세를 15%로 내리는 조건으로 미국 보잉사 항공기 구매, 미국산 농산물과 자동차, 트럭 등의 진입 장벽 완화 등을 제시한 것에 이같은 조건을 추가한 것이다. 투자펀드 규모는 협상 과정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최종 재가를 거치며 5500억 달러(약 753조원) 규모로 대폭 늘어났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2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일본의 무역 협상 총괄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정·재생상과 만나 4000억 달러의 대미투자액이 적혀있던 패널에서 ‘4’로 인쇄돼 있던 부분을 필기구로 선을 그어 지운 다음, ‘5’라고 적었다. 한 순간에 4000억 달러가 5000억 달러가 된 것인데, 최종 발표 단계에서 500억 달러(약 68조원) 더 늘어난 5500억 달러로 확정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23일엔 “일부 국가에 대해서는 매우 간단히 관세를 적용할 것”이라며 “15%에서 50% 사이의 단순한 관세를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상호관세율의 하한선을 사실상 15%로 설정했음을 시사한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블룸버그는 “미국은 일본과 마찬가지로 한국과의 (관세) 협상에...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3944?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