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푸터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북마크
공유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현장 카메라]뱃삯 1500원 ‘관광객 급증’…고둥 싹쓸이 ‘몸살’
채널A News
팔로우
2025. 6. 12.
[앵커]
올해부터 인천시민은 1500원만 내면 여객선을 탈 수 있게 됐습니다.
인천시가 섬 관광을 활성화하겠다며 도입한 정책인데요.
여객선이 만석일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지만, 정작 섬 주민들은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고동이며 쑥이며 보이는대로 쓸어가기 때문인데요.
현장 카메라 서창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여객터미널 앞에 섬에 들어가려는 차량이 꼬리를 물고 늘어섰습니다.
[주차 안내 요원]
"한 바퀴 돌아서 이쪽으로 (배로) 올라가는 거예요. 1시간에서 1시간 반이면 들어간다고."
매표소도 발 디딜 틈이 없습니다.
올해부터 인천시민은 1500원 만 내면 배를 탈 수 있어, 섬 관광객은 지난해 보다 23% 늘었습니다.
밀려드는 관광객에 섬 주민도 배를 타려면 표사기 경쟁을 해야 합니다.
[정연희/ 장봉도 주민]
"관광객들하고 같이 줄을 서 가지고 차도 마찬가지로 우리야말로 먹고 살기 위해서 다녀야 하는 입장인데…"
더 큰 문제는 따로 있었습니다.
제 뒤로 보이는 갯벌, 주민이 관리하는 어장인데요.
이렇게 표지판 안내처럼 관광객은 주민 허락 없이 어패류를 캘 수 없습니다.
한번 지켜보겠습니다.
여러 명이 무언가를 줍고 있습니다.
[현장음]
"누구 줄려고 그래요? 잡기만 해."
가까이 가 봤더니, 고둥과 게입니다.
[현장음]
"딱 지금 먹을 철이에요. 볶으면 맛있어요."
바위 틈을 뒤지길 10여 분째, 빈 봉지가 꽉 찼습니다.
[현장음]
"많이 잡았어요."
주민이 말려도 아랑곳 않습니다.
[현장음]
"어촌계 관할이라 채취하시면 안 돼요. (알겠어요.)"
곧 제철인 바지락을 캔 흔적도 선명합니다.
안내 방송조차 무용지물입니다.
[현장음]
"면허 어장에는 절대 들어가지 마시기 바랍니다."
[현경숙/ 장봉도 주민]
"단속을 하느라고 나와서 있고 했는데도 (관광객들은) 말을 안 들어요. 연장 그런 거 다 싣고 와 갖고 저렇게 한다니까요."
임산물 불법 채취도 골칫거리입니다.
[임산물 채취 관광객]
"(어디서 따신 거예요?) 그냥 뜯었는데 반 이상은 가짜 쑥이에요. 전자 쑥찜기에다 넣으려고요."
낚시를 하거나 차박을 하다 버린 쓰레기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관광객]
"(쓰레기 주인은) 조금 전에 나간 사람이에요. 텐트 치고 있다가."
[장봉도 주민 가족]
"거기 와서 소비를 하는 게 아니라 다 싸가지고 가서 쓰레기만 버리고 오는 거야."
관광 활성화 뿐만 아니라 주민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단 지적입니다.
현장카메라 서창우입니다.
PD: 윤순용
AD: 최승령
작가: 송우진
서창우 기자 realbro@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올해부터 인천시민은 1,500원만 내면 여객선을 탈 수 있게 됐습니다.
00:05
인천시가 섬 관광을 활성화하겠다며 도입한 정책인데요.
00:10
여객선이 만석일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지만 정작 섬 주민들은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00:17
고동이며 쑥이며 보이는 대로 쓸어가기 때문인데요.
00:20
현장 카메라 서창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00:22
여객터미널 앞에 섬에 들어가려는 차량이 꼬리를 물고 늘어섰습니다.
00:34
매표소도 발 디딜 틈이 없습니다.
00:37
올해부터 인천시민은 1,500원만 내면 배를 탈 수 있어 섬 관광객은 지난해보다 23% 늘었습니다.
00:45
밀려드는 관광객에 섬 주민도 배를 타려면 표사기 경쟁을 해야 합니다.
00:52
줄을 서서 차도 마찬가지로 우리야말로 먹고 살고를 위해서 다녀야 하는 입장인데.
01:00
더 큰 문제는 따로 있었습니다.
01:02
제 뒤로 보이는 갯벌 주민이 관리하는 어장입니다.
01:06
이렇게 표지판 안내처럼 관광객은 주민 허락 없이 어패류를 캘 수 없는데요.
01:12
한번 지켜보겠습니다.
01:14
여러 명이 무언가를 줍고 있습니다.
01:15
누구 짓나 그래요?
01:17
잡기만 해.
01:19
가까이 가봤더니 고둥과 갭니다.
01:20
바위 틈을 뒤쥐길 10여 분째 빈 봉지가 꽉 찼습니다.
01:30
주민이 말려도 아랑곳 안습니다.
01:37
곧 제철인 바지락을 캔 흔적도 선명합니다.
01:42
안내방송조차 무용지물입니다.
01:44
연합송조차 무용지물이 절대 들어가시니 마시기 바랍니다.
01:50
단속을 하느라고 나와서 있고 했는데도 말을 안 들어요.
01:53
그리고 위안장 가는 거 다 싣고 와서 저렇게 한다니까요.
01:57
임산물 불법 채취도 골칫거립니다.
01:59
어디서 따신 거예요?
02:01
이런 데서 뜯었는데 뜯고 와서 보니까 바위상을 갖자.
02:05
전자 수핑 기능을 하고요.
02:07
낚시를 하거나 차박을 하다 버린 쓰레기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02:13
조금 전에 나간 사람들이 다 탈퇴 치고 있다가.
02:17
거기 와서 소비를 하는 게 아니라 다 싸가지고 와서 쓰레기를 버리고 오는 거야.
02:23
관광 활성화뿐만 아니라 주민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02:29
현장 카메라 서창우입니다.
02:31
한글자막 제공 및 자막 제공 및 자막 제공 및 자막 제공 및 자막 제공 및 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추천
2:46
|
다음 순서
[현장 카메라]마지막 관람?…청와대 관광객 북새통
채널A News
2025. 4. 21.
2:49
[다시 간다]북촌한옥마을 저녁 통행 제한 석 달째…관광객들 여전히 ‘찰칵’
채널A News
2025. 2. 18.
2:58
[현장 카메라]지붕 올라가 ‘찰칵’…오버투어리즘 몸살
채널A News
2025. 3. 13.
1:54
북촌한옥마을 오후 5시 이후 ‘출입금지’
채널A News
2024. 11. 1.
2:15
피할 곳이 없다…“피서지도 뜨거워요”
채널A News
2025. 7. 28.
2:14
타이어에 깨진 수박까지…극한 폭우 쓰레기섬 ‘몸살’
채널A News
2025. 7. 22.
1:46
제방 무너져 마을 고립…비닐하우스 지붕만 둥둥
채널A News
2025. 7. 17.
2:45
[현장 카메라]밤마다 낫 들고 쓰레기 파헤치는 이유?
채널A News
2025. 7. 3.
2:46
[현장 카메라]밤낮 없는 굿판에 멍드는 왕릉
채널A News
2024. 2. 5.
2:10
“굿바이 청와대”…마지막 관람 ‘북새통’
채널A News
2025. 7. 31.
3:16
[현장 카메라]관저 주변 밤샘집회에…소음·쓰레기·교통체증 ‘3중고’
채널A News
2025. 1. 6.
3:09
[현장 카메라]억대 시계부터 뱀까지…공항 세관창고 열어보니
채널A News
4일 전
3:25
[현장 카메라]“국민 피 빨아먹나”…뻔뻔한 부정승차 현장
채널A News
2025. 8. 13.
3:36
'방사능 괴담'에 대목 사라진 강화도..."한 철 장사 망쳤다" / YTN
YTN news
2025. 8. 16.
1:49
[돌직구 강력반]쏟아지는 흙탕물 뚫고…이웃·손님 구조한 시민들
채널A News
2025. 7. 23.
2:14
달갑잖은 ‘바다의 쌀’ 풍년…폐사 정어리 5톤 수거
채널A News
2024. 10. 26.
2:12
“불꽃놀이 보자”…‘민폐족’ 북적
채널A News
2024. 10. 4.
2:07
차선·아파트 복도 점령…또 등장한 불꽃축제 얌체족
채널A News
2024. 10. 6.
2:37
[현장 카메라]해외공연 사진 50만 원…연예인 출입국도 산업
채널A News
2025. 5. 22.
2:21
솟구치는 빗물에 맨홀 뚜껑 날아가
채널A News
2025. 8. 4.
2:17
산불 피해 주민들, 중장비 끌고 산청으로…자원봉사 구슬땀
채널A News
2025. 7. 23.
2:08
얼음 위 손맛 ‘짜릿’…화천 산천어축제 10만 인파
채널A News
2025. 1. 11.
2:04
쏟아지는 흙탕물 뚫고…산사태 피해 속 목숨 건 구조
채널A News
2025. 7. 22.
2:15
소 '둥둥'…댐·제방 뚫린 충청권 폭우피해 급증
연합뉴스TV
2023. 7. 16.
2:10
인천공항, 특혜 논란에 ‘연예인 출입문’ 시행 하루 전 철회
채널A News
2024. 10.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