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5. 29.


[앵커]
아는기자 시작합니다. 정치부 이세진 기자 나와있습니다.

Q1. 사전투표 첫날 투표율이 역대 최대에요. 어떻게 봐야 합니까?

첫 날 나섰다는 건, 그만큼 유권자들이 적극적으로 의사를 표시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최근 대선들과 비교해보면 19대 대선 1일 차 사전투표율은 11.7%, 20대 대선 1일차 17.57%이었으니까, 이번에 19.58%, 가장 높죠.

Q2. 첫날 투표율이 높은 것, 누구에게 유리한가요?

민주당과 국민의힘 모두 자신들에게 유리하다는데, 이유를 한 번 들어보시죠.

민주당은 내심 걱정했다고 합니다.

평일이라 지지층이 많은 40, 50대 직장인들이 못 나올까봐요.

그런데 첫날부터 투표장에 적극적으로 뛰어나오는 것, 바로 계엄에 대한 분노, 내란종식에 대한 열망을 보여주는 증표라는 겁니다.

또 하나 오늘 수치를 잘 보면, 민주당이 기대했던 보수진영의 투표 포기가 보인다고 합니다.

Q3-1. 그건 어떻게 알 수 있죠?

대구 경북 TK의 사전투표율 보라는 겁니다. 

대구 지역 사전 투표율이 거의 가장 저조한 부분을 눈여겨보고 있습니다. 

그에 반해 투표율이 높았던 호남, 자신들은 결집했지만, 보수는 결집이 안됐다는 것이죠.

Q4. 국민의힘도 유리하다고 했다면서요?

국민의힘도 보수가 투표를 포기할까 걱정했었는데요.

그렇지 않다는 겁니다.

민주당은 지역 투표율을 봤지만, 국민의힘은 시간대별 투표율에 주목했습니다.

투표가 직장인이 많이 투표하는 점심시간 대보다, 투표가 땡하고 시작한 새벽 6시부터 아침 일찍부터 높았다는 겁니다.

고령층이 투표장으로 나왔고, 이건 민주당 독식에 위기감을 느끼고 보수층이 뭉친 거라고요.

실제 이런 움직임을 지역별 투표장 사진으로 확인했다고 합니다.

첫 날 투표율이 높은 것도 고무된 분위기입니다. 남은 투표에도 긍정적이라고요.

Q4-2. 남은 투표에 긍정적 신호요?

국민의힘은 2007년 이명박 대통령 승리할 때 당시 여당처럼 지지층이 투표장에 안 나올까봐 걱정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 승리했던 대선에서 투표율은 63%로 상당히 저조했거든요.

어차피 질 거란 패배의식 때문에 당시 여당 지지층이 투표를 포기한 거죠.

그런데 첫 날부터 높은 투표율, 투표장 안나가려던 보수층이 투표장으로 나왔고, 앞으로도 그럴 수 있다는 기대를 보이는 겁니다.

Q5. 각자의 해석이고 결과는 뚜꺼을 까 봐야 알 텐데, 남은 투표에서 뭐가 중요할까요.

양당 모두 TK, 대구경북 투표율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첫 날 사전투표율은 낮지만, 본투표까지 모두 치러졌을 때, TK 지역이 얼마나 결집하냐가 중요하다는 겁니다.

호남은 이미 결집을 보여줬으니까요.

민주당에선 "오늘 투표율 보고 TK가 결집하는 반작용이 있을 수 있다"면서 경계하고 있고요, 국민의힘에선 "TK는 원래 다른 지역보다 본투표율이 높다"면서 끝까지 투표율 끌어올리겠다 각오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Q6. 높은 사전투표율이 전체 투표율까지 이어질까요?

그것도 주목해봐야 하는데요.

사전투표율이 높다고 전체 투표율이 높아진다고 장담할 순 없습니다.

점점 어디서나 투표할 수 있어 편하다보니, 사전투표율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거든요.

본투표율은 낮아질 수도 있죠.

게다가 지난 대선 사전 투표는 금요일과 토요일 진행했던 반면 이번 대선은 사전 투표 목금 모두 평일입니다.

보통 토요일 투표율이 더 높아서 내일 투표율까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였습니다.


이세진 기자 jinlee@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자, 아는 기자 정치부 이세진 기자 나와 있습니다.
00:05사전투표 첫날 투표율이 역대 최고로 높다.
00:09이거 어떻게 봐야 되는 겁니까?
00:10네, 첫날 투표에 나섰다는 건요.
00:12그만큼 유권자들이 적극적으로 의사를 표시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00:17최근 대선들과 비교해보면 19대 대선 1일차 사전투표율은 11.7%,
00:2220대 대선 1일차가 17.57%였으니까요.
00:27이번에 19.58%로 가장 높았죠.
00:31첫날 투표율이 높다.
00:33자, 이건 누구에게 유리한 신호예요?
00:35민주당과 국민의힘 모두요.
00:37자신들에게 다 유리하다는데 그 이유를 한번 들어봤습니다.
00:42민주당은 내심 걱정했다고 합니다.
00:44평일이라서요.
00:45지지층이 많은 40대, 50대 직장인들이 못 나올까 봐요.
00:49그런데 첫날부터 적극적으로 투표장에 뛰어나오는 것.
00:52바로 계엄에 대한 분노, 내란 종식에 대한 열망을 보여주는 증표라는 겁니다.
00:59또 하나 오늘 수치를 잘 보면요.
01:01민주당이 기대했던 보수 진영의 투표 포기가 보인다고 합니다.
01:05그건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01:07대구, 경북 TK의 사전투표율을 보라는 겁니다.
01:10대구 지역 사전투표율이 거의 가장 저조한 부분을 눈여겨보고 있습니다.
01:15그 해 반해 투표율이 높았던 호남, 자신들은 결집을 했지만 보수는 결집이 안 됐다라는 것이죠.
01:22그런데 아까 이세진 기자가 국민의힘도 본인들에게 유리하다고 했다면서요.
01:26네, 국민의힘도요.
01:27보수가 투표를 포기할까라고 걱정을 했었는데요.
01:30그렇지는 않다라는 겁니다.
01:32민주당은 지역 투표율을 받지만 국민의힘은 시간대별 투표율에 주목을 했습니다.
01:37투표가 직장인이 많이 투표하는 점심시간 때보다요.
01:41투표가 땡 하고 시작한 새벽 6시부터, 그러니까 아침 일찍부터 투표율이 높았다라는 겁니다.
01:48고령층이 투표장으로 많이 나왔고, 이건 민주당 독식의 위기감을 느끼고 보수층이 뭉친 거라고요.
01:55실제 이런 움직임을 지역별 투표장 사진을 보면서도 확인을 했다고 합니다.
02:00첫날 투표율이 높은 것에도 고무된 분위기인데요.
02:03남은 투표에도 긍정적일 거라고요.
02:05자, 남은 투표에 긍정적인 신호라는 그 또 근거는 뭘까요?
02:09네, 국민의힘은요. 2007년 이명박 전 대통령이 대선에서 승리할 때의 당시 여당처럼요.
02:15지지층이 투표장에 안 나올까 봐 걱정했습니다.
02:19그때 당시 대선에서 투표율은 63%로 상당히 저조했거든요.
02:24어차피 질 거다라는 패배 의식 때문에 당시 여당 지지층이 투표를 포기했던 거죠.
02:30그런데 첫날부터 높은 투표율, 투표장 안 나가려던 보수층이 투표장으로 나왔고,
02:35앞으로도 그럴 수 있다라는 기대를 보이는 겁니다.
02:39진짜 해석이 각각이네요.
02:41자, 그러면 남은 투표율, 이틀 남은 거예요, 아직?
02:43사전투표 둘째 날, 그리고 본투표, 뭘 지켜보고 있습니까?
02:48양당 모두 TK, 대구, 경북 투표율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02:52첫날 사전투표율은 낮지만 본투표까지 모두 치러졌을 때 TK 지역이 얼마나 결집하느냐가 중요하다는 겁니다.
02:59호남은 이미 결집을 오늘 보여줬으니까요.
03:02민주당에선 오늘 투표율 보고 TK가 결집하는 반작용이 있을 수 있다라면서 경계하고 있고요.
03:09국민의힘에선 TK는 원래 다른 지역보다 본투표율이 높다면서 끝까지 투표율 끌어올리겠다 각오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03:17저는 그게 궁금하던데, 어쨌건 첫날 투표율이 이렇게 높았어요.
03:20그러면 정말 이제 전체 투표율도 다 높아지는 거예요?
03:23그것도 주목해야 할 것 같은데요.
03:25사전투표율이 높다고, 전체 투표율이 높아진다고 장담할 수는 없습니다.
03:31점점 어디서나 투표할 수 있어서 사전투표가 편하다 보니 사전투표율 비중 자체가 높아지는 추세거든요.
03:37그래서 본투표율은 오히려 낮아질 수도 있고요.
03:40게다가 지난 대선 사전투표는 금요일과 토요일 진행했던 반면,
03:45이번 대선은 사전투표가 목금, 모두 평일입니다.
03:49보통 토요일 투표율이 더 높아서 내일 투표율까지를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03:54잘 들었습니다. 아는 기자, 이세진 기자였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