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새벽배송 금지 여부를 논의할 택배 사회적 대화기구 3차 회의를 하루 앞두고, 새벽배송 금지를 반대하는 국민 청원이 2만5천명을 넘었습니다.

2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자신을 `워킹맘`이라고 소개한 한 청원인의 `새벽배송 금지 반대` 청원은 이날 오후 1시30분 기준 동의 2만5천100명을 돌파했습니다.

청원인은 "맞벌이 가정에서는 늦은 밤 준비물이나 생필품을 사는 것이 새벽배송 덕분"이라며 "국회·정부가 특정 단체의 주장만 듣지 말고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호소했습니다.

다음 달 13일까지 5만명 동의를 얻으면 국회 소관 상임위에 자동 회부됩니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새벽배송은 육아와 일을 병행하는 워킹맘부터 아침마다 식재료를 공수받는 소상공인까지 2천만명 이상의 일상에 자리 잡았다"며 "이제는 지하철이나 버스처럼 생활 인프라가 된 만큼 금지에 대한 반대 여론도 크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소비자들의 편리함의 다른 측면에서 새벽배송은 과로사 논란을 낳았습니다.

택배 노동자들은 "속도보다 생명"을 강조하면서 새벽배송 최소화와 과로사 문제 해결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최근 새벽배송과 관련한 심야 노동에 대해 "국제암센터가 2급 발암물질로 규정할 정도로 해로운데 (새벽배송이) 이를 감내해야만 할 정도의 서비스인지가 공론화돼야 한다"며 "만약 유지돼야 할 서비스라고 한다면 이를 감내해야 할 노동자들을 어떻게 보호할지, 그 논의가 이어져야 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업계 다른 관계자는 "플랫폼형 배송은 기존 택배 구조와 근본적으로 다르다"며 "과거 택배 체계만 놓고 논의하면 현장의 현실을 반영하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일각에서는 새벽배송 서비스를 전면적으로 제한하기보다는 서비스를 유지하면서도 택배기사의 건강권을 보장할 수 있는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오디오ㅣAI앵커
제작ㅣ이 선

#지금이뉴스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1128075317634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새벽 배송 금지 여부를 논의할 택배사회적대화기구 3차 회의를 하루 앞두고 새벽 배송 금지를 반대하는 국민 청원이 2만 5천 명을 넘었습니다.
00:092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자신을 워킹맘이라고 소개한 한 청원인의 새벽 배송 금지 반대 청원은 이날 오후 1시 30분 기준 동의 2만 5천 100명을 돌파했습니다.
00:20청원인은 맞벌이 가정에서는 늦은 밤 준비물이나 생필품을 사는 것이 새벽 배송 덕분이라며 국회 정부가 특정 단체의 주장만 듣지 말고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호소했습니다.
00:34다음 달 13일까지 5만 명 동의를 얻으면 국회 소관 상임위에 자동 회부됩니다.
00:39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새벽 배송은 육아와 일을 병행하는 워킹맘부터 아침마다 식재료를 공수받는 소상공인까지 2천만 명 이상의 일상에 자리 잡았다며 이제는 지하철이나 버스처럼 생활 인프라가 된 만큼 금지에 대한 반대 여론도 크다고 말했습니다.
00:56그러나 소비자들의 편리함에 다른 측면에서 새벽 배송은 과로사 논란을 낳았습니다.
01:02핵배 노동자들은 속도보다 생명을 강조하면서 새벽 배송 최소화와 과로사 문제 해결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01:09김용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최근 새벽 배송과 관련한 심야 노동에 대해 국제암센터가 2급 발암물질로 규정할 정도로 해로운데 새벽 배송이 이를 감내해야만 할 정도의 서비스인지가 공론화되어야 한다며
01:22만약 유지되어야 할 서비스라고 한다면 이를 감내해야 할 노동자들을 어떻게 보호할지 그 논의가 이어져야 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01:30업계 다른 관계자는 플랫폼형 배송은 기존 택배 구조와 근본적으로 다르다며 과거 택배 체계만 놓고 논의하면 현장의 현실을 반영하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01:41일각에서는 새벽 배송 서비스를 전면적으로 제한하기보다는 서비스를 유지하면서도 택배기사의 건강권을 보장할 수 있는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