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시간 전
- #2424
■ 진행 : 조태현 앵커
■ 출연 :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본부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또 동결했습니다. 경기 상황이 여전히 좋지 않은데도, 환율과부동산에 발목을 잡혔습니다. 인하 기조가 아예 끝났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본부장과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부장님, 어서 오십시오. 이제 금리 이야기는 잠시 뒤에 해보도록 하고요. 어제 발표한 경제 전망, 이걸 보면 올해 성장률, 이걸 1%로 전망을 했고 내년에는 1.8%, 그러니까 조금씩 상향 조정을 했거든요. 이 배경은 뭐라고 봐야 됩니까?
[주원]
3분기 우리 경제성장률이 생각보다 좋게 나왔고 그 전반적인 원인은 소비쿠폰 효과였거든요. 그래서 추경 30조를 포함해서 소비쿠폰까지 포함했을 때 한국은행이 추경의 효과를 과소평가했던 것 같아요. 그래서 그 부분이 소비를 3분기에 많이 늘렸고 연간으로 보면 많이 올라가는 모양새. 그래서 1.0%로 상향 조정을 했고요. 그렇다 보니까 전반적인 내수가 바닥을 치고 올라가면 내년까지도 이어지면 내년 경제성장률도 같이 따라올라가는 그런 전망을 보였습니다.
1.8%로 내년을 전망을 했다, 말씀을 드렸는데 이 1.8%라는 수준을 우리가 어떻게 이해해야 됩니까?
[주원]
지금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이 그 정도 수준이거든요. 잠재성장률이라면 어렵게 설명 안 드리고 그냥 몇 년간 평균적인 경제 상황일 때 그 정도니까 평균적인 경제성장률로 가는 거니까 경제가 괜찮겠네라고 생각들을 할 수 있는데 그건 올해 1%로 올렸지만 1%가 역대 한 다섯 번째, 여섯 번째로 낮은 성장률이에요. 워낙 낮다 보니까 올라가는 힘이 있거든요. 그러면 실제로 숫자로는 1.8이지만 실제로는 평균적인 경제 상황보다는 아래쪽에 있다, 내년에도. 그렇게 보시면 됩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1년 전과 비교를 하기 때문에 더 오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는 그게 아닐 수도 있다, 기저효과가 있다, 이런 말씀이신 거죠? 알겠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상황이라면 금리를 인하해서 경기에 도움을 줄 필요는 있을 것 같은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기준금리를 또 한 번 동결했습니다. 연 2.5% 그대로 유지를 했...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1128065131456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 출연 :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본부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또 동결했습니다. 경기 상황이 여전히 좋지 않은데도, 환율과부동산에 발목을 잡혔습니다. 인하 기조가 아예 끝났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본부장과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부장님, 어서 오십시오. 이제 금리 이야기는 잠시 뒤에 해보도록 하고요. 어제 발표한 경제 전망, 이걸 보면 올해 성장률, 이걸 1%로 전망을 했고 내년에는 1.8%, 그러니까 조금씩 상향 조정을 했거든요. 이 배경은 뭐라고 봐야 됩니까?
[주원]
3분기 우리 경제성장률이 생각보다 좋게 나왔고 그 전반적인 원인은 소비쿠폰 효과였거든요. 그래서 추경 30조를 포함해서 소비쿠폰까지 포함했을 때 한국은행이 추경의 효과를 과소평가했던 것 같아요. 그래서 그 부분이 소비를 3분기에 많이 늘렸고 연간으로 보면 많이 올라가는 모양새. 그래서 1.0%로 상향 조정을 했고요. 그렇다 보니까 전반적인 내수가 바닥을 치고 올라가면 내년까지도 이어지면 내년 경제성장률도 같이 따라올라가는 그런 전망을 보였습니다.
1.8%로 내년을 전망을 했다, 말씀을 드렸는데 이 1.8%라는 수준을 우리가 어떻게 이해해야 됩니까?
[주원]
지금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이 그 정도 수준이거든요. 잠재성장률이라면 어렵게 설명 안 드리고 그냥 몇 년간 평균적인 경제 상황일 때 그 정도니까 평균적인 경제성장률로 가는 거니까 경제가 괜찮겠네라고 생각들을 할 수 있는데 그건 올해 1%로 올렸지만 1%가 역대 한 다섯 번째, 여섯 번째로 낮은 성장률이에요. 워낙 낮다 보니까 올라가는 힘이 있거든요. 그러면 실제로 숫자로는 1.8이지만 실제로는 평균적인 경제 상황보다는 아래쪽에 있다, 내년에도. 그렇게 보시면 됩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1년 전과 비교를 하기 때문에 더 오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는 그게 아닐 수도 있다, 기저효과가 있다, 이런 말씀이신 거죠? 알겠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상황이라면 금리를 인하해서 경기에 도움을 줄 필요는 있을 것 같은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기준금리를 또 한 번 동결했습니다. 연 2.5% 그대로 유지를 했...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1128065131456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또 한 번 동결했습니다.
00:03경기 상황이 여전히 좋지 않은데도 환율과 부동산에 발목을 잡혔습니다.
00:08인하 기조가 아예 끝났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00:11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본부장과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0:16본부장님, 어서 오십시오.
00:17네, 안녕하십니까.
00:18자, 이제 금리 이야기는 잠시 뒤에 해보도록 하고요.
00:21어제 발표한 경제 전망, 이걸 보면요.
00:24올해의 성장률, 이거를 1%로 전망을 했고요.
00:27내년에는 1.8%, 그러니까 조금씩 상향 조정을 했거든요.
00:33이 배경은 뭘로 봐야 됩니까?
00:343분기에 우리 경제 성장률이 생각보다 상당히 좋게 나왔고
00:38그 전반적인 원인은 소비 쿠폰 효과였거든요.
00:43그래서 추경 우리 30조를 포함해서 소비 쿠폰까지 포함했을 때
00:47한국은행이 추경의 효과를 과소평가했던 것 같아요.
00:52그래서 그 부분이 소비를 3분기에 많이 늘렸고
00:55연간으로 보면 많이 좀 올라가는 모양새.
00:57그래서 1.0%로 상향 조정을 했고요.
01:00그렇다 보니까 전반적인 내수가 바닥을 치고 올라가면
01:04내년까지도 이어지면 내년 경제 성장률도 같이 좀 따라 올라가는
01:09그런 전망을 보였습니다.
01:111.8%로 내년을 전망을 했다, 말씀을 드렸는데
01:14이 1.8%라는 수준을 우리가 어떻게 이해해야 됩니까?
01:18지금 우리나라의 잠재 성장률이 그 정도 수준이거든요.
01:22잠재 성장률이라면 어렵게 설명 안 드리고
01:24그냥 몇 년간 평균적인 경제 상황일 때 그 정도니까
01:29평균적인 경제 성장률로 가는 거니까
01:32경제가 괜찮겠네라고 생각을 할 수가 있는데
01:36그건 올해 1%로 올렸지만
01:401%가 역대 한 다섯 번째, 여섯 번째로 낮은 성장률이에요.
01:44워낙 낮다 보니까 올라가는 힘이 있거든요.
01:46그러면 실제로 숫자로는 1.8%이지만
01:49실제로는 평균적인 경제 상황보다는 아래쪽에 있다.
01:53내년에도 그렇게 보시면 됩니다.
01:55그러니까 우리가 1년 전과 비교를 하기 때문에
01:57더 오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는 그게 아닐 수가 있다.
02:00기저효과가 있다, 이런 말씀이신 거죠?
02:02알겠습니다.
02:03그렇다면 이런 상황이라면 금리를 인할해서
02:06경기에 도움을 줄 필요는 있을 것 같은데
02:08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기준금리를 또 한 번 동결했습니다.
02:12연 2.5% 그대로 유지를 했는데
02:14이 배경은 어떻게 봐야 됩니까?
02:16이번 동결은 우리의 예상을 전혀 빗나가지 않는
02:21그리고 기준금리를 결정을 하고 보도자료를 내는데
02:28보도자료의 내용조차도 전혀 예상을 빗나가지 않고 있습니다.
02:32가계부채, 부동산, 그리고 환율도 최근에 우리가 높다 보니까
02:37아무래도 우리가 금리를 내려버리면
02:39미국과의 금리 역전 격차가 커지고
02:42그럼 환율이 오를 가능성
02:43그런 배경으로 한은에서는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02:48그런데요, 환율 말씀을 해주셨는데
02:51지금까지 상황을 봤을 때는 우리보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더 높아서
02:56자본이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는 컸는데
03:00실제로 그런 현상이 나타나지는 않았었잖아요.
03:03그런데 이제 와서 이렇게까지 외환 시장이 불안해진 배경
03:06본부장님은 뭘로 보십니까?
03:08일단은 미국에 지금 12월 FMC가 한 번 남아있는데
03:13거기에 금리 인하의 가능성이 최근에 상당히 높아졌긴 했지만
03:16그전까지 보면 상당히 좀 매파적인 분위기였고요.
03:22미국의 어떤 파월 의장이 학자적인 양심, 명분적으로는 그렇지만
03:27트럼프하고 돌아섰기 때문에
03:28감정적인 부분도 있겠네요.
03:30내년 4월까지는 상당히 매파적이다.
03:32금리를 안 내린다.
03:33그런 상황이 지속이 되면서
03:36글로벌 달러가 강세를 보였던 점
03:38그리고 또 하나는 최근에 일본 쪽에서
03:41수상 총리가 바뀌면서
03:44그전까지만 해도 일본은행이 워낙 금리가 낮다 보니까
03:48조금씩 올린다.
03:49그래서 이제 N화 약세가 어느 정도 스탑이 됐었는데
03:52이제 안 올리겠다고 하거든요.
03:55N달러가 지금 사실은 달러당 150엔을 넘어서 오고 있어요.
03:58우리나라 원화와 N화가 거의 10대 1이 평균이거든요.
04:03그러면 우리 환율이 사실은
04:05달러당 1500원 넘어도 그게 비정상적인 수준 아닙니다.
04:09그러니까 옆나라와 N화와 우리나라가 동조화의 어떤
04:12그동안의 추세가 있었기 때문에
04:14그런 영향까지도 같이 받고 있는 것 같습니다.
04:17그러니까 여러 가지 요소들, 특히 N화와의 동조화 현상
04:21이런 것들을 지적을 해주셨는데
04:22한국은행 쪽에서는 고안률의 주된 원인으로
04:25우리나라, 그러니까 서학개미들의 해외 투자
04:28이거를 원인으로 꼽더라고요.
04:30이 부분에 동의하십니까?
04:32금리를 동결하면서 한국은행의 얘기는 뭐냐 하면
04:35정확히 한국은행의 금통이겠죠.
04:38그 얘기는 뭐냐면
04:39집 살라고 은행에서 돈 빌린 사람들 때문이다.
04:43이번에는 외국에, 특히 미장이겠죠.
04:48서학개미들이 외국에 투자하기 위해서
04:50가려면 환전해서 가야 되니까
04:53그 사람들 때문이다라고 평가를 하는데
04:56전혀 틀린 말은 아닌데
04:58그게 한국은행에서 할 소리인가?
05:01그러니까 전반적인 외환시장의 불안이
05:04이 정도로 용어를 마무리했으면 좋을 거고
05:07지금 사실 내수 경기도 안 좋고요.
05:10우리 주식시장도 잘 올라가다가
05:12좀 주춤주춤하잖아요.
05:14그런 상황이고 또 가계부채가
05:17그동안 돈을 많이 빌렸던 분들
05:19갭투자로 그런 분들은 분명히 비난을 받아야 되지만
05:24사실 여러모로 좀 많이 힘듭니다.
05:27자영업하시는 분들은 집 살려고 돈을 빌리는 건 아니거든요.
05:30그분들의 금리는 높고
05:32그래서 그런 한국은행의 코멘트를 뉴스를 통해서
05:35우리 국민들이 볼 때 과연 좋게 보겠는가?
05:39전혀 틀린 말은 아니지만
05:41할 말이 있고 안 할 말이 있다.
05:42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05:44알겠습니다.
05:44이 이야기는 약간 긁어부스럼 같은 느낌은 분명히 드는 것 같습니다.
05:48지금 정부가 외환시장, 우리 환율 안정을 위해서
05:51국민연금을 동원하고 있다.
05:53이런 비판들이 굉장히 크잖아요.
05:56거기에 대해서 구윤철 부총리가
05:58약간 반박을 하기도 했었고요.
05:59여기에 대해서 한국은행은 지금 어떻게 설명을 하고 있습니까?
06:03한국은행은 동조를 좀 하고 있고요.
06:05그게 전혀 우리 기재부에서 뉴 프레임워크라고 해서
06:10외환과 관련된 기관들이 모여서 하는데
06:12그런데 그게 얼핏 시장에서는
06:15정부에서 발표하는 건 그런 내용이 아니었는데
06:18시장에서는 그런 식으로 외환시장, 환율 때문에
06:22그러니까 국민연금도 사실 지금 올해 8월 말 기준으로
06:27기금 적립금의 36.8%를 해외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06:31그게 2020년 정도만 해도 20%밖에 안 됐거든요.
06:35왜 그랬을까요?
06:35수익률이 높기 때문에.
06:37그러니까 그거를 막을 생각은 없죠.
06:40그걸 막아서도 안 되고 우리 국민연금이라는 건 이자가 중요하지 않습니까?
06:45그래서 정부에서는 그걸 막는다는 얘기는 안 했고
06:49그러니까 이런 식으로 얘기를 했던 것 같아요.
06:50기재부 장관이.
06:52지금 달러와는 너무 비싸다.
06:54그렇다면 언젠가는 달러가 싸질 텐데
06:56지금 비싼 달러로 환전해서 나가서
06:59언젠가 들어올 때는 지금 환율보다 훨씬 달러가치가 떨어졌을 때
07:03환자손이 발생할 수 있다.
07:05그렇죠.
07:06이 정도로 마무리를 했던 것 같아요.
07:08그러니까 기재부의 어떤 속내는
07:10바깥으로 좀 안 나갔으면 좋겠지만
07:12그거를 얘기를 할 수는 없죠.
07:14그렇죠.
07:14국민연금이라는 건 수익률이 중요하기 때문에.
07:16그래서 그런 부분을 이제 시장에서 좀
07:19약간 왜곡해서 해석을 하니까
07:22달러를 바깥으로 나가지 말라고
07:24시장에서 언론에서 해석을 하니까
07:26이제 한은에서 한은도 환율이 좀 심각하게 보고 있거든요.
07:31그러니까 한은에서 좀 도와줬던 걸로 그렇게 생각이 됩니다.
07:35알겠습니다.
07:35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하자면요.
07:37경기는 여전히 어려운데 환율, 부동산
07:39이런 것들이 발목을 잡고 있다라고 볼 수가 있을 것 같은데요.
07:43어제 보면 여러 가지 시사점들이 있었는데
07:45일단 시장에서 이제는 금리나 사이클이 끝난 것이 아니냐
07:49이렇게 보는 시선이 강한 것 같아요.
07:52본부장님은 어떻게 보십니까?
07:53지금 미국이 4.0이고요.
07:55저희가 1.5니까 1.5%포인트인데
07:57원래 최대 벌어졌을 때는 역전폭이 2%포인트까지 떨어졌었거든요.
08:02그래서 12월 FMC에서 미국이 기준금리를 내린다고 하더라도
08:08대충 이제 시장의 전망치를 보면 내년 한 4월 정도까지 한 3.5.
08:16지금 4니까 12월에서 3.7%로 내리고 한 번 정도 내리고요.
08:21그리고 내년 말이 돼야 한 3% 정도.
08:26그래도 우리가 지금 동결을 해도 우리보다 높습니다.
08:29그렇네요.
08:29그렇다면 솔직히 한국은행이 금리를 동결하면서 계속하는 얘기가
08:35가계부채, 부동산, 그다음에 환율 이런 얘기를 하잖아요.
08:39결국은 속내는 연준이 연준금리가 한국은행 금리
08:45지금 2.5 수준까지 근처에 올 때까지는 안 내린다는 거죠.
08:49그 말은 이제 금리 인하 사이클은 저는 개인적으로 끝났습니다.
08:56끝났고 시장금리는 올라갈 거고 채권금리도 올라가고요.
09:00그게 언제까지냐.
09:01내년에도 연준금리가 만약에 우리 금리보다 높은 상황이라면
09:06쉽지 않을 것 같은데요.
09:07그래서 과거의 예를 보면 한국은행 총재가 최근에 외국 언론하고 인터뷰해서
09:14한국은행의 통화, 완화적 통화 정책 기조는 유효하다.
09:20금리 인하법과 금리 인하 시기는 나오는 데이터를 보고 결정하겠다라고까지 했으면 좋았는데
09:27뒤에 이제 전혀 해선은 안 될 용어를 썼거든요.
09:31방향 전환.
09:32금리 인하하다가 방향 전환은 올라간다는 얘기잖아요.
09:36그렇죠.
09:36그런데 이게 과거의 예를 보면 금리 인하가 스탑이 되고
09:40방향 전환, 금리 인하가 금리 인상이 되는 방향 전환까지는
09:44한 1년 6개월 정도 시간이 있더라고요.
09:47과거 한 두세 번이 모두 그랬습니다.
09:49그렇다 보니까 내년에 금리는 안 올릴 겁니다.
09:52내년은 지나야 인상 기조로 갈 것 같고
09:55다만 시장금리는 먼저 움직입니다.
09:58그렇죠.
09:58공교 기간에.
09:59그래서 내년에는 부채가 많으신 분들
10:02그리고 갭 투자하고 그러신 분들이야 상당히 그거는
10:07알아서 하셔야죠.
10:08그런데 이제 자영업하시는 분들이 상당히 힘드실 것 같아요.
10:13그렇습니다.
10:14알겠습니다.
10:14실제로 어제 국채 금리가 여기에 반응을 보이기도 했었으니까요.
10:18상황 계속 지켜보도록 하겠습니다.
10:20지표 하나 더 살펴보려고 하는데요.
10:22국가 데이터처, 예전에 통계청이죠.
10:25국가 데이터처가 발표한 가계 동향 조사 결과를 보니까
10:283분기에 가계 월평균 소득은 늘었더라고요.
10:32실질 소득도 늘었는데 반대로 소비 지출은 오히려 하락을 했습니다.
10:37이 현상 어떻게 분석하고 계십니까?
10:41소득은 늘었는데 소비가 줄었다는 것은 소비를 안 하고 세이빙을 한다는 거죠.
10:46그게 저축이라는 게 꼭 금융권에 들어간다기보다는 자기가 가지고 있는 거죠.
10:50왜? 불안하니까.
10:51그리고 소득이 늘었던 것을 보면 실질 소득을 보면 실질 소득이 3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플러스 1.5% 증가했다고 하지만
11:02여기에 공적 이전 소득이라는 게 포함되어 있습니다.
11:07그러니까 정부가 준 돈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11:09간단히 말씀하시는 소비 쿠폰입니다.
11:11그게 전부는 아니겠지만.
11:12그래서 소비 쿠폰이 한 40% 가까이 늘었어요.
11:18그게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용이 한 10% 정도 되거든요.
11:23그런데 공적 이전 소득을 빼고 실제로 소득이, 실질 소득이 얼마나 늘었느냐 봤더니 마이너스 2.6%입니다.
11:32그러니까 소비 쿠폰이 없었다면 소득은 오히려 줄어든 상황이었다.
11:35그렇죠. 그러다 보니까 소비 쿠폰 빼고는 사실 일에서 돈 번이나 번 돈이나 사업에서 번 돈이 크지 않았다는 거죠.
11:44오히려 감소했습니다.
11:45그러다 보니까 실제로 소비를 줄은 거죠.
11:47소비 쿠폰은 일시적으로 들어오는 거니까요.
11:49그렇죠.
11:504분기 내년 넘어가서 소비 쿠폰이 들어온다는 보장이 없잖아요.
11:53그러다 보니까 소비를 줄인 걸로 생각이 됩니다.
11:58그럼 말씀하신 내용을 들어보면 실질 소득을 늘렸던 소비 쿠폰,
12:02이런 것들은 일시적인 소비 부양 효과에 그쳤다.
12:05이렇게도 볼 수 있는 겁니까?
12:07그럴 수밖에 없는 게 소비 이론 중에 항상 소득 가설이라는 게 있는데
12:12간단히 말씀드리면 소득이 계속 앞으로 쭉 늘어야만 소비가 늘어납니다.
12:18그러니까 일시적인 소득은 소비를 항구적으로 늘리지 못한다.
12:22그런데 우리가 그런 복잡한 경제 이론을 들이대지 않더라도 직관적으로 알 수 있잖아요.
12:29당장 다음이 불안한데 당장 돈 쓰기는 어렵죠.
12:31그때 좀 삼겹살 끄워먹고 그냥 그걸로 끄신 거죠.
12:34그런데 다만 그것 때문에 최근에 소비자 심리 지수를 보면
12:38좀 추세적으로 올라가는 효과는 분명히 있습니다.
12:41다만 소비자들의 심리가 좋아지는 건 분명히 소비 쿠폰 효과가 있는데
12:45받쳐줘야 되는 게 경기가 좋아지면서 소득이 늘어져야
12:49그게 소비자들이 소비로 이어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2:54알겠습니다.
12:54마지막 이슈 짧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2:57네이버와 업비트 이쪽이 합병을 하기로 하면서 거대 공룡 핀테크가 태어나게 됐습니다.
13:04그런데 이 내용이 나온 날에 업비트가 해킹으로 400억 원이 넘는 가상자산을 탈취 당했다라는 소식이 나왔네요.
13:11어떤 내용입니까?
13:12이게 저도 가상자산에서는 잘 모르는데
13:17솔라나 계열의 많은 디지털 자산들이 해킹이 당했는데요.
13:22이 해킹은 사실 오프라인으로 딱 가지고 있는 지갑에서는 해킹을 할 수가 없는데
13:27일부 지갑들은 온라인으로 연결이 돼 있어서
13:30그런데 이게 하필 6년 전에 또 똑같은 일이 있었습니다.
13:35그때 리더리움이 탈취가 됐거든요.
13:36그래서 아마 이게 무슨 날짜에 맞춰서 뭔가 실행하는 그런 바이러스가 있는 건지 모르겠으나
13:43아무튼 이게 업비트에서는 준비금을 항상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대해서 만들어 놓고 있거든요.
13:52그래서 탈취 당했다고 하더라도 업비트에서 다 보상을 해주니까 너무 걱정 안 하셔도 되고
13:56그러나 이게 우리 가상자산거래소가 이렇게 취약하다면 그렇죠?
14:02그래서 우리 투자자들이 상당히 불안해할 수 있고요.
14:06이런 시스템은 정부 기관과 해당 거래소에서 보완해서
14:10추후에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노력해야 될 거라고 생각이 됩니다.
14:14알겠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경제적인 손해에 대한 우려는 없지만
14:17잊을만 하면 나오는 가상자산거래소의 보완사고
14:20이 문제는 이제 확실히 해결할 필요는 있어 보입니다.
14:24지금까지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본부장과 함께
14:28다양한 경제 소식들 알아봤습니다.
14:30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