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미국에서 소득계층 간 '소비 양극화'가 심화하면서 이른바 K자형 경제(K-shaped economy)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다시 나오고 있습니다.

현지시간 25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 용어는 2020년 미국의 부유층과 빈곤층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경제 회복을 다르게 경험하는 현상을 설명하며 주목받았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현재 미국에서 소비가 고소득층에 집중되면서 미국 경제가 위쪽에 쏠린 불안정한 상태에 놓였다고 경제학자들이 우려한다고 보도했습니다.

미국에서 지난 수십 년간 불평등이 커졌지만 지난 1년간 벌어진 '소비 격차'는 일부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궁극적으로 경기침체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마저 불러일으키고 있다는 게 블룸버그의 분석입니다.

블룸버그는 "미국의 소비자 지출이 그 어느 때보다 상위 10% 부유층에 집중돼 있다"면서 이들이 전체 소비 지출의 약 절반을 차지한다고 했습니다.

또 상위 20%는 전체 소비 지출의 거의 3분의 2를 차지합니다.

반면 무디스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나머지 80%가 전체 소비 지출에 차지하는 비중은 팬데믹 이전 약 42%에서 37%로 떨어졌습니다.

주식 시장과 주택 가격 상승의 혜택을 보는 고소득층은 지출을 이어가고 있지만 저소득층은 인플레이션과 고용 시장 위축으로 씀씀이를 줄여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지난 1년간 더 많은 미국인이 생계 유지를 위해 고군분투하면서 K자형 경제의 아래에 속한 이들이 늘었다고 블룸버그는 보도했습니다.

문제는 지난 몇 년간 부의 축적이 상당 부분 주식시장 급등에 따른 것이라는 점입니다.

경제학자들은 주식시장이 완만하게 조정되더라도 상위 20%의 지출이 빠르게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고 블룸버그는 전했습니다.

이는 이미 많은 미국인이 재정적으로 압박받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 경제 전반에 파급 효과를 일으킬 수 있으며 결국에는 경기침체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2020년 K자형 경제 개념을 널리 알린 경제학자 피터 애트워터는 현재 미국 경제의 상태가 "위쪽이 무거운 젠가(나무 블록 게임) 탑"과 더 닮았다고 했습니다.

생활비 문제는 미국 정치권도 강타하고 있습니다.

'민주사회주의자'를 자처하는 민주당 소속 조란 맘다니는 주거비와 보육비 문제를 파고들어 '자본주의의 심장' 뉴욕의 시장 선거에서는 승리를 거머쥐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고...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1125164250055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미국에서 소득계층 간 소비 양극화가 심화하면서 이른바 K자연 경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다시 나오고 있습니다.
00:07현지시간 25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 용어는 2020년 미국의 부유층과 빈곤층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경제 회복을 다르게 경험하는 현상을 설명하며 주목받았습니다.
00:19블룸버그 통신은 현재 미국에서 소비가 고소득층에 집중되면서 미국 경제가 위쪽에 쏠린 불안정한 상태에 놓였다고 경제학자들이 우려한다고 보도했습니다.
00:28미국에서 지난 수십 년간 불평등이 커졌지만 지난 1년간 벌어진 소비 격차는 일부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궁극적으로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마저 불러일으키고 있다는 게 블룸버그의 분석입니다.
00:42블룸버그는 미국의 소비자 지출이 그 어느 때보다 상위 10% 부유층에 집중되어 있다면서 이들이 전체 소비 지출의 약 절반을 차지한다고 했습니다.
00:52또 상위 20%는 전체 소비 지출의 거의 3분의 1을 차지합니다.
00:57반면 무디스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나머지 80%가 전체 소비 지출에 차지하는 비중은 팬데믹 이전 약 42%에서 37%로 떨어졌습니다.
01:08주식시장과 주택 가격 상승의 혜택을 보는 고소득층은 지출을 이어가고 있지만 저소득층은 인플레이션과 고용시장 위축으로 씀씀이를 줄여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01:18지난 1년간 더 많은 미국인이 생계 유지를 위해 고군분투하면서 K자연경제의 아래 속한 이들이 늘었다고 블룸버그는 보도했습니다.
01:27문제는 지난 몇 년간 부유의 축적이 상당 부분 주식시장 급등에 따른 것이라는 점입니다.
01:33경제학자들은 주식시장이 완만하게 조정되더라도 상위 20%의 지출이 빠르게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고 블룸버그는 전했습니다.
01:40이는 이미 많은 미국인이 재정적으로 압박받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 경제 전반에 파급 효과를 일으킬 수 있으며 결국에는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01:522020년 K자연경제 개념을 널리 알린 경제학자 피터 헤트워터는 현재 미국 경제 상태가 위쪽이 무거운 쟁가탑과 더 닮았다고 했습니다.
02:01생활비 문제는 미국 정치권도 강타하고 있습니다.
02:04민주 사회주의자를 자처하는 민주당 소속 조란 맘단인은 주거비와 보육비 문제를 파고들어 자본주의의 심장 뉴욕의 시장 선거에서 승리를 거머쥐었습니다.
02:16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고물가로 인한 정치적 압박 속에 최근 브라질 주요 농산물에 대해 부과한 40%의 추가 관세를 거둬들이기도 했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