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진행 : 이세나 앵커
■ 출연 : 이웅혁 건국대학교 경찰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퀘어 2PM]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어제 오후 제주 우도 천진항에서 승합차 돌진으로 사상자가 발생하는 안타까운 사고가 있었는데요. 경찰은 사고 현장 합동 감식에 돌입하면서 본격 조사에 나섰습니다.이 사건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 연결해서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이웅혁]
안녕하세요.


사고 당시 CCTV 영상을 보면 도항선에서 내리던 승합차가 상당히 빠른 속도로 질주하는데요. 사고 영상 어떻게 보셨습니까?

[이웅혁]
배에서 내려서 좌회전 하는 그 순간부터 그대로 직전을 한 이런 형태인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핸들 조작도 보이지 않고 멈추려고 하는 그러한 행동, 회피하려는, 정지하려는 모습도 보이지 않기 때문에. 그런데 이 상황만 놓고 페달을 오조작한 것인지, 아니면 브레이크가 차량 자체 이상 때문에 아예 작동을 안 한 것인지 이건 수사를 통해서 확인해야 될 부분인 것 같습니다. 다만 CCTV 등을 봐서도 뒤에 브레이크등을 작동하면 빨갛게 들어오는데 낮이라 그런지 일단 그냥 시야로는 확인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아마 향후 블랙박스, 스키드마크, 또 EDR 그리고 과거에는 가속페달을 끝까지 혹시 착오로 밟은 경우에는 신발 등의 문양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은 국과수의 면밀한 조사를 통해서 페달 오조작인지 여부가 밝혀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이번에 인명피해가 컸는데 승합자가 사람들이 많이 오가는 대합실 방향으로 돌진하면서 그랬던 것 같거든요.

[이웅혁]
그러니까 그 부분이 제일 인명피해가 발생케 한 이유라고 봐야 할 것 같은데요. 즉 차량이 향한 방향 자체가 아주 안 좋은 방향으로 향했다. 그 얘기는 사람들이 많이 몰려 있는 대합실로 향하게 되었던 것이죠. 그러니까 처음에 가장 사람의 밀도가 많이 있는 공간, 그러니까 피할 시간도 없었고 피할 공간 자체도 없었다고 하는 점이 그 13명의 사상자를 낸 것 같고요. 더군다나 도로의 구조 등을 봐도 사람하고 차하고 한꺼번에 한 공간에 섞여 있는 이런 형태인 것 같고 더군다나 사람들이 보행하거나 모여 있는 곳에서는 차량하고 인도를 구분하는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1125151752794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어제 오후 제주 5도 천진항에서 승합차 돌진으로 사상자가 발생하는 안타까운 사고가 있었는데요.
00:07경찰은 사고 현장 합동 감식에 돌입하면서 본격 조사에 나섰습니다.
00:11이 사건 이용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 연결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00:16교수님 안녕하십니까?
00:17네, 안녕하세요.
00:18사고 당시 CCTV 영상을 보면 도항선에서 내리던 승합차가 상당히 빠른 속도로 질주하는데요.
00:25사고 영상은 어떻게 보셨습니까?
00:27네, 그러니까 배에서 내려서 좌회전하는 그 순간부터 그대로 직진을 한 이런 형태인 것 같습니다.
00:36그러니까 핸들 조작도 보이지 않고요.
00:38이렇게 멈추려고 하는 그러한 행동을 회피하려고 정지하려고 하는 모습도 보이지 않기 때문에
00:44그런데 이 상황만 놓고서 페달을 오조적한 건지 아니면 브레이크가 차량 자체 이상 때문에 아예 작동을 안 한 것인지
00:55이것은 수사를 통해서 확인해야 될 부분인 것 같습니다.
01:00아마 CCTV 등을 봐서도 뒤에 브레이크 등이 작동을 하면 빨갛게 들어오는데
01:07낮이라 그런지 일단 그냥 시야로는 확인하기가 좀 어렵기 때문에
01:11아마 그 향후 블랙박스, 스키드마크, 또 EDR 그리고 과거에는 신발의 가속페달을 아주 끝까지
01:23혹시 착오로 밟은 경우에는 신발 등의 문양을 통해서 또 확인도 될 수가 있기 때문에
01:28결국은 그 국가수의 면밀한 조사를 통해서 페달 오조작인지의 여부가 밝혀지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01:36네, 이번에 인명피해가 컸는데 그 승합차가 사람들이 많이 오가는 대압실 방향으로 돌진하면서 그랬던 것 같거든요.
01:44그러니까요. 그분이 제일 인명피해를 많이 발생하게 한 이유라고 봐야 될 것 같은데요.
01:50즉 차량이 그 향한 방향 자체가 아주 안 좋은 방향으로 향했다.
01:57그 얘기는 사람들이 많이 몰려있는 대압실로 향하게 되었던 것이죠.
02:02그러니까 섬에서 가장 어떻게 보면 사람의 밀도가 많이 있는 공간.
02:06그러다 보니까 피할 그럴 시간도 없었고 또 피할 그런 공간 자체도 없었다고 하는 이 점이
02:15그 14명의 가상자를 낸 것 같고요.
02:17더군다나 이 도로의 구조 등을 이렇게 봐도 바람하고 차하고 그냥 한꺼번에 한 공간 안에 섞여있는 또 이런 형태인 것 같고
02:28더군다나 사람들이 이렇게 보행하거나 모여있는 곳에서는 이 차량하고 인도를 구분하는 이른바 안전 울타리,
02:35즉 방어장치, 우리가 볼라드라고 통상 부르는데요.
02:39그와 같은 차단대도 없기 때문에 그대로 바로 브레이크 작동 없이 직전을 했고
02:45그 충격 에너지가 너무나 컸다.
02:49영상 등을 보게 되면 대압실 쪽에 있는 기둥에 부딪히고 나서도
02:55그 밀려가는 힘으로 차량 뒤쪽이 이렇게 움직이지 않습니까?
03:00그만큼 충격 에너지가 상당히 컸고 그대로 전달이 됐다.
03:05그런데 안타깝게도 그 공간이 사람들이 가장 많이 모여있는 그런 대압실이었기 때문에
03:11사상자가 많이 발생한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03:15최근 폐달 5조작으로 인한 사고가 좀 잇따랐는데
03:17이번 5도 사고 운전자도 60대 고령입니다.
03:21긴급 체포가 된 상태인데 과실 가능성을 어떻게 보십니까?
03:24그 부분이 아까 제가 모두 설명드린 바와 같이
03:27과학적 수사를 통해서 발전해야 할 부분인데요.
03:32최근에 발생했던, 1년 전에 발생했던 시청 앞에서
03:369명의 사망자를 발생했던 운전자도
03:39본인의 과실임이 사실상은 판명이 났고
03:45얼마 전에 부천시장에서 발생했던 차량 돌진, 트럭 돌진 사고 역시
03:51결국은 본인이 후진한 과정에서 제대로
03:55제동장치 등을 조작을 못해서
03:58착오로 과실로 해달을, 가속해달을 밟았던 것으로
04:04지금 판명이 나고 있기 때문에
04:06이번에 외관상 보이는 모습들도 그와 상당히 유사하긴 합니다만
04:11본인이 소위 급발진을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04:16지금 그 도로에 스키드 마크는 과연 있었던 것인지
04:20블랙박스에는 어떠한 것이 찍혔는지
04:24그리고 아까 제가 말씀드렸던 EDR 사고 기록장치의
04:30예를 들면 충돌 직전
04:32예를 들면 브레이크가 작동되었는지
04:35엑셀에 밟았는지 이런 기록들이 다 모였기 때문에
04:37또 충돌했을 때 충돌 이후 5초까지
04:40이 같은 걸 종합적으로 판명을 하면
04:43분명히 밝혀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04:46네 알겠습니다
04:47앞으로 자세한 분석과 추가 조사 결과를 지켜보겠습니다
04:50지금까지 이용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와 함께했습니다
04:53고맙습니다
04:54네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