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인공지능(AI) 붐으로 급증한 반도체 수요에 PC 필수 부품인 RAM과 SSD 가격까지 오르면서 고사양 조립 PC의 주 수요층인 PC 게이머들이 울상을 짓고 있습니다.

25일 PC 부품 가격 분석 사이트 다나와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최저가 7만2천원에 판매되던 삼성전자의 16GB DDR5 RAM 가격은 현재 19만8천원대까지 올랐습니다.

같은 제조사의 DDR5 32GB 램도 같은 기간 16만8천원에서 현재는 46만원에 이르는 가격대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가격이 두 달 만에 무려 3배 가까이 폭등한 셈입니다.

반도체 기반 저장장치인 SSD 가격도 수요 급증에 상승세를 보입니다.

인기 제품인 SK하이닉스의 1TB 플래티넘 P41 SSD는 9월 말 기준 16만원에서 현재 19만원까지 가격이 뛰었고 삼성전자의 2TB 990 프로 NVMe SSD는 같은 기간 24만원에서 32만9천원까지 올랐습니다.

RAM과 SSD는 대체로 조립 PC 견적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CPU나 GPU에 비해 작은 편이었으나, 이제는 무시할 수 없을 만큼 가격이 올랐다는 반응이 나옵니다.

PC 게이머들이 모인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컴퓨터 업그레이드를 미뤄야겠다"는 비관적인 반응이 터져 나왔습니다.

일각에서는 "지금이라도 빨리 구매해야겠다"는 `패닉 바잉` 현상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타이완 시장조사 업체 트렌드포스는 지난 17일 발간한 보고서에서 올해 4분기 D램 계약 가격이 전년도 대비 75% 이상 증가할 전망이며, 내년도 스마트폰·노트북 등 완제품 단가와 출하량에도 영향을 줄 거라고 분석했습니다.

트렌드포스는 보고서를 통해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마이크론 등 3대 D램 공급업체가 "고급 서버 DRAM과 고대역폭 메모리(HBM) 투자를 늘리면서 PC·모바일 생산량을 밀어내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공급업체의 생산량 증설에도 불구하고 내년까지 D램 부족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오디오ㅣAI앵커
제작ㅣ이 선

#지금이뉴스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1125144733142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인공지능 붐으로 급증한 반도체 수요에 PC 필수 부품인 램과 SSD 가격까지 오르면서 고사양 조립 PC의 주 수요층인 PC 게이머들이 울상을 짓고 있습니다.
00:1125일 PC 부품 가격 분석 사이트 다나와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최저가 7만 2천원에 판매되던 삼성전자의 16GB DDR5 램 가격은 현재 19만 8천원대까지 올랐습니다.
00:23같은 제조사의 DDR5 32GB 램도 같은 기간 16만 8천원에서 현재는 46만원에 이르는 가격대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00:33가격이 두 달 만에 무려 3배에 가까이 폭등한 셈입니다.
00:37반도체 기반 저장장치인 SSD 가격도 수요 급증의 상승세를 보입니다.
00:43인기 제품인 SK하이닉스의 1TB 플래티넘 P41 SSD는 9월 말 기준 16만원에서 현재 19만원까지 가격이 뛰었고
00:50삼성전자의 2TB 990 ProMVMe SSD는 같은 기간 24만원에서 32만 9천원까지 올랐습니다.
00:59램과 SSD는 대체로 조립 PC 견적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CPU나 GPU에 비해 작은 편이었으나
01:05이제는 무시할 수 없을 만큼 가격이 올랐다는 반응이 나옵니다.
01:09PC 게이머들이 모인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컴퓨터 업그레이드를 미뤄야겠다는 비관적인 반응이 터져나왔습니다.
01:16일각에서는 지금이라도 빨리 구매해야겠다는 패닉 바잉 현상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01:21하이원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지난 17일 발간한 보고서에서
01:25올해 4분기 디램 계약 가격이 전년도 대비 75% 이상 증가할 전망이며
01:31내년도 스마트폰, 노트북 등 완제품 단가와 출하량에도 영향을 줄 거라고 분석했습니다.
01:37트렌드포스는 보고서를 통해 SK, 하이닉스, 삼성전자, 마이크론 등 3대 디램 공급업체가
01:44고급 서버 디램과 고대역폭 메모리 투자를 늘리면서 PC 모바일 생산량을 밀어내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01:52그러면서 공급업체의 생산량 증설에도 불구하고 내년까지 디램 부족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01:59자막 제공 및 자막 제공 및 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