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진행 : 조태현 앵커, 조예진 앵커
■ 출연 : 채상미 이화여대 경영학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10.15 대책 이후 부동산이 대혼란이 이어지고 있어요. 이번에는 서울에 사는 30대 무주택 관련 통계가 나왔는데요. 이 통계 작성 이후에 가장 많은 30대 가구주 4명 가운데 집주인은 1명뿐이었다. 주택 소유율은 역대 최저였다, 이런 이야기가 나오더라고요. 어떤 시사점이 있을까요?

◆채상미> 이게 보면 30대가 더 이상 주택 구매 시장에서 주력이 아니다라고 보여지거든요. 과거에는 30대가 첫 주택을 마련하는 핵심세대였거든요. 그런데 현재는 가격, 전세대출 규제가 막혀서 구매여력 자체가 30대가 사라진 상태고요. 소득 증가에 비해서 집값 상승 속도가 4배에서 5배 굉장히 빨라서 자산 축적할 수 있는, 주택으로 사다리가 붕괴됐다, 이렇게 이해가 되고요. 그다음에 30대 중에서 영끌을 해서 주택을 보유한 층이 있어요. 그런데 아예 진입을 못한, 규제 때문에. 이런 무주택층의 양극화가 명확하게 벌어졌다. 그래서 이미 집을 가진 3040은 자산이 빠르게 불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고 무주택인 30대는 임대료가 또 상승을 하니까 자산 형성의 첫 단추조차 끼우지 못했다 이렇게 이해가 되거든요.

◇앵커> 또 여기서 양극화가 생기는 거네요. 정부의 대책으로 전세 공급이 일단 줄어으면서 월세 비중도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월세 비용도 급등하고 있는 상황인데 전세를 투자 수단으로 못 쓰게 하겠다는 그 취지와 의지는 알겠으나 월세화로 가는 속도가 너무 빠르지 않습니까?

◆채상미> 말씀하신 대로 토허제, 신규 지정한 다음에 보니까 전세 가격이 한 달에 2.2~2.3%까지 급증했고 월세가 146만 원이에요, 평균. 이게 5년 전 대비하면 31%나 오른 수치거든요. 이게 집주인 입장에서는 전세보다는 월세를 선호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고 서울 전체 전월세 거래도 18% 증가한 반면에 월세는 12% 증가한 거예요. 그래서 이게 매매가 제한되고 이에 따라서 임대시장이 과열되는 전형적인 정책 수요가 전이가 됐다. 그래서 허가 구역 지정으로 결과적으로 매매 자체가 어려워지니까 매수 대기 수요가 그대로 전월세 시장으로 전이되는데 투기를 막겠다는 정책이 임대시장...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1125084357477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다음에는 이 내용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00:0211호 대책 이후 부동산이 대혼란 이어지고 있어요.
00:07이번에는 서울에 사는 30대 무주택 가구에 관련된 통계가 나왔는데요.
00:12이 통계 작성 이후에 가장 많은 30대 가구주 4명 가운데 집주인은 1명 뿐이었다.
00:18주택 소유율은 또 역대 최저였다. 이런 이야기가 나오더라고요.
00:22어떤 시사점이 있을까요?
00:23이게 이제 보면 30대가 더 이상 주택 구매 시장에서 주력이 아니다.
00:30주력 구매층이다 이렇게 보이는 거거든요.
00:32과거에는 30대가 첫 주택을 마련하는 핵심 세대였거든요.
00:36그런데 현재는 가격, 전세대출 규제가 막혀서 구매 여력 자체가 지금 30대가 사라진 상태고요.
00:45소득 증가 비해서 집값 상승 속도가 4배에서 5배, 굉장히 빨라서
00:51자상 축적할 수 있는 주택으로 사다리가 붕괴됐다 이렇게 이해가 되고요.
00:56그다음에 30대 중에서 이제 영끌을 해가지고 주택을 보유한 층이 있어요.
01:01그런데 아예 이렇게 진입을 못한 규제 때문에 이런 무주택 증가에게 양극화가 명확하게 벌어졌다.
01:08그래서 이미 집을 가진 30, 40은 자산이 빠르게 불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고
01:13무주택인 30대는 임대료가 또 상승을 하니까
01:17자산 형성의 첫 단추조차 지금 끼우지 못했다.
01:22이렇게 이제 이해가 되거든요.
01:24또 여기서 양극화가 생기는 거네요.
01:26그렇죠.
01:26정부의 대책으로 전세 공급이 일단 줄어들면서 월세 비중도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01:34이 때문에 월세 비용도 급등하고 있는 상황인데
01:37전세를 투자 수단으로 못 쓰게 하겠다는 그 취지와 목적은 알겠으나
01:42월세화로 가는 속도가 너무 빠르지 않습니까?
01:45네.
01:45말씀하신 대로 이제 토제 신규 시정한 다음에 보니까 전세 가격이
01:51한 달에 이제 2.1에서 2.3%까지 급등했고요.
01:54이제 월세가 146만 원이에요.
01:58평균.
01:59그래서 이게 5년 전 대비하면 31%나 오른 수치거든요.
02:02그러니까 이게 이제 집주인 입장에서는 전세보다는 월세를 선호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고
02:08서울 전체 전월세 거래에도 이제 그 18% 증가한 반면에 월세는 12% 증가한 거예요.
02:17그래서 이게 이제 매마가 제한되고 이에 따라서 임대 시장이 과열되는 전형적인 정책 수요가 정의가 됐다.
02:26그래서 허가구역 지정으로 이제 결과적으로 매매 자체가 어려워지니까
02:30매수 대기 수요가 그대로 전월세 시장으로 전의되는데
02:33투기를 막겠다는 정책이 임대 시장의 가격 상승이란 부작용을 즉각적으로 유발했다 이렇게 보이거든요.
02:40그 다음에 전세는 사실은 네버러지 구매 수단이었잖아요.
02:45집을 마련하기 전에 이제 이거를 전세를 통해가지고 집을 마련하겠다는 건데
02:51현실에서는 전세에 대한 임대 공급이 부족되는 현상.
02:56그 다음에 건설 자체도 지연돼가지고 공급 용량이 줄어드니까
03:00월세 비용이 굉장히 빠르게 증가해서 결과적으로 세입자가 부담이 증가되는 형태고
03:05젊은 층이 자산 축적을 할 수 있는 속도가 더욱 둔화돼가지고
03:10결국 소득의 고정 지출이 이런 임대 비용으로 비자식이 커진다.
03:18이런 부작용이 나타난 거죠.
03:19자산 축제 기상캐스터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