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1일 전


[앵커]
아는 기자, 외교안보국제부 김범석 부장 나왔습니다.

1. 중국이 오늘도 무력 시위를 했습니다. 최근에 부쩍 늘었죠.

그렇습니다. 오늘도 서해 동부 산둥성 인근 해역에서 실탄 사격 훈련을 했는데요.

중국은 최근 일주일 동안 서해 동서남북 방향에서 최소 5차례 이상 일본 보란 듯 군사 훈련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 다양한 전략 자산들을 앞세워서 훈련하고 있는데, 일본이 무서워하는 것들이 뭘까요

군사 전문가들에게 물어봤더니 공통적으로 꼽은 미사일 무기가 있습니다.

먼저 둥펑(DF)-17이라 불리는 극초음속 활공체(HGV) 탑재 중거리 미사일 체계를 꼽을 수 있는데요,

사거리 1800에서 2500km를 비행하는데 활공 단계에서 마하 5~10의 엄청난 속도로 비행해 일본 요격체계를 무력화할 수 있습니다.

현존하는 미사일 방어망을 돌파한다는 평가까지 나오니 "한미일 미사일 방어체계 전체가 압박을 받는다"는 얘기까지 나옵니다.

또 항공모함 타격용 극초음속 대함미사일 잉지(YJ)-17이나 극초음속 순항미사일 잉지(YJ)-19도 일본이 두려워할 수 있는 주요 전략 자산으로 꼽히는데요,

이 역시 궤도가 불규칙해 요격이 어렵다 보니 ‘항모 킬러’라는 별명이 붙어 있습니다.

또 해상에서는 전투기를 싣고 바로 공격이 가능한 랴오닝함과 산둥함 푸젠함 등 항공모함이 있습니다.

3. 중국이 두려워하는 일본의 무기도 있나요?

일본은 아시는 대로, 2차 세계대전 패전국으로 전수 방위 원칙, 즉 군대를 보유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아베 전 총리 때부터 이른바 ‘적 기지 공격 능력’을 갖춰 전쟁 가능한 국가로의 전환을 준비해 왔습니다. 그 원년이 2022년인데요.

이후 자국산 장사정 극초음속 미사일 '12식 지대함 유도탄'을 개발하며 능력을 갖춰나가는 중입니다.

일본판 ‘토마호크’로 불리는 이 미사일은 처음 시작은 사거리가 200km였는데 5배 긴 1000㎞로 늘려 개량 중이라는 것이 조금 위협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요미우리신문은 "이를 통해 중국 본토 군사기지나 레이더, 항공 전력을 타격할 수 있는 전략 무기로 발전했다"고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또 대형 호위함 ‘이즈모함’과 ‘가가함’에 이착륙이 가능한 스텔스 전투기 F-35B 실전 배치도 시작했습니다.

4. 일본은 전쟁을 못 하는 나라인데, 중국하고 붙으면 이길 수 있나요?

그래서 일본의 최남단이자 대만과 가장 가까운 오키나와 섬들에 이런 것들을 배치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는 겁니다.

어제 고이즈미 일본 방위상이 방문한 요나구니 섬은 대만에서 약 110km 밖에 떨어지지 않은 곳인데 일본은 ‘대만 유사시’를 염두에 둔 최전방 지역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특히 현재 육상자위대 감시 병력 약 160명이 배치돼 있는데 향후 중거리 지대공유도탄 요격 부대나 전자전 부대 배치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그 옆 이시가키섬 역시 매우 중요한데 여기도 아까 말씀드린 일본판 토마호크 미사일'12식 지대함 미사일' 부대가 배치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각에서는 이번 중일 갈등이 오히려 일본에게는 '전쟁 가능한 국가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것 아니냐. 다시 말해, 아베 전 총리의 꿈이 다카이치 총리를 통해 이뤄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5. 우리나라도 영향이 없지 않을 것 같아요.

가장 큰 것은 대만 유사시 주한 미군 투입일텐데, 그런 상황까지 가지 않더라도 중일 갈등이 길어지면 양측에서 '한국 끌어들이기'가 노골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당장 중국에서 다카이치 총리 비난에 노재헌 주중한국대사를 언급하는 일도 나타났으니까요.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G20 정상회의에서 다카이치 총리와 리창 총리를 다 만나는 등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실용 외교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 김범석 부장이었습니다.




김범석 기자 bsism@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한은 기자, 외교안보 국제부 김범석 부장 나왔습니다.
00:06중일 갈등이 무력 시위로 번지는 양상인데요.
00:08중국이 특히나 부쩍 늘었어요.
00:11그렇습니다. 아까 리포트에서 보신 바와 같이
00:13오늘도 서해 동부 산둥서 인근 해역에서
00:16실탄사격 훈련을 했는데요.
00:18중국은 최근 일주일 동안 서해 동서남북 방향에서
00:21최소 5차례 이상 일본 보란듯이 군사훈련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00:26일본 보란듯 훈련을 했다면
00:27뭔가 일본이 무서워할 무기들이 나와야 될 거 아니에요?
00:31그렇습니다. 제가 군사 전문가들한테 한번 물어봤는데요.
00:34공통적으로 꼽은 미사일 무기가 있습니다.
00:37먼저 둥펑-17이라 불리는 극초음속 활공체, 탑재, 중거리 미사일 체계를 꼽을 수가 있는데요.
00:43사거리 1,800에서 2,500km를 비행하는데
00:46활공 단계에서 마하 5에서 10, 엄청 빠르죠?
00:49그런 속도로 비행해서 일본 요격 체계를 무력화할 수 있다는 겁니다.
00:53현존하는 미사일 방어망을 돌파한다는 평가까지 나오니까
00:56한미일 미사일 방어체계 전체가 압박을 받는다는 얘기까지 나옵니다.
01:01그리고 또 항공모함 타격용 극초음속 대한미사일 인지-17이나
01:06극초음속 순항미사일 인지-19, 인지 시리즈도 일본이 두려워할 수 있는
01:10주요 전략자선으로 꼽히는데요.
01:12이 역시 궤도가 불규칙해서 요격이 어렵다 보니
01:15항모 킬러라는 별명이 붙어 있습니다.
01:17또 해상에서는 전투기를 싣고 바로 공격이 가능한
01:20야오낭이항, 그리고 산둥함, 푸제남 등 항공모함이 있습니다.
01:25항공모함에 미사일에 여러 가지가 있는데
01:28중국이 두려워할 만한, 일본도 대격할 만한 뭐가 있어요?
01:32그런데 일본은 아시는 대로 2차 세계대전 패전국으로
01:35전수방위 원칙, 그러니까 군대를 보유할 수가 없습니다.
01:39하지만 아베 전 총리 때부터 이른바 적기지 공격 능력을 갖춰서
01:43전쟁 가능한 국가로의 전환을 준비해왔습니다.
01:46그 원년이 2022년인데요.
01:48이후에 자국산 장사정 극초음속 미사일
01:5112식 지대함 유도탄을 개발하면서
01:54능력을 갖춰나가는 중입니다.
01:56일본은 일본판 토마호크 미사일로 불리는 이거는
01:59처음 시작은 사거리가 2,200km였는데
02:025배 긴 1,000km로 늘려서 개량 중이라는 것이
02:06조금 위협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02:09요밀의 신문은 이를 통해서 중국 본토 군사기지나
02:12레이더, 항공전력을 타격할 수 있는
02:14전략무기로 발전했다고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02:17또 대형 호위함 이즈모함이나 가가함에
02:20이착륙이 가능한 스테스 전투기 F-35B도
02:24실전 배치도 시작했습니다.
02:26물론 아직은 무력 시위 정도 수준이긴 하지만
02:28일본은 말씀하신 대로 전쟁을 못한 나라인데
02:31중국하고 대격할 수가 있는 거예요?
02:33그래서 앞서 리프트에서 보신 바와 같이
02:35일본의 최남단이자 대만과 가장 가까운
02:38오키나와 섬들에 이런 것들을 배치하려는 움직임이
02:41나타나는 겁니다.
02:42어제 고이지미 일본 방위상이 방문한
02:44요나군이 섬은 리프트에서 보신 바와 같이
02:46대만에서 약 110km밖에 떨어지지 않은 곳인데
02:49일본은 대만 유사실을 염두에 둔
02:51최전방 지역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02:54특히 현재 육상자위대 감시 병력 약
02:56160명이 배치돼 있는데요.
02:59향후 중거리 지대공 유도탄 요격 부대나
03:01전자전 부대 배치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03:04그 옆에 이시가키 섬 역시 매우 중요한데요.
03:07여기도 아까 말씀드린 일본판 토마호크 미사일
03:1012식 지대형 미사일 부대가 배치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03:14그래서 일각에서는 일본, 이번 중일 갈등이
03:17오히려 일본한테는 전쟁 가능한 국가로의 전환을
03:20가속화하는 거 아니냐.
03:21다시 말해서 아베 전 총리의 꿈이 다카이츠 총리를 통해
03:24이뤄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03:27어쨌건 중일 간에 갈등이 깊어져요.
03:29우리나라는 어떻게 해야 됩니까?
03:31가장 큰 것, 예상할 수 있는 것은 대만 유사시의
03:35주한미군 투입 가능성일 텐데요.
03:38그런 상황까지 가지 않더라도 중일 갈등이 길어지면
03:41양측에서 이른바 한국 끌어들이기가 노골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03:45당장 중국에서 다카이츠 총리 비난에
03:48노재현 주중 한국대사를 언급하는 일도 나타났으니까요.
03:52이재명 대통령이 이번 G20 정상회의에서
03:54다카이츠 총리랑 리창 총리를 다 만나는 등
03:57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실용 외교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04:01또 기회가 될 수도 있겠군요.
04:03아는 기자, 김범석 부장과 살펴봤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