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진행 : 조태현 앵커, 조예진 앵커
■ 출연 : 서은숙 상명대 경제금융학부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당장 지금 외식 메뉴 같은 것들 가격이 많이 올랐어요. 가격정보 포털 자료를 보니까 칼국수 가격, 엄청나게 많이 올랐네요. 내용 어떻게 보셨습니까?

◇ 서은숙>우리가 칼국수라고 하면 서민들이 편하게 사먹을 수 있는 음식 중 하나라고 보잖아요. 다시 얘기하면 1만 원으로 사먹을 수 있는 상품이 이제... 이게 런치플레이션이라고 하거든요. 점심 때 1만 원으로 사먹을 수 있는 항목들이 굉장히 많이 줄어들었다. 그래서 서울에서도 이미 1만 원을 넘은 곳이 굉장히 많고요. 칼국수 같은 경우에 4.91% 증가한 것으로 나오지 않습니까? 이게 10년 전하고 비교하면 50.44%가 상승합니다. 2배 정도가 올랐다고 봐야 되는 거죠. 이게 어떻게 보면 왜 이렇게 오를까라고 하는 원인을 한번 살펴봐야 하는데 첫 번째가 원재료 비용이 급증한 겁니다. 조금 전에 설명드린 것처럼 원달러 환율이 올라가면서 밀가루 가격도 오르고 들어가야 되는 에너지, 식용유, 조미료 전부 다 수입품이 굉장히 많거든요. 이런 부분들이 전부 다 수입품목이다 보니까 이게 환율의 영향을 직접 받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첫 번째가 원재료 비용 급증이고요. 그다음에 인건비 부담이라든가 최저임금 오른 것도 영향을 받았고요. 그다음에 세 번째가 에너지 비용 상승도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게 단순히 식당 주인들이 가격을 올리는 게 아니고 고환율이 수입 물가를 밀어올리고 있고 이게 외식물가로 전이되고 있는 상황이다라고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1만 원 칼국수는 어떻게 보면 상징적인 숫자고요. 앞으로 환율 안정이 선행되지 않으면 외식 물가는 지속적으로 오를 거다라고 예측을 할 수 있겠습니다.

◆ 앵커>방금 짚어주신 것처럼 앞으로 시차를 둘고 서민 체감물가 더 오를 거고 또 원화 약세가 계속되면 이것도 분명히 물가에 영향을 줄 것이고요. 연말 물가 어떻게 전망하세요?

◇ 서은숙>조금 전에 아까 설명을 드린 것처럼 이게 시차를 두고 오르잖아요. 그러니까 환율이 오른 것이 수입물가에 12월부터 시작해서 2월달까지 11월달에 급등한 환율의...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1124100540650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당장 지금 외식 메뉴 같은 것들 가격이 많이 올랐어요.
00:05가격정보 포털 자료를 보니까요.
00:07칼국수 가격 엄청나게 많이 올랐네요.
00:10내용 어떻게 보셨습니까?
00:11우리가 보면 칼국수라고 하면
00:12서민들이 가장 많이 먹는 편하게 사 먹을 수 있는 음식 중에 하나로 보잖아요.
00:18다시 얘기하면 만 원으로 사 먹을 수 있는 상품이
00:21점심, 이게 런치플레이션이라고 부르거든요.
00:24점심때 만 원으로 사 먹을 수 있는 항목들이 굉장히 많이 줄어들었다.
00:27그렇게 안 보이네요.
00:29그래서 서울에서도 이미 1만 원을 넘은 곳이 굉장히 많고요.
00:33칼국수 같은 경우에 4.91% 지금 증가한 걸로 나오지 않습니까?
00:37이게 10년 전하고 비교하면 50.44%가 상승합니다.
00:422배 정도가 올랐다고 봐야 되는 거죠.
00:44이게 어떻게 보면 왜 이렇게 오를까라고 하는 원인을 한번 살펴봐야 되는데
00:49첫 번째가 원재료 비용이 급증한 겁니다.
00:52조금 전에 설명드린 것처럼 원달러 환율이 굉장히 올라가면서
00:55밀가루 가격도 오르고 그다음에 들어가야 되는 에너지, 식용유, 전부 다 다 조미료, 이런 거 전부 다 수입품이 굉장히 많거든요.
01:04이런 부분들이 전부 다 수입품목이다 보니까
01:07이게 환율 영향을 직접 받았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01:11그래서 첫 번째가 원재료 비용 급증이고요.
01:15그다음에 인건비 부담이라든가 최저임금 오른 것도 영향을 좀 받았고요.
01:19그다음에 세 번째가 에너지 비용 상승도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01:24그래서 이게 단순히 식당 주인들이 가격을 올리는 게 아니고
01:28고환율이 수입 물가를 밀어 올리고 있고
01:31이게 외식 물가로 전이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해석을 할 수가 있겠습니다.
01:36그래서 일만은 칼국수는 어떻게 보면 상징적인 숫자이고요.
01:41앞으로 환율 안정이 선행되지 않으면 외식 물가는 지속적으로 오를 거다라고 예측을 할 수가 있겠습니다.
01:47네. 방금 짚어주신 것처럼 앞으로 시차를 두고 서민 체감 물가가 더 오를 거고
01:53또 원화 약세가 계속되면 이것도 분명히 물가에 영향을 줄 것이고요.
01:58연말 물가 어떻게 전망하세요?
02:00지금 조금 전에 아까 설명을 드린 것처럼
02:03이게 시차를 두고 오르잖아요.
02:06환율이 오른 거가 수입 물가의 12월부터 시작해서
02:091월까지 지금 2월까지 11월에 급등한 환율에 영향을 받게 되어 있거든요.
02:15그러니까 당연히 지금보다 계속 물가가 올라갈 가능성이 굉장히 크겠죠.
02:20그래서 서민들의 장바구니 물가 자체가 굉장히 올라갈 걸로 우리가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02:26그래서 약간rupt이 조금씩 올라갈 수도 있는데요.
02:27그래서 struggle
02:32dadurch
02:33reath乾 invoke
02:35scan
02:36
02:41��
02:43sav
02:45이렇게
02:46endeu
02:46
02:50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