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비상계엄에 따른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정국과 이후 검찰개혁 파장 등을 거치면서 적지 않은 검사들이 검찰을 떠나고 있습니다.

올해만 160명 넘는 검사가 사표를 쓴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승배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올해 들어 열 달여 동안 검사 161명이 옷을 벗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미 지난해 퇴직자 수 132명을 넘어섰고, 정권 교체기였던 지난 2022년 146명보다도 많은 검사가 사표를 쓴 겁니다.

특히, 경력이 10년이 채 되지 않는 연차 낮은 검사들 52명이 올해 퇴직했습니다.

최근 5년 동안 그만두는 저 연차 검사가 한해 50명을 넘긴 건 처음입니다.

비상계엄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정권교체 이후 검찰개혁 추진 등 정국 흐름이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특히, 검찰청 폐지를 골자로 하는 정부 여당의 검찰개혁과도 무관치 않아 보입니다.

검찰 내부에서는 특검 파견 등으로 부족한 인력에도 연일 과도한 수사와 재판 업무를 맡아왔는데, 개혁 대상으로 몰리고 있다는 불만도 꾸준히 제기됐습니다.

앞서 '검찰청 폐지'에 반발해 사임한 차호동 전 부장검사는 "밀려드는 사건 최선을 다해 진실을 밝히려 노력해 온 후배들은 아무 잘못이 없다"고 호소했습니다.

최근 재편된 검찰 수뇌부는 조직 안정을 한목소리로 강조하고 있습니다.

[구자현 / 검찰총장 직무대행 (대검찰청 차장검사 / 지난 14일) : 검찰 조직이 안정화되고, 맡은 본연의 책무들을 성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최우선 가치를 두고….]

하지만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여파에 반발 여론이 여전히 적지 않습니다.

여기에, 계엄 관련 가담자를 가려내기 위한 정부혁신 TF가 검찰과 법무부에도 각각 꾸려졌습니다.

잘잘못을 따지는 과정에서 검사 이탈이 더 늘어나면서 혼란이 가중될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

YTN 이승배입니다.

영상편집 : 김민경
디자인;김진호



YTN 이승배 (chos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1123182703423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비상계엄에 따른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정국과 이후 검찰개혁 파장 등을 거치면서 적지 않은 검사들이 검찰을 떠나고 있습니다.
00:09올해만 160명이 넘는 검사가 사표를 쓴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00:13이승배 기자의 보도입니다.
00:18올해 들어 10달을 동안 검사 161명이 옷을 벗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00:24이미 지난해 퇴직자 수 132명을 넘어섰고 정권교칙이었던 지난 2022년 146명보다도 많은 검사가 사표를 쓴 겁니다.
00:36특히 경력이 10년이 채 되지 않는 연차 낮은 검사들, 52명이 올해 퇴직했습니다.
00:43최근 5년 동안 그만두는 저연차 검사가 한 해 50명을 넘긴 건 처음입니다.
00:49비상계엄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정권교체 이후 검찰개혁 추진 등 전국 흐름이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00:59특히 검찰청 폐지를 골자로 하는 정부 여당의 검찰개혁과도 무관치 않아 보입니다.
01:06검찰 내부에서는 특검 파견 등으로 부족한 인력에도 연일 과도한 수사와 재판 업무를 맡아왔는데
01:13개혁 대상으로 몰리고 있다는 불만도 꾸준히 제기됐습니다.
01:17앞서 검찰청 폐지의 반발에 사임한 차호동 전 부장검사는
01:22밀려드는 사건에 최선을 다해 진실을 밝히러 노력해온 후배들은 아무 잘못이 없다고 호소했습니다.
01:30최근 재편된 검찰 수뇌부는 조직 안정을 한 목소리로 강조하고 있습니다.
01:35검찰 조직이 안정화되고 또 맡은 본연의 책무들을 성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최우선 가치를 두고
01:44하지만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여파에 반발 여론이 적지 않습니다.
01:49여기에 계엄 관련 가담자를 가려내기 위한 정부혁신TF가 검찰과 법무부에도 각각 꾸려졌습니다.
01:59잘잘못을 따지는 과정에서 검사 이탈이 더 늘어나면서 혼란이 가중될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
02:05YTN 이승매입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