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진행 : 조진혁 앵커, 김정진 앵커
■ 출연 : 이용재 경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UP]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산불 상황 전문가 연결해 상황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용재 경민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전화로 연결합니다. 교수님, 나와 계시죠.


안녕하십니까? 조금 전인 7시부터 헬기를 동원해서 진화에 나서고 있다고 하는데요. 산불 진화 속도가 좀 날까요?

[이용재]
그렇습니다. 일출과 동시에 헬기가 가장 효율적으로 진압을 할 수 있는 것인데요. 야간에는 헬기 투입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방화에 주력을 했을 것이고 동이 트자마자 약 25대 정도의 헬기를 투입을 해서 집중적으로 진압 활동이 진행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바람이나 다 그런 측면에서 봤을 때 좀 빠른 시일 내에 진압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산림청과 소방당국이 밤새 진화 작업을 이어왔지만 불길을 모두 잡지는 못했습니다. 진화가 좀 어려웠던 이유가 뭐라고 보십니까?

[이용재]
산불의 특징이라고 하면 바람과 습도, 여러 가지 있습니다마는 특히 야간에는 인력이나 헬기나 이런 것에 의한 적극적인 산불 진화가 굉장히 어렵습니다. 그런 부분들이 이런 산불을 크게 하고 피해를 크게 하는 그런 주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요즘 동해안 지역의 산불 위험이 점점 커지고 있다고 조금 전에 리포트로도 전해 드렸는데 지금 경기도 연천에서도 산불이 발생했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건조한 알씨 탓이겠죠?

[이용재]
제일 중요한 것은 계절적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고요. 우리나라가 어디나 다 늦가을부터 시작해서 이른 봄까지는 습도가, 우리가 12월 습도라고 하는데요. 이런 게 40% 이하로 대부분 지역이 다 떨어지다 보니까 산불이 많이 나는 거고, 특히 요즘에 많은 분들이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서, 건강상의 이유라든지 이런 것으로 인해서 입산 활동이 많아지는 그런 특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런 것들이 전국 어디를 가리지 않고 산불의 발생 빈도를 높이는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경북 동해안 지역도 그렇고 강원 영동 지역의 경우도 대기도 매우 건조하고 바람도 강하게 불 거라는 예보가 있는데요. 큰 산불이 발생할 가능성...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1121080441463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산불 상황 전문가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00:03이용재 경민대 소방방지학과 교수 전화로 연결해 보겠습니다.
00:07교수님 나와 계시죠?
00:08네, 안녕하십니까.
00:10조금 전인 7시부터 헬기를 동원해서 진화에 나서고 있다고 하는데요.
00:14산불 진화 속도가 좀 날까요?
00:17네, 그렇습니다.
00:19일칠과 동시에 사실 산불은 헬기가 가장 효율적으로 진압을 할 수 있는 것인데요.
00:24야간에는 헬기 투입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방어에 주력을 했을 것이고
00:30동이 치자마자 약 25대 정도의 헬기를 투입을 해서 집중적으로 진압 활동이 진행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00:40그래서 바람이기도 하고 그런 측면에서 봤을 때 좀 빠른 시일 내에 진압되지 않을까라는 기대를 해보고 있습니다.
00:50네, 산림청과 소방당국이 밤새 진화 작업을 이어 왔지만 불길을 모두 잡지는 못했습니다.
00:57진화가 좀 어려웠던 이유가 뭐라고 보십니까?
01:00네, 산불의 공통적인 특징이라고 하면 바람과 습도 부분, 또 여러 가지 수령이라든지 이런 것도 있습니다만
01:08특히 야간에는 인력이나 헬기나 이런 거에 의한 적극적인 산불 진화가 굉장히 어렵습니다.
01:17그런 부분들이 이런 산불을 크게 하고 피해를 크게 하는 그런 주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01:25요즘 동해안 지역에 산불 위험이 점점 커지고 있다고 조금 전에 리포트로도 전해드렸는데
01:31지금 경기도 연천에서도 산불이 발생했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건조한 날씨 탓이겠죠?
01:36외향 중요한 건 계절적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고요.
01:41우리나라가 어디 나다 늦가을부터 시작해서 이른 봄까지는 습도가 우리가 시리오 습도라고 하는 것인데요.
01:51이런 것들이 40% 이하로 대부분 다 지역이 떨어지다 보니까 이런 산불이 많이 나는 거고
01:57특히 요즘에 많은 분들이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서 건강상의 이유로 인해서 입산 활동이 많아지는 그런 특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02:09그런 것들이 전국 어디나 가리지 않고 산불의 발생 빈도를 높이는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02:16경북 동해안 지역도 그렇고 또 강원 영동 지역의 경우 대기가 매우 건조하고 바람도 강하게 불 거라는 예보가 있는데요.
02:25큰 산불이 발생한 가능성은 없습니까?
02:28그건 당연히 있습니다.
02:29그래서 지금부터 정확한 계절적으로는 이 시간부터 앞으로 한 4월 정도까지는 우리나라 산불의 거의 60-70%가 이 시기에 집중되고 있고
02:41또 이 시기에 불이 났을 경우는 다른 시점보다 산불이 크게 되는 아주 공통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02:49우리 관계 당국도 조심을 해야 되겠지만 무엇보다 우리 시민들 국정학자가 이 산불의 위험성을 유지하고
02:57왜 산불이 이렇게 많이 나는지 그거에 대한 정각심을 가지고 있고
03:01집단시에는 어떤 경우라도 화기를 토지하거나 담배풀을 주시거나 또는 산림 주변에서 각종 화기치급이 많습니다.
03:14화목보일러라든지 쓰레기 소각이라든지 이런 것은 절대적으로 좀 피해주시고 조심해 주셔야 될 그런 행동이다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03:23네. 지난해 산불이 많이 났을 때를 보면 산불 진화대원들의 인명피해도 발생했기 때문에
03:30이 부분도 좀 우려가 되는데 현재는 안전하게 진화가 잘 되고 있을까요?
03:34많이 보완은 됐다고 저는 생각을 하고 있고요.
03:38산불을 빨리 진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리 진화대원이나 우리 소방대원분들이나
03:43이분들의 어떤 생명 안전도 산불 못지않게 훨씬 더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03:48그분들에 대한 어떤 보호장구의 확보라든지 이런 것들이 좀 우선시돼서
03:54좀 대응책이 마련됐으면 하는 그런 바람입니다.
03:58네. 산불은 번지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이 빠르게 번지기 때문에 위험할 수 있잖아요.
04:05초기의 산불을 잡을 수 있는 근본적 해결책 어떤 게 있을까요?
04:09네. 뭐 여러 가지가 있겠습니다만 좀 장기적인 대책이 있을 수 있겠는데
04:14특히 우리나라 산림이 산불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04:19그건 두 가지라고 요약할 수가 있는데요.
04:21첫 번째가 수종의 문제인데 그렇다고 해서 우리나라가 침엽수가 강원도나 경북 이런 걸 중심으로 해서
04:28대부분 이제 화재에 취약한 침엽수로 돼 있는 부분인데
04:33이 수종에 대한 어떤 대량도 한번 고려해야 될 부분이고요.
04:38물론 이건 아주 장기적인 노력이 필요한 거고
04:40또 하나가 집요적도 좀 단기에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인도 부분입니다.
04:46한 해 나는 도로죠.
04:49그래서 이거는 평상시에는 산림을 관리하고 육림하는 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거고
04:56이런 산불과 같은 대형 재난이 발생했을 경우에
05:01인력에 의해서 화재 진압이 굉장히 어렵습니다.
05:04그래서 인도라는 걸 좀 적극적으로 만들어서
05:07소방차량에 접근을 용이하게 해서
05:09좀 화재 진압 능력을 키우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라고 보고 있고요.
05:14특히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이런 인도 부분이
05:17다른 여타의 국가에 비교해봤을 때
05:21아주 비교하기도 어려울 정도로 인도 비중이 굉장히 낮습니다.
05:26그래서 이런 인도의 어떤 확충 이런 것들도 병행을 해서
05:29추진될 때 산불의 어떤 진화 능력 이런 것을 확충하는데
05:36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라고 봅니다.
05:39소방대원들의 안전도 챙기면서 불이 빨리 진화되기를 바라겠습니다.
05:43지금까지 이용재 경민대 소방방지학과 교수만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05:47교수님 고맙습니다.
05:48고맙습니다.
05:48고맙습니다.
05:49고맙습니다.
05:50고맙습니다.
05:51고맙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