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진행 : 윤재희 앵커, 조진혁 앵커
■ 전화 연결 : 정운채 전 해군 해난구조대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UP]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전문가 연결해 구조 상황에 대한 평가와 사고 원인 분석해 보겠습니다. 정운채 전 해군 해난구조대장 전화로 연결합니다. 대장님 나와 계십니까?

사고 선박에 모두 267명이 타고 있었는데 모두 안전하게 구조됐습니다. 사고 발생 약 4시간 만에 구조됐는데, 빠른 대응 덕분이라고 볼 수 있겠죠?

[정운채]
물론 그렇게 볼 수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 어제 이 뉴스를 보면서 참 불행 중 다행이면서도 황당한 사고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불행 중 다행이었던 것은 인명 피해가 없었다는 것이고 황당하다는 것은 도대체 저렇게 큰 대형 여객선이 어떻게 항로를 이탈해서 좌초될 때까지 제대로 된 조치가 없었는가 하는 것이 황당했습니다. 그리고 빨리 구조할 수 있었던 것도 운이 좋았던 것입니다. 좌초된 선박이 안전 상태에 있었기 때문에 그냥 좌초된 선박에서 인원 이송만 제대로 안전하게 하면 구조가 잘 되었다, 이렇게 보여지는 것입니다.


승객들의 제보에 따르면 2만 6000톤급 대형 여객선이 무인도에 부딪히면서 엄청나게 큰 굉음과 충격이 있었다고 하는데 만약 배가 더 파손됐더라면 더 큰 사고로 이어질 뻔했던 거 아닙니까?

[정운채]
물론 그렇습니다. 제가 어제 이 뉴스를 보고 항상 고민하고 걱정했던 부분이 바로 그런 부분입니다. 만약 저 선박이 처음에 저렇게 안정되게 좌초됐으니까 그나마 불행 중 다행이지만 만약에 암초나 이런 데서 좌초됐으면 엄청나게 끔찍난 사고가 일어났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이 사건이 그나마 대형 사고에 비해서 인명피해가 없었던 것은 참 다행이다, 이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희가 화면으로도 보여드리고 있는데 승객들이 일단 갑판으로 몰려들었더라고요. 그리고 구명조끼를 모두 입은 그런 상태였다고 하는데 승객들의 대처 부분은 어떻게 평가하세요?

[정운채]
물론 승객들 대처라든가 또 승객들 대처도 마찬가지 배에서 방송을 해서 그렇게 된 것으로 보여지는데 이것도 마찬가지입니다. 만약에 이 배가 침수가 되거나 기울기가 있었다면 혼란이 거듭 됐을 건데 다행히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1120081316335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네, 그럼 전문가 연결해서 구조 상황에 대한 평가와 사고 원인 분석해 보겠습니다.
00:04정운채 전 해군 해난구조대장 전화로 연결합니다. 대장님 나와 계십니까?
00:09네, 네.
00:10네, 사고 선박에 모두 267명이 타고 있었는데요. 모두 안전하게 구조가 됐습니다.
00:16사고 발생 약 4시간 만에 구조가 됐는데요. 빠른 대응 덕분이라고 볼 수가 있겠죠?
00:22네, 물론 그렇게 볼 수 있습니다.
00:23저 같은 경우 어제 이 뉴스를 보면서 참 불량 중이 다행이면서도 황당한 사고다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00:35불량 중이 다행이었던 것은 인명피해가 없었다는 것이고 황당하다는 것은 도대체 저렇게 큰 대응 요객선이 어떻게 항로를 개특해서 좌초될 때까지 그런 제대로 된 조치가 없었는가 하는 것이 지금 범중하게 생겼던 겁니다.
00:52그리고 빨리 구조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운이 좋았던 것입니다.
00:57저 좌초대가 선박이 안 된 상태에 있었기 때문에 그냥 좌초된 선박에서 인원기속만 제대로 안전하게 하면 큰 힘에서 구조가 잘 되었다. 이렇게 보여지는 것입니다.
01:13승객들의 제보에 따르면 2만 6천 톤급 대형 여객선이 무인도에 부딪히면서 엄청나게 큰 괭음과 충격이 있었다고 하는데
01:20만약 배가 더 파손됐더라면 더 큰 사고로 이어질 뻔했던 건 아닙니까?
01:25물론 그렇습니다. 제가 어제 이 뉴스를 보고 사물자면서 항상 고민하고 걱정했던 부분이 바로 그런 부분입니다.
01:33만약 저 선박이 처음에서 저렇게 안정되게 좌초가 됐으니까 그나마 불량 중 다행이지만
01:39만약에 수중 함초나 이런 데서 좌초됐다면 엄청나게 끔찍한 사고가 일어날 수 있을 것입니다.
01:47그래서 저는 이 사건이 그나마 대형 사고에 비해서 읽는 피해가 없었던 것은 참 다행이다.
01:56이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01:57지금 저희가 화면으로도 보여드리고 있는데 승객들이 일단 가판으로 먼저 몰려들었더라고요.
02:02그리고 구명조끼를 모두 입은 그런 상태였다고 하는데 승객들의 대처 부분은 어떻게 평가하세요?
02:09물론 이 승객들 대처라든가 또 이 승객들 대처도 마찬가지 배에서 잘 방송을 해서 그렇게 된 것으로 보여지는데
02:18이것도 마찬가지입니다.
02:21만약에 이 배가 침수가 되거나 기울기가 있었다면 혼란이 거듭됐을 건데
02:27다행히 좌초되고 안정된 상태였기 때문에 이런 조치라든가 구속 조치들이 그래도 혼란 없이 잘 진행되었다고 보여집니다.
02:36사고 원인도 짚어보겠습니다.
02:40해경은 배가 변짐, 그러니까 방향 전환을 뒤늦게 하면서 항로를 벗어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는데
02:46그렇다면 항해사의 과실로 볼 수 있을까요?
02:49물론 조사를 해봐야 정확하게는 알겠습니다만
02:53지금까지 나온 정황으로 봤을 때는 제 판단으로는 90% 이상 방해미석 아닌가 이렇게 보여지고 있습니다.
03:02우선 저렇게 될 수 있었던 것은 선원들의 어떤 신호를 잘못 수행했을 경우가 있고
03:13장비의 고장일 경우가 있고
03:16그다음에 혜상 상태가 아주 악화됐을 경우가 있는데
03:20제가 볼 때는 혜상 상태가 그렇게 악화된 상황도 아니었고 늘 다니던 길이었고
03:24두 번째, 지금까지 특별한 장비 이상이었기 때문에 자료로 이루고 한다는 것 아닙니까?
03:31이런 걸 봤을 때 저는 거의 방해 미수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03:35네, 이런 대형 여객선의 경우에는 보통 자동항법 장치로 운항을 하는데
03:41지금 사고가 난 이 구간에서는 수동으로 운항을 하게 돼 있었다고 하더라고요.
03:45그렇습니다. 우리가 보통 자동차를 탈 때도 그렇지 않습니까?
03:51그냥 자동항법으로 가다가도 위험하거나 복잡하면 수동을 하지 않습니까?
03:56이런 경우엔 100번 수동을 해도 더더군다나 여기는 협수로 교류가 센 곳이기 때문에
04:03성정들이 최대의 긴장을 가지고 강의를 세야 되는 곳이에요.
04:08그런 곳에서 자동항법으로 했을 것 같지는 않는데
04:12자동항법으로 해서 자동항법 장치가 잘못됐든
04:16승무원의 직무를 제대로 수행을 못했건
04:18어떤 경우도 이거는 승무원들이 남을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04:22네, 사고 원인에 대해서 항해사의 과실로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말씀하셨는데
04:28관제 측의 어떤 실수라든지 이런 가능성은 없겠습니까?
04:32물론 그런 경우도 있습니다.
04:34이 사고 원인을 우리가 보면 여러 가지 방금 말씀드린 사람의 잘못한 경우
04:40장비가 문제가 있는 경우, 회상 성탕이 안 좋은 경우
04:43여러 가지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시스템과 매뉴얼을 제대로 운영했느냐는 문제입니다.
04:50예를 들면 이베가 이렇게 늘 다니는 길이 아니라
04:53당연히 진도 VTS에서도 통제를 했을 것이고
04:57통제를 했을 것이란 말입니다.
04:59만약에 아무런 통화도 없이 저렇게 갔다면
05:01저는 VTS에서도 문제가 있는 거예요.
05:04회상 관제탑에도 문제가 있다는 거죠.
05:06마찬가지로 이것을 통제하고 감시하는 세경에서는 제대로 이걸 보고 있었는가
05:11이런 문제들은 전반적인 시스템의 문제고
05:14그러나 그것은 전반적인 시스템으로
05:16사실상은 배를 운영하는 선장이나 승무원들이
05:20제대로 긍정한 행위를 했느냐 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보여집니다.
05:24네, 지금 사고가 났던 여객선은 육주로 들어와 있는 상태여서
05:29이제 사고 원인에 대한 조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때인데
05:32어떤 부분을 좀 중점적으로 들여다봐야 될까요?
05:35그래서 제일 중요한 문제는 왜 항로를 이탈해서
05:39좌측까지 갔는가 하는 이 과정을 해석하는 것이
05:43핵심 문제가 되겠죠.
05:45거기에는 방금 말씀드렸던 이탈 원리는 여러 가지가 있죠.
05:49육아학력적인 부분이 있었는가.
05:51장비의 고장이 있었는가.
05:53거기에는 항해를 하는 행위사라든가
05:56승지원들의 직무의 문제가 있었던가.
05:59이런 것들을 조사하는데 여기는 조사 자료가 여러 가지였습니다.
06:02보이레알도 있고 여러 가지 매게다 장치도 있고 하기 때문에
06:06이것을 조사하는 데는 크게 어렵지 않다고 저는 보여집니다.
06:10여객선 사고는 가슴 아픈 기억이 있기 때문에
06:13이번 뉴스를 보면서 많은 분들이 놀라셨을 것 같은데요.
06:16앞으로 이런 사고가 재발하지 않기 위해서 어떤 대책이 필요하겠습니까?
06:19물론 우리가 해난사고가 날 때마다 대책을 얘기합니다.
06:24방금 제가 맞았던 그런 거래서의 시스템이라든가
06:28그리고 작은 구체적인 내용의 메뉴얼이라든가
06:32이런 것들이 제대로 작동했느냐 하는 문제인데
06:35우리가 해난사고가 나면 수신청을 오는 말이 뭡니까?
06:38에어포켓이 있었는가?
06:41수영 능력이 있는가?
06:43그 자켓을 두 명 조건이 있었는가?
06:47그다음에 저체역증이 문제가 없나?
06:48이것은 해난사고 일어날 때마다 생기는 얘기들입니다.
06:52그럼 여기서 우리가 말씀드리는 것은 가장 중요한 공통점
06:56물론 선하고 대형 여객선하고 매뉴얼이라는 건 다를 거예요.
07:01거기에 맞춰서 하겠지만 공통점은 뭐냐?
07:04우선 가장 중요한 것은 감정성리를 할 수 있는 것은 기본입니다.
07:07그다음에 장비 문제, 그다음에 감시 통제 문제
07:11이런 시스템과 대부적인 메뉴얼
07:13이것도 문제지만 우리가 사고 날 때마다 제일 중요한 것은 인명사고지 않습니까?
07:18인명사고를 예방하는데 가장 중요한 문제는
07:21제가 아까 조금 전에 말씀했었던
07:23그게 작은 것이지만, 메뉴얼이지만
07:25날 부자켓을 언제 입어야 되는 것인가?
07:28그리고 우리가 말하는 생존 수영 능력이 어느 정도 기여를 해야 될까?
07:34이것은 늘 아무 말이지만 쉽게 신뢰하는 과정에는 항상 덧입니다.
07:40그래서 지금 이런 것들의 문제는 이런 사고를 제기로 해서
07:43우리가 늘 말하던 사고 때마다 말하던
07:46아이 부자켓을 입는 그 메뉴얼
07:49그리고 생존 수영에 대한 대책
07:51이런 근본적인 대책이 이루어져야 된다.
07:55그래야만 이런 문제입니다.
07:56그리고 특히 인명사고는 제일 중요한 것이 초동조치입니다.
08:00초동조치를 잘 취해야만 인명사고를 사전에 여당할 수 있으니까
08:04이런 초동조치에 대한 이런 것들이 갖춰져야 되지 않느냐
08:08저는 그렇게 보고 있습니다.
08:10안전에 대해서는 만반의 대비가 필요하겠습니다.
08:13지금까지 정은채 전 해군 해난구조대장과 여기 나눠봤습니다.
08:16고맙습니다.
08:17감사합니다.
08:18감사합니다.
08:19감사합니다.
08:20감사합니다.
08:21감사합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