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1주 전
관련 기사: https://www.dt.co.kr/series/S010103269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그 데이터에 보면 서울시의 공급량이 2015년 이후로 계속 감소하고 있어요.
00:19인허가 물량이. 5만 호 이하 정도로 좀 떨어져 있는 상황이고요.
00:24그거에 여러 요인들이 있죠. 여러 요인들이 있는데
00:27하나는 재건축 재개발 내 그 소요 기간이 한 20년 정도 지금이에요.
00:35지금 막 해도 20년 후에 공급되는 거예요.
00:3920년 후에 공급되는데 지금 현재 재개발 재건축 얘기들 나오지만
00:44재개발 재건축 지금 현재 서울에 있는 거 총 공급 가능한 물량이 지금 현재 보면 40만 호 정도 돼요.
00:5340만 호 정도 되는데 거기에 멸실 예정량이 31만 호.
00:59실질적으로 재개발 재건축을 다 해도 9만 호 정도 공급 예정이고요.
01:049만 호 크죠.
01:06크지만 실질적으로 공급되는 시기는 2031년에 착공 들어가고 31만 호 정도.
01:142035년에 37만 호 정도 완공 된다라고 나오고 있어요.
01:22그 어제 세미나 자료였거든요.
01:24재개발 재건축이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01:27크레바스 같은 게 있어요.
01:31별로 이거 어떻게 할 거냐.
01:34시장에서 시민들이 다 알고 있는 거예요.
01:37그러니까 상황들을.
01:38그러면 그래서 이제 정부도 보면
01:41외곽에 수도권 외곽에 경기도에 이렇게 얘기를 하고 신도시를 하는데
01:45그게 성에 안 차는 거죠.
01:48공공이나 국공유제 이런 데에 주택을 공급할 수 있는 데는
01:54가용할 대책들을 다 내놔야 될 것 같고요.
01:59또 하나 이제 제가 좀 더 크레바스 같은 그런 한 10년의 공백.
02:05이거를 마근데 아이디어 차원에서 좀 내놓을 수 있는 거는
02:09제가 이제 한동안 저는 이제 부동산 학과에 있으니까
02:13상업용 부동산도 계속 들여다보고 있거든요.
02:16오피스 시장이나 이런데.
02:18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너무 과잉 공급돼서 문제예요.
02:23우리가 PF 위기가 최근에 있었던 PF 위기는
02:25비주거용 물류나 지식산업센터
02:29이런 거를 과잉 공급해서
02:32사실은 그게 미분양이 돼서
02:34돈이 돌지 못해서 위기를 촉발시킨 거예요.
02:39왜 그러면 그런 쪽은 그런 일이 일어나냐면
02:41민간이 작동하기 때문에
02:44거기가 돈이 된다 그러면
02:46너도 나도 두고 온 거예요.
02:49그러니까 규제가 좀 적은 시장에서
02:51그런 오히려 미분양을 발생시킨 요인들이 있죠.
02:55오피스 같은 경우는
02:57제가 오피스 이제 최근에
03:00서울연구원이랑 같이 한 중 1년 정도 연구를 했는데
03:04오피스 시장은 지금 현재 우리가 통상
03:08오피스 시장 3대 권역이라고 얘기하는 게
03:10CBD 광화문과 종로
03:12그리고 테란노 주변에
03:15GBD 강남
03:17그리고 YBD 여의도 주변
03:20이렇게 얘기하는데
03:21그 3대 권역의 지금 프라잉급 빌딩들
03:24엄청난 규모가 크고 위치가 좋은 빌딩들이
03:28거기에 3대 권역의 오피스 빌딩의
03:32지금 스탁이
03:33320만 평 정도 돼요.
03:36전부 합치면
03:37지금 현재 전체 규모는
03:39그런데 거기가 시장이 지금 좋아요.
03:42뭐냐면 공실도 한 4%
03:45자연공실률 수줍
03:46아주 시장이 뜨거워요.
03:48오피스 시장이 뜨거운데
03:51향후 5년 내에 공급 예정 물량이
03:55143만 평이에요.
03:58현재 스탁의 45%가 공급 예정으로
04:02지금 조사되고 있어요.
04:04CBRD 데이터에 보면 작년 데이터에.
04:07무슨 얘기냐면 돈이 되는 데는 민간이 들어오는 거예요.
04:11그래서 그게 금물형 어디서 나온 거냐.
04:13도심 재개발이 돼요.
04:16그러다 보니까
04:18오피스 시장이 뜨겁지만
04:20가격이 많이 못 올라요.
04:22왜냐하면 계속 공급이 예정돼 있으니까
04:25그리고 살력으로는 투자자들도 멈칫멈칫해요.
04:29이게 이제 규제가 적은 시장에서의
04:33시장 메카니즘이 작동하는 거죠.
04:36그래서 그럼 143만 평이
04:39향 5년간 다 공급될까.
04:41그것도 이제 제가 주로 검토하다 보면
04:44민간은 자율 자정 장룡이 있어요.
04:46계속 늦추고 있어요.
04:49공급을.
04:51저는 제 생각에는 지금 재개발 재건축 얘기하지만
04:55이게 공급 수단 중에서 좋은 수단이에요.
04:57단지도 이미 형성돼 있고
04:59향후에 예정된 143만 평의 10%만 주거로 변동시키면
05:04주거 용도로 전환시키면 14만 평이 나옵니다.
05:08아까 제가 말씀드렸지만 지금 현재 서울에
05:11재개발 재건축 총 공급 예정 물량이 40만 호고
05:16멸실 예정 31만 호 아니면 9만 호라 그러는데
05:20오피스 예정 공급량의 10%만 주거 용도로 전환하면
05:2414만 호.
05:28그 재개발 재건축에서 나오는 것보다 훨씬 많은 공급을 할 수 있는 거죠.
05:34그러니까 그거는 상당히 이제 레디 상태에 들어가 있는 땅인데
05:37결국은 도심에 복합 개발 같은 거를 활성화하는 거죠.
05:43그러면 그거는 바로 크레바스들을 메꿀 수 있는 거고요.
05:48또 하나는 강남의 꼬마 빌딩 중소형 빌딩들이 요새 거의 그렇게 상태예요.
05:55왜냐하면 지식산업센터들 오고 스타트업이 시장 안 좋고 이러니까
06:01강남의 중소형 빌딩 중에 공실 많은데 주거로 전환하는
06:06주거 용도로 전환하는 컨버전이라고 얘기하는데
06:10그걸 활성화하는 게 단기 대책 중에 크레바스를 막는 방법이고
06:14이거는 우리만 그런 게 아니라 미국의 뉴욕도 뉴욕은 오피스가 안 좋아요.
06:21왜냐하면 재택근무 그게 뉴욕은 재택근무 평균 일수가 1.6일이에요.
06:29테크가 워낙 성장하고 있으니까 테크 기업에 있는 근로자들이
06:34너무 안 나와요.
06:36집에서 근무하겠다니까 우리는 0.5일이에요.
06:40우리는 그래서 오피스 시장이 좋은 건데
06:42그 공식이 높다 보니까 뉴욕도 오피스 빌딩을 주거로 전환하는 걸 적극 지원하고 있어요.
06:48또 하나는 용산국지업무단지 이런 얘기가 좀 나오잖아요.
06:52그게 이제 이미 한 10년 20년을 계획했던 거라서
06:55아마 바꾸기 상당히 어려울 거예요.
06:58그런데 용산국지업무단지에 오피스 빌딩까지 또 여기 등장하면
07:05공급되면 이 오피스 시장 진짜 훨씬 힘들어지기 때문에
07:09사실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오피스의 상당 부분들을
07:14주거 용도로 복합하는 계획들을 하면
07:17이거 역시 핵심 지역의 주거 시설들의 공급 이런 부분들의 효과를
07:25뭐 거기서 몇 만 원 정도만이라도 오피스를 주거로 바꾼다면
07:29오피스의 물량 부담도 줄일 수 있을 거고
07:32지금 주거 부분들도 있고 거기는 정말 아주 핵심 선호 주거단지가 될 수 있으니까
07:40이런 부분도 있고 뭐 예를 들면 쇠택이나 혹은 예를 들면 우리 이 동네에도 보면 화양초등학교가 폐교됐어요.
07:49폐교됐는데 애들이 없어서 폐교됐는데 거기에 주거 시설들 넣거나
07:53청년시설들 넣는 이런 부분들 그리고 국공유주 말씀하셨지만
07:58실제 가능하고 빨리 공급될 수 있는 방법들을
08:0110년 크레바스의 틈을 메울 방법들이 안 나오고
08:08외가지 3기 4기 하겠다는 이러니까 현실감 떨어지는 거죠.
08:18조명이 XYZ
08:28강력 될때는
08:29locks
08:30쇠택
08:32ر쿠
08:34높은
08:35
08:37높朝
08:39
08:41높은
08:42높은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