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우체국, 정부24, 모바일신분증 등 각종 대국민 편의 서비스를 마비시킨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가 22시간 만에 완전히 진압되자 정부가 시스템 복구에 나섰다. 행정안전부는 28일 국정자원 화재로 인한 행정정보시스템 상황 점검을 위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3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28일 밝혔다.
중대본에 따르면 시스템 재가동 필수조건인 기반시설 복구를 완료하고 네트워크 정상화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화재로 전소한 배터리 384개는 27일 오후 6시 36분쯤 화재 현장에서 모두 반출했다.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27일 저녁 완진 조치 이후 28일 오전 5시부터 항온항습기 복구를 시작해 1전산실부터 6전산실까지 성공적으로 가동 완료했다”며 “네트워크 장비도 오전 7시 기준으로 50% 이상 가동했다”고 덧붙였다. 핵심 보안 장비는 99%(총 767대 중 763대) 이상 재가동한 상태다. 정부는 화재 당시 배터리와 함께 건물 일부와 전산 장비가 소실되고, 화재로 인해 전산실 항온ㆍ항습기가 고장 나면서 서버 전원을 차단했다. 이에 따라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 가동이 중단됐다.
중대본 측은 통신ㆍ보안 인프라 가동이 완료되면 화재로 인해 직접적인 피해를 보지 않은 551개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재가동할 방침이다. 다만 화재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7-1 전산실 시스템들의 복구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복구 진행 상황과 원인 규명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70513?cloc=dailymotion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